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협력업체 상생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과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방안
2.1. 상생협력의 부진 원인
2.2.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협력 필요성
3.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을 위한 협력방안
3.1. 파트너십 구축방안
3.2. 자립능력 향상방안
3.3. 실천체계 구축방안
4.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협력 성공사례
4.1. 해외 사례 분석
4.2. 국내 사례 분석
5. 협력적 노사관계
5.1. 협력적 노사관계의 개념
5.2. 우리나라 기업의 노사협력사례 조사
5.3. 노사협력사례의 문제점, 개선방안, 배울 점, 시사점
6. 경영전략으로서의 협력과 경쟁
6.1. 협력 전략
6.2. 경쟁전략
6.3. 삼성전자의 협력 전략 성공사례
6.4. 삼성전자 협력전략 사례의 문제점, 개선방안, 배울 점, 시사점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본 연구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위한 협력 방안을 분석하였다. 최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수익성, 근로자 소득 그리고 수익률의 격차 확대 등 양극화 현상이 심각한 수준에 와 있다. 즉, 제조업 부문에서 2000년 이후 일시적으로 줄어들던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수익률 격차가 2002년 이후 다시 확대되고 있으며,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의 임금수준은 계속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대 중소기업간 양극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 기업 간 관계개선을 추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대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의 당위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2.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과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방안
2.1. 상생협력의 부진 원인
상생협력의 부진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 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대기업 중심의 압축 성장과정에서 대·중소기업 관계는 중소기업의 저임노동력을 활용할 목적에서 형성· 발전되어 왔다. 이로 인해 일부 대기업은 중소기업을 원가절감의 수단으로만 인식할 뿐 협력 동반자로서의 인식은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실제로 대기업들은 중소기업 부품구매 자체가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것이라는 시혜적 시각을 가지고 있다.
둘째, 대기업들이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기업경영방식을 단기수익 위주로 전환하면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보다는 납품단가 인하에 주력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사업부별 성과평가방식도 중소기업에 부담을 전가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 중소기업은 기술인력, 자금 등의 한계로 인해 기술혁신능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글로벌의 혁신경제에 적합한 파트너로서의 역량이 취약한 실정인데, 실제 중소기업 제품기술의 86.5%는 2년 이내 모방이 가능한 범용기술이라는 지적이 있다.
이처럼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이 어려운 것은 상당부분 대기업이 그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상생협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경영자원과 핵심역량을 보유·가용할 수 있는 대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2.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협력 필요성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협력 필요성은 중소기업이 대기업 경쟁력의 원천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완제품 소요부품은 항공기가 10만개, 자동차 2만 개, 디지털 TV가 700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조업 생산원가의 약 63%가 부품소재가 차지하고 있다. 고용 있는 성장달성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역할이 중요한데, 1998년-2003년간 대기업 고용 은 95만 명이 감소된 반면 중소기업 고용 은 281만 명이 증가되었다. 대 중소기업 간 양극화 해결을 위해서는 대 중소기업 간 관계개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대 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의 당위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대 중소기업간 협력의 필요성은 국제경쟁이 개별기업간 경쟁에서 기업 네트워크 간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기업은 핵심 분야에 집중하고 비 핵심 중요분야는 중소기업 또는 전문화된 타 기업을 통해 아웃소싱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 기업경쟁의 승패가 전에는 개별 기업 자체의 역량에 의해 좌우되었으나, 점차 기업간 협력네트워크의 성과에 좌우된다. 또한 중소기업과의 협력관계가 네트워크 간 경쟁에서 승패를 좌우한다. 제조업 생산원가의 63.4%(2003년 기준)를 부품소재가 차지하는 등 부품을 공급하는 중소기업의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다. 