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정보학과

  • 1
  • 2
  • 3
  • 4
  • 5
  • 6
>

상세정보

소개글

"언론정보학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선행연구
1.3. 이론적 논의

2. 본론
2.1. 광고 내용 분석
2.1.1. 인물과 오브제
2.1.2. 색과 배경음악
2.1.3. 언어
2.2. 광고가 담지하는 이데올로기 분석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롤랑 바르트의 신화 분석법을 이용하여 현대 증권의 'Able' 광고, 특히 베르나르 베르베르 편이 지니고 있는 신화와 그 신화가 담지하고 있는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분석하는 것이다."


1.2. 선행연구

바르트의 '신화'를 채용한 많은 연구들은 광고 속에 등장한 아파트를 주요한 소재로 담았다"이다. 구체적으로 김기국(2005)은 KTF의 영상 광고가 담지하는 신화를 폭로함으로써, 바르트의 방법론을 차용한 바 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조명된 기호학적 광고 분석의 대상은 바로 아파트였다. 백선기, 봉미선, 박병우(2010)는 바르트와 페어클라우의 담론분석 틀을 통해서 '레미안' 아파트가 가진 담론을 비판함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아파트가 중산층 이상의 가족 구성에 대한 판타지를 생산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서민경, 오창섭(2009)은 바르트의 신화론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래미안, 자이 롯데캐슬이 담지하는 '신귀족' 신화들 포착함으로써, 아파트가 지닌 의미화작용(signification)의 변화상을 추적했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중산층 가족'의 계급 재생산를 위한 핵심적인 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아파트를 다룸으로써, 그것이 지닌 지배적이고, 문화적인 힘들이 어떻게 대중들에게 발휘하는지를 파악했다.


1.3. 이론적 논의

롤랑 바르트의 '신화' 이론은 본 작업의 주요한 분석틀을 제공한다." 바르트에 따르면 신화란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으로써 한 사회 구조를 형성시키는 지배적 이데올로기이다." 신화는 특정한 기표에 특정한 기의를 불어넣는 의미화작용을 통해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문화를 자연적인 것으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신화의 의미화작용을 구조화하는 방식은 1차적 의미화 과정과 2차적 의미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차적 의미화 과정에서는 기표와 기의가 상호작용하여 하나의 기호를 생산하고, 2차적 의미화 과정에서는 이 기호가 하나의 신화로 작용한다." 이러한 신화 분석을 통해 각각의 신화들이 지닌 의미화작용을 분석하면서, 그것이 반영하고 있는 지배이데올로기를 폭로하는 것이 바르트의 목적이다."


2. 본론
2.1. 광고 내용 분석
2.1.1. 인물과 오브제

이 광고에서 주요한 인물은 프랑스인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이다.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원래 지닌 풍부한 기의를 통해 '프랑스인', '베스트셀러 작가', '얼마 전에 한국 온 사람', '젊은 대머리', '창의적인 사람', '패션 아이템으로써 책을 쓰는 하류 작가', '나무', '신', '개미', '판타지', '푸코', '배철수의 음악 캠프' 등등의 여러 가지 이미지를 연상시킨다. 그러나 이 광고에서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기표는 '불가능에 도전하는 창의적인 예술가'라는 신화적 개념으로 포획된다.

다른 주요한 오브제로는 '뫼비우스 띠', '눈', '두개골 형상' 등이 있다. '뫼비우스 띠'는 '난쟁이가 쏘아올린 공...


