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발달심리학적 과정에서 성인중기 및 후기. 가족관계변화는 무엇이며 스트레스 관리 방법과 노후준비 방법에 대하여 논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성인중기 및 후기 가족관계 변화
2.1. 성인중기 가족관계 변화
2.1.1. 부부관계의 변화
2.1.2. 자녀와 부모와의 관계 변화
2.1.3. 부모와 노부모와의 관계
2.2. 성인후기 가족관계 변화
3. 성인중기 및 후기의 스트레스 관리 방법
3.1. 신체 및 심리 노화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
3.2. 가족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 관리
3.3. 경제적 문제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
4. 노후 준비 방법
4.1. 체력 및 건강 관리
4.2. 대인관계 관리
4.3. 경제적 문제 관리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발달이란 개념은 생명체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개체 출생부터 성숙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이처럼 인간은 끊임없는 변화의 과정을 겪는 존재이다. 일생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신체의 크기뿐만 아니라 행동방식, 인지능력, 가치관 등 모든 면이 변화된다고 한다. 그리고 이 같은 변화는 발달의 수준에 따라서 일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 성인중기 및 후기 가족관계변화는 무엇이 있으며 스트레스 관리방법과 노후준비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하여 이 과제를 완성해보고자 한다.
2.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성인중기 및 후기 가족관계 변화
2.1. 성인중기 가족관계 변화
2.1.1. 부부관계의 변화
성인중기에 접어들게 되면 부부관계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현재 성인중기를 살펴보면 가정을 이루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시기까지 가정을 유지하게 되면 평균적으로 성인 초기에 가정을 이루기 시작하니 부부관계에서 안정기를 유지한다. 오랫동안 살아온 탓에 서로를 이해하고, 겪게 되는 심리 및 육체 노화에서 공감을 해주는 동반자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 시기에는 슬슬 자녀들이 집에서 독립을 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부부 간의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는 긍정적인 변화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이야기한 요소와 경제적인 요소들에서 위기를 겪게 된다면 부부 간의 갈등이 나타날 확률이 커지게 된다.
2.1.2. 자녀와 부모와의 관계 변화
자녀와 부모와의 관계 변화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있다.
대게 부모 세대가 성인 중기에 접어들게 되면 자녀 세대가 성인이거나 그 나이에 가까운 나이에 접어들게 된다. 어릴 때에는 부모가 절대적인 보호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자녀들이 사춘기를 겪게 되며 갈등이 잦았지만 이 시기에는 줄어들게 된다. 자녀들 또한 성숙한 시각을 갖게 되기 때문에 부모를 이해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일종의 친구관계를 부모와 유지하곤 한다. 자녀가 독립까지 성공적으로 잘 마친 경우에는 오히려 부모와 자녀 모두 긍정적인 심리 변화를 겪는다. 특히 중년기인 부모세대는 양육 관계에서 부담을 덜게 된다.
그러나 경제, 육체, 정서적으로 독립이 잘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에는 주로 부모 세대가 우울증을 토로하곤 한다. 최근 우리나라에는 자녀 세대가 부모 세대에게 의존하는 확률이 늘어나면서 교육 및 결혼, 취업 등으로 부모 세대가 여전히 양육 부담을 갖는 경우가 점점 보이곤 한다.
2.1.3. 부모와 노부모와의 관계
부모와 노부모와의 관계는 가족관계에서 또 다른 변화의 과정을 겪게 된다. 노부모 세대는 노인에 접어들기 시작하면서 육체적, 정서가치관적으로도 부모 세대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육체적으로 많이 쇠약해지면서 부모 세대가 노부모 세대를 돌봄의 대상으로 여기게 된다. 경제적 활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경제적인 부양이 필요하기도 하다. 노부모 세대 중에는 ...
참고 자료
[교안]가족복지론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연금 '영끌'해도 모자라"…노후대비 '비상' 걸렸다, 한국경제, 황정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0267772i
노후에 가진 게 국민연금 뿐? 소득 공백 이렇게 메우세요” [은퇴스쿨], 조선경제, 윤진호,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3/10/17/FVFMEQGLPFEZLKBH32UQQQIGS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강창희 행복100세자산관리연구회 대표 “저성장 시대 결핍 대비한 마음가짐 중요”, 매일경제, 김병수, https://www.mk.co.kr/news/society/10844182
신명희 외(2017), 발달심리학, 학지사
통계청 (2010). 국가인구자료, 대전: 통계청
Fiori, K. L., Brown, E. E., Cortina, K. S., Antonucci, T. C. (2006). Locus of control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life satisfaction: Age, race, and gender differences, Mental Health, Religion & Culture, 9(3), 239-263
Ho, M. Y., Cheung, F. M., Cheung, S. F. (2010). The role of meaning in life and optimism in promoting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 erences, 48, 658-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