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청소년 성병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
1.1. 주제 선정 이유
성병은 치료 시기와 예방이 굉장히 중요하다. 2018~2020년까지 한동안 청소년 성병 문제가 대두되었던 적이 있었지만, 이내 다시 수그러들었다. 그러던 중 최근 방영하고 있는 TV 프로그램인 '고딩엄빠'라는 방송이 이슈화되면서 다시금 청소년들의 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성병에 노출된 청소년들이 문제를 숨기기에 급급하여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본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청소년 성병 현황
1.2.1. 10대 성병환자 증가 추세
최근 5년간(2014~2018) 청소년 성병 진단 실태 발표 자료에 따르면 성병으로 진단받은 10~19세 청소년이 5만 6,728명에 달하고, 매년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최근 5년간 약 33%가 급증한 수치이다. 지난해 성병으로 진단을 받은 10대는 공식적으로만 1만 2천여 명이며, 지난해 청소년 6만여 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5.7%가 '성관계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성관계를 시작한 평균 나이는 만 13.6세로 조사되었다. 특이한 점은 10대 남성보다 10대 여성의 성병 환자 발생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2.2. 청소년들의 성 관련 인식과 행동 분석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성병이 비위생적 행동과 문란한 성생활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성적으로 문란한 사람들 사이에서만 퍼지는 것이기 때문에, 성매매를 직업으로 하는 사람과 성적인 접촉을 하지 않는 한 성병에 걸릴 위험이 없다고 믿고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성병을 주로 성인들이 걸리는, 치료가 불가능한 치명적인 질병으로 알고 있었다. 대중매체에서 보여 준 매독 말기 증상이나 AIDS 증상이 일반적인 성병 증상이라고 여겼다.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성병에 대처한 우선적 행동은 '무시'였다. 성병 감염을 상상하지 못했고, 알지 못했기 때문에 나타난 증상을 무시했다. 적극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병원을 찾기보다는 참고 견디며 생식기를 깨끗하게 씻는 것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증상이 성병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후에도, 증상을 견디고 혼자 고통을 감내했다. 청소년인데 성병에 걸린 것이 부끄러웠기 때문이다. 주변 어른이나 의료인 같은 전문가에게 도움을 청하게 되면 성 행동을 했다는 것을 꾸짖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래서 그들은 차라리 증상을 견뎌 내기로 했다.
1.2.3. 성병 예방교육의 필요성
성병 예방교육의 필요성은 청소년들의 성병 현황을 고려했을 때 매우 중요하다. 최근 5년간(2014~2018년) 10~19세 청소년 성병 진단자가 5만 6,728명에 달할 정도로 청소년 성병 환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여학생의 성병 환자 증가율이 남학생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성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과 행동이 적절하게 교정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청소년들은 성병을 주로 성인들이 걸리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여기고 있었으며, 증상이 나타나도 부끄러워서 적극적으로 치료받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처럼 성에 대한 개방적이고 정확한 인식 없이 성행동을 하다 보니 의도치 않게 성병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교와 가정에서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성교육을 실시하여 성병의 심각성과 예방법을 교육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안전한 성 활동을 돕고, 성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1.3. 보건교육계획안
1.3.1. 교육대상 및 목표
교육대상은 OO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며, 학생들의 일반적 학습목표는 성병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성병 예방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학습목표는 첫째, 청소년 성병의 현황에 대해 이해한다. 둘째, 성병으로 발생하는 위험한 문제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셋째, 성병 예방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1.3.2. 교육내용 및 방법
교육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성병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성교육을 통해 성병 예방하기 위해 교육을 시행한다. 먼저 청소년들의 성병 현황에 대해 설명한다. 최근 5년간(2014~2018년) 청소년 성병 진단 실태 자료를 바탕으로 10대 청소년들의 성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