소개글
"연명치료 간호연구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이 연명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1.1. 연구 필요성
1.2. 연구 목적
1.3. 문헌고찰
1.4. 연구도구
1.5. 연구대상자
1.6. 자료수집방법
1.7. 자료분석방법
1.8. 기타주의사항
2. PBL 연계 투약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시스템 사고능력, 학습몰입, 문제해결 적극성 및 투약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2.1. 서론
2.2. 문헌고찰
2.3. 연구방법
2.4. 연구결과
2.5. 논의
2.6. 결론 및 제언
3.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환자 간호 경험 : 현상학적 접근
3.1. 서론
3.2. 연구방법
3.3. 연구결과
3.4. 논의
4. 노인간호사가 직면하는 윤리적 딜레마 - DNR 문헌고찰과 느낀점을 중심으로
4.1. 윤리적 딜레마의 정의
4.2. DNR 관련 사례
4.3. 해결방안
4.4. 나의 생각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이 연명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1.1. 연구 필요성
간호사는 임상현장의 일선에서 환자를 간호하는 사람으로 많은 환자를 만나게 되며, 윤리적 갈등 속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며 간호대상자와 가족에게 최선의 결과를 줄 수 있는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학생때부터 바람직한 윤리의식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특히 요즘은 고령화 사회가 되고 있기 때문에 미래에는 노인인구가 많아져 연명치료에 대한 문제는 더 많이 사회적, 윤리적 논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간호사들은 윤리의식에 대해 많이 생각하고 더 고민하고 건강한 윤리의식을 정립하기 위한 경험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되기 이전에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연명치료중단의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들의 생명윤리적 의식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을 개발해야 한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적 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생명윤리 의식이 연명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1) 대상자의 생명윤리 가치관, 연명치료중단 태도, 좋은 죽음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2) 대상자의 좋은 죽음 인식이 연명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며, 3) 대상자의 생명윤리 의식이 연명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1.3. 문헌고찰
연명치료중단(switching off, pulling out the plug)이란 생명유지 치료를 중지하는 것으로서 치료적 행위가 더 이상 환자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 생명유지 장치를 철회하거나 치료적 활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모든 의료적 행위를 중단한다기보다는 영양, 수액 공급과 통증조절 등 기본적인 의료행위는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명치료 중단"은 "소극적 안락사"와 동일하게 사용되고, "치료 중단"의 용어로도 사용되어 결국 "소극적 안락사에서의 치료 중단"과 같은 개념이다"".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은 1997년 치료비가 없는 환자의 보호자가 연명치료 중단을 요청한 것에 대해 치료를 중단한 의사에게 살인죄를 선고한 '보라매병원사건'이다. 이는 과거에 관행적으로 시행해온 DNR 결정, 가족에 의한 치료 중단의 결정 등에 대한 문제를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생명윤리의식은 생명과학이 의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 생명과학시대에 인간이 선택해야 할 새로운 윤리학이라는 의미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생명의료윤리를 다룸에 있어 알아야 할 기본가치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정의의 원칙이다.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의료진의 판단보다는 환자 스스로 진료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자율적인 의료행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며, 악행금지의 원칙은 환자에게 해악을 입히거나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의료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원칙이다. 선행의 원칙은 타인을 돕기 위해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단계를 요구하기 때문에 악행금지보다는 이타적이고 포용적인 것이며, 정의의 원칙은 의료자원이 한정되어 있을 경우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가 많을 때 이러한 상충하는 요구들을 중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1.4. 연구도구
생명윤리의식은 Lee가 개발한 윤리적인 가치관 측정도구를 Kwon이 수정·보완한 생명의료윤리 의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파악하였다. 본 도구는 태아의 생명권 5문항, 인공임신중절 6문항, 인공수정문항 7문항, 태아진단 5문항, 신생아의 생명권 5문항, 안락사 5문항, 장기이식 4문항, 뇌사 5문항, 인간생명 공학 7문항 등 총 9개 하위영역 4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문항은 1점 '전혀 아니다'에서 4점 '매우 그렇다'까지 Likert 4점 척도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생명의료 윤리의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Kwon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 .76이었다.
좋은 죽음 인식은 Schwartz Mazor, Rogers, Ma와 Reed이 개발한 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를 Jeong이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친밀감 9문항, 통제감 3문항, 임상증상 5문항으로 3개의 하위영역,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1점 ' 전혀 중요하지 않다'부터 4점 '매우 중요하다'까지 4점의 Likert 척도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Jeong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 .82 이었다.
연명치료중단 태도 측정은 Park이 개발하고 Byun 등이 수정·보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1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5점 Likert 척도로 점수화하였으며, 부정문항은 역환산 처리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연명치료중단에 대해 긍정적 입장이고, 점수가 낮을수록 부정적 입장을 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Byun 등 연구에서 Cronbach's ?=.88이이었다.
1.5. 연구대상자
안동시 소재 2개 대학교의 간호학 전공 대상자 G*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기 위해 유의수준 .05, 효과크기 .15, 검정력 .95, 예측변수 11개로 산출한 결과 최소 표본 수는 107명으로 나타났다"."
1.6.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방법은 2020년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에 대한 충분한 설명 후 익명성과 비밀보장에 대해 약속하고, 언제라도 ...
참고 자료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 생명의료윤리의식이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2019)/ 장영미, 안은영/ 대한산업경영학회/ 산업융합연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판적 사고성향이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2018)/ 김은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상호지향성 모형을 중심으로(2016)/ 윤은자, 홍연표, 안정화/ 한국웰니스학회/ 한국웰니스학회지
연명치료 중단 인식과 태도에 대한 의대생과 간호대생의 차이(2019)/ 전재희/ 한국융합학회/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2016)/ 김숙남, 김현주/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학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자아개념과 윤리적 가치관이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2019)/ 허성수/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인식(2015)/ 김원정, 강지숙/ 한국의료윤리학회/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자아개념과 가치관이 연명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2019)/허성수/한국산학기술학회/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2019)/방설영/한국산학기술학회/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2018)/최은정, 정혜선/한국산학기술학회/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간호연구방법, 이명선 외, 2018, 대한간호협회
Y. J. Oh & H. Y. Kang. (2013).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imulation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3), 239-247. DOI : 10.7739/jkafn.2013.20.3.239
O. H. Cho & K. H. Hwang. (2016a). The Effect of Education based on Simul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7), 640-650. DOI : 10.5392/jkca.2016.16.07.640
Shin SW, Kim SH. Influen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n quality of sleep in rotating-shif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2014;21(2):123-130.
Burch JB, YostMG, JohnsonW,Allen E.Melatonin, sleep, and shift work adapt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Medicine.
2005;47(9):893-901.
Kudielka BM, Buchtal J, Uhde A, Wüst S. Circadian cortisol profiles and psychological self-reports in shift workers with and without recent change in the shift rotation system. Biological Psychology. 2007;74(1):92-103.
http://dx.doi.org/10.1016/j.biopsycho.2006.08.008
Yaguchi A, Truog RD, Curtis JR, Luce JM, Levy MM, Mélot C, et al.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end-of-life attitud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Results of a surve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5;165(17):1970-1975. http://dx.doi.org/10.1001/archinte.165.17.1970
Korean Medical Association,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Korean Hospital Association. Guideline to withdrawal of a life-sustaining therapy [Internet]. Seoul: 2009 [cited 2016 January 15]. Available from: http://www.kams.or.kr/ notice/view.php? code=news&number=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