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간호학실습 섬망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섬망의 정의와 중요성
1.2. 문헌 고찰의 목적
1.3. 노인 섬망 관리의 필요성
2. 본론
2.1. 섬망의 특성 및 진단
2.1.1. 섬망의 진단적 특징
2.1.2. 섬망 진단을 위한 검사
2.2. 섬망의 원인
2.2.1. 감염, 대사 장애, 중추신경계 질환 등 유발 요인
2.2.2. 연령별 섬망 유발 요인의 차이
2.3. 섬망의 유형별 증상
2.3.1. 과다활동형, 저활동형, 혼합형 섬망
2.3.2. 섬망과 치매의 구분
2.4. 섬망 환자의 간호중재
2.4.1. 노인 입원환자의 섬망 간호
2.4.2. 노인 수술환자의 섬망 간호
2.4.3.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섬망예방 프로그램
3. 결론
3.1. 요약 및 함의
3.2.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섬망의 정의와 중요성
섬망은 의식과 지남력(날짜, 장소, 사람에 대한 정확한 인식)의 기복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질병으로, 급성혼돈(acute confusion), 급성뇌부전(acute brain failure)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DSM-5(2013)에서는 '의식이 혼미해지고 주의집중 및 전환능력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될 뿐 아니라 기억, 언어, 현실 판단 등의 인지기능에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섬망은 급격하게 의식이 혼탁해지면서 지남력 장애, 착각, 망상, 환작증상을 보이는 뇌의 부전 상태를 나타낸다.
섬망은 주로 신체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며, 병적인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여 병적 상황이 해결되면 사라지는 반복성을 가지고 있다. 섬망은 80세 이상의 노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병으로, 대상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자택에서 병원이나 요양 시설로 급격한 환경의 변화가 있을 때, 수술로 인한 신체적 스트레스가 심할 때, 중환자실에 입원한 경우, 불안이나 공황장애 등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할 때 갑자기 의식이 흐려지고 혼미한 상태가 되면서 착각이나 환각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많은 노인 환자는 입원 도중 섬망을 경험한다. 섬망과 같은 인지기능 장애가 있는 경우 기존 질환의 치료행위에 대한 순응도가 낮아져 환자의 경과나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섬망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소에 대한 조기발견과 이에 대한 중재가 중요하다.
1.2. 문헌 고찰의 목적
문헌 고찰의 목적은 섬망의 정의와 중요성, 노인 섬망 관리의 필요성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으로 섬망의 특성과 진단, 원인, 유형별 증상, 섬망 환자의 간호중재 등을 고찰함으로써 노인 섬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나아가 섬망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1.3. 노인 섬망 관리의 필요성
노인 섬망 관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환자의 섬망 발병률이 높기 때문이다. 섬망은 80세 이상의 노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병으로, 노인 환자의 경우 기존 질환의 치료행위에 대한 순응도가 낮아져 경과나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 전체 병원 입원 환자의 10~15%가 섬망을 경험하며, 특히 수술 후 또는 노인에게 흔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노인 섬망 환자의 증가로 인한 의료서비스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둘째, 노인 섬망이 삶의 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섬망은 일시적인 뇌 기능 변화로 인한 의식과 지남력 장애를 동반하며, 정신적 행동 증상을 유발한다. 섬망 발생 시 향후 치매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으며, 낙상, 와상, 합병증 등의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섬망 환자는 보호자의 돌봄 부담이 가중되어 전반적인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셋째, 노인 섬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노인 섬망은 조기 발견과 적절한 간호중재를 통해 예방과 관리가 가능하다. 입원 노인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섬망 사정과 더불어 약물 부작용 최소화, 수면 관리, 일상생활 기능 증진 등의 비약물적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특히 요양병원 입원 노인 대상의 섬망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종합하면, 노인 섬망 환자의 증가, 삶의 질 저하, 체계적인 간호중재의 필요성 등으로 인해 노인 섬망 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본론
2.1. 섬망의 특성 및 진단
2.1.1. 섬망의 진단적 특징
섬망의 진단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섬망의 필수적 특징은 기저의 인지 변화를 동반하는 주의나 의식의 장애이다. 이는 이미 존재하거나 진행 중인 신경인지장애로는 잘 설명이 되지 않는다. 주의가 산만하여 질문을 반복해야 하거나 주의를 적절하게 전환하지 못하고 이전 질문에 대한 대답을 반복하기도 한다.
둘째, 섬망은 단기간에 걸쳐 발생하고 기저 상태의 주의와 의식으로부터 변화를 보인다. 또한 하루 경과 중 심각도가 변동하는 경향이 있는데, 흔히 외부의 방향 자극이 감소하는 저녁과 밤에 심해진다.
셋째, 섬망에는 기억과 학습(특히 최근의 기억), 지남력장애(특히 시간과 장소), 언어의 변화, 지각의 왜곡, 지각-운동장애 등 부가적 인지장애가 동반된다.
넷째, 섬망에 수반된 지각장애에는 오해, 착각, 또는 환각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섬망은 DSM-5 진단...
참고 자료
Sue E. MEiner 외 (2022) 노인간호학, 메디컬사이언스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 아산병원 > 질환백과 > 섬망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6
노인 간호학 , 수문사, 2015
성인간호학 上, 현문사
성인간호학 下, 현문사
논문『낙상예방 의료지침』, 대한내과학회지, 2015
현장에서 바로 통하는 노인간호기술 , 한언, 2010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매뉴얼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 미국정신의학협회(APA)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황혜정.(2017). 노인 섬망 환자의 간호학적 고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6): 395-403
이양승, 민경은, 신성희. (2020). 수술 전 동영상 교육이 전신마취수술 노인환자의 섬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26(1), 52-62.
황혜정, 신영희, 김가은. (2017).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9), 203-215.
강민영. (2020). 회복실 간호사의 수술 후 노인 섬망 선별 및 간호수행 : Q-방법론적 접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숙, 김순오, 김희정, 최윤정(2018). 정신건강간호학, 신광출판사
Pisani, MA., Murphy, TE., Araujo, KL., Slattum, P., Van Ness, PH., & Inouye, SK. Benzodiazepine and opioid use and the duration of in tensive care unit delirium in an older population. Critical Care Medicine, (2009), Vol.37, No,1, pp.177-183.
박명화, 김정선, 김효정, 박연환(2017). 노인간호학 4판, 정담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