참고 자료

김선남(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한국방송학보 16(2), pp. 41~76.
김수정·조은희(2005), 생명과학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뉴스 프레임 비교연구, 韓國言論學報 49(6), pp.5-546.
김성애·이종혁(2011), 뉴스 프레임과 수용자 스키마 일치가 프레이밍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5(2).
김성재·유명길(2010), 메시지 프레이밍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 10(8).
김수진·차희원(2009), 공중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건강위험 커뮤니케이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노행동주의모델(Anger Activism Model)의 적용, 한국언론학보 53(2).
김원용·이동훈(2004) 신문의 보도 프레임 형성과 뉴스 제작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8(4).
김원용·이동훈(2005), 핵폐기장 중심 원자력 관련 보도에 나타난 매체별 갈등보도의 프레임 비교연구, 한국방송학보, 19(4).
김준홍·김유석·김승현(2010), 헬스 커뮤니케이션에서 프레이밍 학술문헌의 메타연구, 커뮤니케이션 이론 6(1).
나은경·송현주·김현석·이준웅(2008), 정서의 프레이밍: 경제 뉴스 보도 기사의 정서 반응 유발 효과, 한국언론학보 52(2), pp.378~451.
남인용(2001), 광고주 유형, 메시지 유형, 자기 검색도, 관여도가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6권 1호, pp.116-146.
박노일·한정호·홍기훈(2007), 여성 정치후보자의 미디어 프레임에 따른 남녀 수용자 인식 차이 연구, 한국언론학보 51(2).
박경숙(2002), 집단 갈등 이슈의 방송 뉴스 프레임 분석- 의약 분업
뉴스 프레임을 중심으로, 韓國言論學報 제46(2), pp. 5-706.
박동진·이진우(2010), 헬스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소화.
박정의(2003), 의학보도가 공중의 인지.감성.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7(5)
박성희(2006), 위험보도의 위기구축 기제 프레임 분석: 식품안전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5, pp 181~201.
박정의·이상규(2002), 암 관련 보도의 적절성 분석, 터뮤니케이션학 연구, 10(2)
박정의·손명세 (2001),『공중보건과 의학보도』, 서울: 한국언론재단.
배현석(2006), 감정 및 이슈 관여가 각막기증 의향에 미치는 효과 예측 모델: 정교화 가능성 모델 및 계획된 행위 이론을 중심으로, 방송연구 여름호, pp. 273~301.
송해룡·김원제·조항민(2005), 과학기술 위험보도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 GMO(유전자변형식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9(3).
이건혁(2002), 미디어 프레임이 부정 감정, 정치 냉소, 그리고 정치 효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언론학보 46(3), pp.5~482.
이귀옥·이민규·김수정(2006), 호주제 폐지에 대한 뉴스 프레이밍 비교연구,『한국언론정보학보』, 34(3), pp.132~162.
이은택·노성종·최은경·강충구(2009), 비만의 사회적 구성, 한국 언론의 비만보도 20년(1990~2009) 분석, 한국언론학회 54(2).
이서정·현명호(2008),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13권4호, pp.887~905.
이준웅(2005), 정책에 대한 뉴스 프레임의 형성과 해석적 프레임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하보 49(1).
이종민·류춘열·박상희(2007),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에 관한 연구: 개인적 관여도와 상황적 관여도의 역할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 언론학보, 51(3), pp.282∼307.
양정혜․이현주(2005), 텔레비전 뉴스와 젠더질서: 성매매방지법 보도의 프레이밍 분석.『한국방송학보』, 19(2), pp.378~418.
우형진(2007), 텔레비전 뉴스 시청이 시청자의 건강증진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한국 언론학보』, 51(2), pp.308~334.

김기국(2005), 영상광고의 시각 기호학적 글읽기, 한국프랑스학논집 제50, p487-506
롤랑바르트 (1995), 신화론, 현대미학사.
백선기, 봉미선, 박병우(2010), 감성광고의 담론적 구성과 사회적 함축의미, 한국광고홍보 학보, vol12, p37
서관모(1999), 루이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개념, 사회학연구 제15권 제2호
서동진(2009),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 신자유주의 한국사회에서 자기계발하는 주체 의 탄생, 돌배게
서민경, 오창섭 (2009), TV광고를 통해 본 한국 아파트의 문화적 의미 – 래미안, 자이, 롯 데캐슬 광고를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83호(Vol.22 No.3), p213-228
슬라보예 지젝(2009),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 – 세계금융위기와 자본주의, 창비
이기형 (2006),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 푸코의 작업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14권 3호, p106-145
이병혁(2001), 문화연구에 있어서의 라깡의 정신분석학적 시각의 유용성 – 알튀세르의 이 데올로기론 중심으로, 라깡과현대정신분석 제3권 제1호, p99-119
최승락, 구보름(2012), 애니메이션의 작품분석 연구 –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2, p53-70
페르디낭 드 소쉬르(2012), 일반언어학 강의, 지만지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