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소개
삼국유사는 고려 말기의 승려 일연이 저술한 역사서로, 우리나라 고대사와 전설, 설화 등을 풍부하게 담아내고 있는 대표적인 고전이다. 특히 이 책은 삼국사기와 더불어 한국 고대사 연구의 양대 축을 이루고 있으며, 신화와 불교, 민간 신앙 등 다양한 측면에서 당시 한국 문화의 면모를 보여준다.
삼국유사의 가장 큰 특징은 역사적 사실과 설화, 전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연은 단순한 사실의 나열에 그치지 않고, 각각의 사건이나 인물에 대해 생생한 이야기를 덧붙임으로써 독자들에게 보다 생동감 있는 역사를 전달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삼국유사는 단순한 역사서를 넘어 우리 민족의 문화적 원류와 정신적 굴곡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 되었다.
삼국유사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이 책은 크게 고조선에서 고려까지의 역사적 사실과 설화, 불교 전파 및 발전, 사찰과 불상, 고승들의 행적 등을 다루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단군신화와 고조선 관련 기록이다. 삼국유사는 단군을 고조선의 시조로 소개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반만년 역사를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한국사의 기원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시도로 볼 수 있다.
또한 삼국유사에는 각 나라의 불교 전래와 발전 과정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고구려의 순도와 법심, 백제의 난타, 신라의 아도 등 불교를 처음 전파한 인물들의 활동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회적 반응과 불교 융성의 결과 등도 자세히 다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당시 한국의 종교적 지형과 그 변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그 밖에도 황룡사 구층탑, 문수사 석탑 등 주요 사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