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의 호흡기계 특성
1.1. 해부학적 차이점
아동의 호흡기계는 성인의 호흡기계와 해부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출생 시부터 사골동(ethmoid sinus)과 상악동(maxillary sinus)이 존재하지만 전두동(frontal sinus)과 접형동(sphenoid sinus)은 6-8세까지 발달하지 않는다.
둘째, 상대적으로 아동은 크고 무거운 머리와 작은 입, 짧은 목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도의 구조가 성인에 비해 작고 좁은 편이다.
셋째, 아동의 콧구멍과 후비공이 작아 기도의 저항이 더 크다. 또한 혀의 기저부와 성문 개구부 사이의 각도가 크기 때문에 공기 흐름이 좋지 않다.
넷째, 성문과 후두가 높은 위치에 있어 성인의 C4 수준보다 높은 C2-C3 수준에 위치한다.
다섯째, 아동은 2세 이후 오른쪽 기관지가 왼쪽 기관지에 비해 더 짧고 각진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이물질이 들어가는 경우 오른쪽 기관지로 흡인되기 쉽다.
이와 같은 해부학적인 차이로 인해 아동의 호흡기계는 성인에 비해 더 좁고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동 간호 시 이러한 해부학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1.2. 생리학적 차이점
신생아와 아동의 호흡기계는 성인과 생리학적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간호사정과 처치를 진행해야 한다.
신생아와 아동의 호흡기계의 생리학적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생아와 아동은 성인에 비해 흡기 시 호흡근육을 더 많이 사용한다. 신생아는 복부근육을 사용하여 흡기를 하는 복식호흡을 하지만, 점차 연령이 증가할수록 늑간근육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는 성장과 더불어 호흡조절 메커니즘이 발달하기 때문이다.
둘째, 아동의 폐표면활성물질(surfactant) 생성이 성인에 비해 부족하다. 폐표면활성물질은 폐포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폐의 확장을 돕는데, 신생아와 영유아에서는 생성이 미숙하여 무호흡이나 폐허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아동의 호흡근육은 성인에 비해 작고 약하다. 따라서 호흡곤란이나 피로가 쉽게 발생하여 폐렴 등의 질환에 취약하다. 이로 인해 아동의 호흡일은 성인에 비해 증가하게 된다.
넷째, 아동의 폐포는 성인에 비해 크기가 작고 수가 적다. 이로 인해 단위 폐용적당 표면적이 감소하여 가스교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폐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환기-관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다섯째, 아동의 기도 크기가 성인에 비해 작다. 이로 인해 기도저항이 증가하고 호흡일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도의 경우 기도가 좁아 쉽게 폐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동의 호흡기계 생리학적 특성은 아동의 간호사정과 처치 시 고려되어야 한다. 간호사는 아동의 연령과 발달단계에 따른 호흡기계 특성을 숙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심한 호흡기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2. 아동 호흡기계 간호사정
2.1. 병력 청취
아동의 병력 청취는 주요 증상, 과거력, 가족력을 확인하여 아동의 호흡기계 문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먼저 주요 증상으로는 기침, 빠른 호흡, 소리 나는 호흡, 붉어진 목, 기면, 창백, 발열 등을 확인한다""이다.
과거력으로는 빈약한 체중 증가, 출생 시 호흡곤란, 미숙아 경험 등을 확인한다""이다.
가족력으로는 천식이나 호흡기계 감염을 가진 가족 구성원 유무를 파악한다""이다.
이러한 병력 청취를 통해 아동의 호흡기계 증상과 관련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이다.
2.2. 신체사정
2.2.1. 시진
시진은 호흡기계 사정 시 관찰할 수 있는 외관적인 특징을 의미한다. 아동의 경우 성인과 다른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호흡기계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먼저, 아동의 흉부는 성인에 비해 짧고 좁으며, 상대적으로 큰 머리와 작은 입, 짧은 목을 가지고 있다. 또한 콧구멍과 후비공이 작고, 혀의 기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