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병자삼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2. 본론
2.1. 1910년대 한국 희곡사
2.2. 극적 공간과 '병자' 모티프의 풍자성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에 대한 기존의 다양하고 상반된 해석은 작품의 의미가 표면적인 내용만 가지고는 완전히 파악하기 어렵게 다층화되어 있음을 증명해주고 있다. 초기의 논문들은 주로 이 작품의 신파성과 소극성(笑劇性)에 초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날카로운 비판정신이 담긴 희극으로 재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작품의 주제에 대한 논의도 갈등적인데, 초기에는 여권 옹호에 있다는 견해가 있었으나 곧 이와는 달리 개화 사상을 거부하고 전근대적 도덕성을 바탕으로 하여 썼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남녀 평등적 세계 구현을 통한 제국주의적 세계관의 비판이라는 새로운 평가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이분법적 해석의 틀에서 벗어나려는 최근의 연구들과 같은 시각에서 을 바라보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작품 자체의 내적인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특히 "극적 공간"을 중심으로 다층화된 의미를 분석하여 좀 더 깊이 있게 작품을 이해하고자 한다.
2. 본론
2.1. 1910년대 한국 희곡사
1910년대 우리 연극계는 신파극시대라 할 수 있을 만큼 단체의 창설과 공연활동이 빈번하였는데, 그 나름대로 현대적인 연극의 기반을 다지고 시대적으로 계몽적인 역할을 일명 담당한 것이 사실이나, 아직은 일본 신파의 모방단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혼돈과 절충과 모색의 과도기적 연극운동이었다고 하겠다""
2.2. 극적 공간과 ...
...
참고 자료
·김상선, 『한국 근대 희곡론』, 집문당, 1985.
·김성희, 『한국 현대희곡 연구』, 태학사, 1998.
·김일영, 「조중환의 문학작품에서 드러나는 시대적 대응의식」,『문학과 언어』, 제12집, 문학과 언어연구회, 1991.
·김옥신, 「한국근대희곡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2.
한국극예술학회, 「조중환, <병자삼인>」,『한국현대대표희곡선집 1』, 태학사, 1996,
권오만, 「병자삼인고」, 『국어교육』17, 1917,
이두현, 『한국연극사(개정판)』, 학연사, 1996,
서연호, 『한국근대희곡사』, 고려대출판부, 1994,
조창환, 「조일재작 <병자삼인>의 극문학적 성격」, 『국어문학』(전북대) 22, 1982,
권순종, 「<병자삼인> 연구」, 『영남어문학』14, 1987,
양승국, 「<병자삼인> 재론」, 『한국극예술연구』제10집, 1999,
구명옥, 「희극 <병자삼인> 연구」, 『한국극문학』제1집, 1999,
유민영, 『한국현대희곡사』, 홍성사, 1982,
양승국, 「<병자삼인> 재론2-<여천하>와 관련하여」, 『한국극예술연구』제10집, 1999,
우수진, 「<병자삼인>연구」, 『한국극예술연구 제15집』,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