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편입학 개요
1.1. 편입 구분 및 정의
편입은 입학 정원 중 발생한 결원을 보충하기 위해 시행되는 입학 전형으로, 4년제 대학의 2학년을 수료하고 지원하는 일반 편입과 4년제 대학을 졸업하였거나 법률에 의해 그와 동등한 학력을 가진 사람(학점은행제 등)이 지원할 수 있는 학사편입으로 나뉜다""
1.2. 편입학 전형 요소
편입학 전형 요소는 크게 필기, 서류, 면접, 실기 등으로 구분된다.
먼저 필기 시험의 경우, 인문계열은 주로 영어시험이, 이공계열은 영어와 수학시험이 출제된다. 필기시험은 지원자의 전공에 대한 기본 실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음으로 서류 전형에서는 전적대 성적,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등이 평가 대상이 된다. 전적대 성적은 지원자의 학업 능력을, 자기소개서와 학업계획서는 지원 동기와 향후 수학 계획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면접 전형은 평가대상자를 상대로 수학 능력, 전공 이해도, 인성 등을 평가한다. 면접관들은 지원자의 전반적인 자질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일부 대학의 예체능계열에서는 실기시험을 실시하기도 한다. 이는 해당 전공에 특화된 실력을 직접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편입학 전형은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지원자는 이러한 평가 기준을 사전에 숙지하고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편입에 성공할 수 있다."
1.3. 편입학 전형 일정
편입학 전형 일정은 매년 11월부터 2월까지 진행된다. 먼저 편입 요강이 11월~12월에 발표되며, 12월에 원서접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1월에 필기시험과 면접이 실시되고, 최종적으로 2월에 합격자가 발표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편입 요강 발표는 11월~12월 사이에 이루어진다. 대학들은 편입 전형 요강을 공개하여 지원 자격, 전형 방법, 선발 일정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12월에 원서접수가 진행된다. 지원 희망자들은 이 시기에 원서를 제출하게 된다. 이어서 1월에는 필기시험과 면접 전형이 실시된다. 필기시험은 영어, 수학 등의 과목으로 구성되며, 면접 시험을 통해 지원자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2월에 합격자 발표가 이루어진다. 대학들은 전형 결과를 공개하고 합격자를 최종 선발하게 된다.
이처럼 편입학 전형은 한 해 동안 여러 단계에 걸쳐 진행되며, 지원자들은 각 단계의 일정을 숙지하고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할 것이다.
2. 개인 편입 경험
2.1. 편입 지원자 소개
저는 2011년 상위권 대학 편입 전형에 합격하고 졸업 후에 대기업에 취업한 사람입니다. 중학교, 고등학교 때부터 공부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집중력이 좋지 않아 30분 이상 한 자리에 앉아 있기를 힘들어 하였고, 중학교 때 단 한 번도 평균 70점을 넘어보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고등학교 2학년 때 대학진학에 대한 압박 때문에 조금씩 공부하는 것을 시작했고, 그 결과 외국어영역 성적은 2등급에서 3등급 정도였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저는 서울소재 중하위권 대학 영어영문학과에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대학교 1학년이 되자마자 방황을 시작했고, 학점은 1점대였으며, 토익도 200점대였습니다. 이후 22살에 군 입대를 앞두고 2학기를 휴학하고 본가로 내려왔는데, 입대하기 전에 최대한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고자 토익학원에 등록하고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토익 점수가 700점대로 크게 상승하였고, 편입 준비에 열심히 매진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2008년 1차 편입 도전에 실패하였고, 이에 대한 반성과 재도전 결심 끝에 결국 2011년 최상위권 대학에 편입에 성공하였습니다..
2.2. 편입 전 영어 능력 및 학교생활
고등학교 때부터 공부에 대한 관심이 적었던 저는 중학교 때 단 한 번도 70점을 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대학진학에 대한 압박으로 공부를 시작했고, 특히 외국어 영역 성적은 상대적으로 좋은 편이었습니다. 모의고사 성적을 보면 외국어 영역은 2등급에서 3등급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대학교 1학년 때부터 방황을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부모님의 잔소리를 들으며 학교와 학원에서 공부했지만 이제는 스스로 진로를 개척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술로 시간을 보내며 학점도 1점대로 떨어졌고, 토익 성적 또한 200점대에 그쳤습니다. 슬기롭게 시간을 보내지 못했던 1학년 때의 방황은 저에게 큰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21살이 되었을 때 가장 힘들었던 것은 '시간을 보내는 일'이었습니다. 친구도 많지 않았고 동기들과도 어울리지 못했기 때문에 하루 10시간 이상 스타크래프트만 플레이했던 적도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아이러니하게도 공부가 하고 싶어졌습니다. 하지만 동기들은 저에게 "어짜피 군대가면 다 까먹을 것을 왜 지금부터 공부하냐"며 만류했습니다.
22살에 군대 입대를 앞두고 2학기를 휴학하고 본가로 내려왔습니다. 입대 전 최대한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고 싶었고, 이 때 토익학원에 등록하고 하루 6시간 정도 영어 공부를 했습니다. 열심히 공부한 결과 입대 2개월 전 토익 975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2.3. 편입 준비 과정
2011년 상위권 대학에 편입에 합격한 저는 편입을 준비하기 전 대학생활에 방황하고 있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때부터 공부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고 집중력도 좋지 않아 학업에 소홀했었다"". 고등학교 2학년이 되어서야 대학 진학에 대한 압박감으로 조금씩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그때부터 외국어영역 성적이 나쁘지 않았다"".
편입 지원자가 된 저는 우여곡절 끝에 서울소재 중하위권 대학 영어영문학과에 진학하게 되었지만, 대학생활에서 방황하기 시작했다"". 1학년 때부터 술로 시간을 보냈고 학점은 1점대로 떨어졌으며 토익 성적도 200점대에 불과했다"". 군대에 가기 전 21살 여름에 2학기를 휴학하고 본가로 내려온 저는 토익 학원에 등록하고 공부를 시작했다"". 하루에 영어만 6시간 정도 공부한 결과, 몇 달 만에 토익 점수를 700점대로 끌어올릴 수 있었고 마침내 975점을 받았다"".
편입 준비를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