대 중소기업간 협력 파트너쉽을 구축할 때 에, 중소기업이 적극적으로 기술개발과 혁신에 투자를 하게 되어 이를 통해 대기업도 대외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혁신주도형 경제로 전환되면서 기술 지식 파트너로서 중소기업과의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요소투입형 경제에서는 저임 노동력 중심의 생산 분업의 파트너가 중요했으나, 혁신주도형 경제에서는 대기업이 원하는 기술혁신을 중소 부품기업이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대 중소기업간 건전한 관계를 공정거래법상 규제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자발적 상생협력이 더 중요하다. '하도급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한 규제를 통한 중소기업 보호제도가 있으나 일부 대기업 은 글로벌 아웃소싱, 모방한계 등 다양한 회피수단을 보유하여 실효성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대기업이 상생협력의 정신을 가지는 것이 대 중소기업간 공정한 관계를 정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3.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을 위한 협력방안
3.1. 파트너십 구축방안
정부는 대 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호혜적인 파트너십 구축의 정책목표를 추진하기 위해 첫째, 성과공유제 확산으로 공정한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둘째, 상호 호혜적인 기술 및 인력교류를 촉진하며, 셋째, 자본참여의 확대를 통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할 전망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파트너십 정책에서 성과공유제는 혁신네트워크의 중요 당사자인 대기업으로부터 거부반응을 얻고 있다. 성과공유제의 유형으로는 첫째, 기술, 경영혁신, 공정개선 등 중소기업 혁신을 대기업이 직접 지도하고 그 결과 나타난 원가절감의 성과를 공유하는 유형이 있고, 둘째, 신제품 기획단계로부터 중소기업을 참여시켜 설계변경, 모듈화 등 원가절감 방안을 합의하고 원가절감의 성과를 공유하는 유형으로 구분된다. 한국에서는 한전 등 공기업에 성과공유제 전담요원 배치 등 공기업에 성과공유제를 시범 도입한 후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원가절감, 공정개선에 필요한 R&D 및 설비투자자금을 산업기반기금의 대 중소기업 협력 사업비(1천억 원)를 활용하여 지원하게 된다. 그러나 대기업들은 성과공유제를 반시장적 관행으로 인식하여 거부감을 보이고 있으며 원가절감을 중소기업의 당연한 의무로 간주하고 있다. 중소기업들도 성과공유제 명목의 경영간섭을 원하지 않으며 성과공유제를 대기업의 편법적인 단가인하의 수단으로 이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대 중소기업간 기술교류 촉진을 위하여 정부는 첫째, 대기업 수요와 연계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전장기술, 수입대체기술 등 전략기술을 개발하는 부품소재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며, 둘째, 공공기관이 중소기업 제품 구매를 사전에 보장하는 중소기업 기술개발과제를 적극 지원할 것이며, 셋째, 대기업의 휴면특허를 중소기업에...
참고 자료
산업자원부 (2015), “대 중소기업 상생협력 강화방안”, 대 중소기업 상생협력 대책회의
월간 전경련 (2015), “제1회 대 중소기업협력대상사례발표회”, 전경련(482권).
이병욱 (2014), “대 중소기업간 상생의 협력기반 조성과제”, 월간 전경련(479권).
(2015), “대 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제언”, 월간 전경련(484권).
(2015), “동반성장을 위한 대 중소기업간 협력방안”, 월간 전경련(485권).
조덕희 (2014), “중소기업 설비투자 부진의 원인과 대책”, KIET 산업경제.
조영삼 (2014),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종합대책의 특징과 과제”, KIET 산업경제.
주현 (2016), “최근 대 중소기업 상생협력 정책의 흐름”, KIET 산업경제
이지석 (2017), “대 중 소 기업간의 상생을 위한 협력 방안”, 자치논단 12월호
신동호 (2016),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발전 방안”, 10월호
조준모, "한국의 집단적 노사관계 위기와 제도개선 과제 ", 2010.
김동원. 세계의 노사관계 변화와 전망, 2006.
S社 G사업장, “협의회 운영 기준”, 2016.
정광일 (2007), “국내 기업의 노사 협력 성공 요인과 실패 요인에 대한 분석”,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기업경영연구,허영도(2014)한국인의 협상 전략과 전술에 관한 연구 -협력전략, 경쟁전략, 예속전략의 선택을 중심으로-한국기업경영학회
정효정(Hyo-jung Jung),and 조용래(Yong-rae Cho). "디스플레이 산업에서의 협력-경쟁(co-opetition) 전략적 행동 특성." 기술혁신학회지 20.3 (2017): 576-606.
최경순,and 김상욱. "기업의 협력 전략 방안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1.10 (2013): 189-201. 협력전략 요소를 중심으로.
소원근,and 김하균. "외부환경요인, 기술강도 및 경쟁강도가 협력전략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1 (2017): 49-61.
유병일(Byoung Il Yoo),and 윤보은(Bo Eun Yoon). "한국 산림분야 공적개발원조 발전방안 - 핀란드, 노르웨이의 개발협력전략 비교를 바탕으로 -." 국제개발협력연구 6.1 (2014): 187-222.
김광현(2013)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비즈니스 경영조직의 협력기술 증진전략,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107-108
장동련. "브랜드 디자인 경영전략의 협력체제 구조에 관한 연구." 미술디자인 논문집 -.9 (2004): 209-221. 통합 경쟁력을 위한 학제간 학문 프로젝트.
조용래, 김명순 (2016). 경쟁 - 협력의 디스플레이 산업구도 분석을 통한 경영전략 및 기술정책 방향.STEPI Insight(200), 1-41
김진민,and 박광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을 위한 성공요인." 기업경영연구 21.6 (2014): 2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