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담석증이란
1.1. 정의
우리 몸의 간에서는 매일 큰 맥주병 2병 정도(750mL)의 담즙을 생산합니다. 이 담즙은 담관과 담낭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분비되며, 지방 음식 소화, 콜레스테롤 대사, 독성 물질 배출 등의 생리적 기능을 합니다. 담즙의 성분은 콜레스테롤, 지방산, 담즙산염 3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의 구성 비율은 생체 내에서 정확하게 조절됩니다. 이러한 성분 비율에 변화가 생기면 찌꺼기가 생기고, 이 찌꺼기가 뭉쳐져서 돌처럼 단단하게 응고되어 담낭이나 담관내에 쌓이는 질환을 담석증이라고 합니다.
1.2. 담석의 분류
1.2.1. 성분(화학적 조성)에 따른 분류
담석의 성분(화학적 조성)에 따른 분류는 크게 콜레스테롤 담석과 색소성 담석으로 나뉜다.
콜레스테롤 담석은 담석의 주성분이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를 말하며, 전체 담석증의 약 80%를 차지한다. 담즙 내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과포화 상태가 되면 결정화되어 담석을 형성하게 된다. 관련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및 여성호르몬, 유전, 비만 및 급격한 체중감소, 당뇨, 고지혈증 및 대사증후군, 식이, 복용약물 및 알코올 섭취, 기타 전신상태 및 관련 질환(출산, 위 수술 후, 기타질환) 등이 있다.
색소성 담석은 담석의 주성분이 색소 빌리루빈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를 말하며, 전체 담석증의 약 20%를 차지한다. 동양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데, 비포합성·비용해성 빌리루빈의 양이 증가하면 빌리루빈이 침전되어 색소성 담석으로 응집되거나 혼합석의 성장에 필요한 핵으로 작용하게 된다. 관련 요인으로는 감염, 만성 용혈, 간경변증 등이 있다.
1.2.2. 색소성 담석(Pigment Stone)
색소성 담석(Pigment Stone)은 담석의 주성분이 색소 빌리루빈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말한다. 서양에 비해 동양에서 더 흔히 발생하며, 전체 담석증의 약 20%를 차지한다.
색소성 담석에는 갈색 담석과 흑색 담석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갈색 담석은 간디스토마(간흡충) 등의 기생충 감염이나 담관의 세균 감염이 있는 사람에게 주로 발생한다. 영양 상태나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에게서도 잘 생기는 편이다. 갈색 담석은 담낭과 담관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반면 흑색 담석은 염증이 없는 무균의 담즙에서 발생하며, 간경변증이나 용혈성 황달 환자, 크론병 등으로 회장을 절제한 환자에게서 주로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에는 색소성 담석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비만 환자가 증가하면서 콜레스테롤 담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2. 담석증의 원인
2.1. 공통적으로 관련되는 위험인자
고령, 여성, 유전적 소인은 담석증의 공통적으로 관련되는 위험인자이다. 우선 고령의 경우, 담석은 40세 이후에 많이 발생하며 어린이에게는 드물게 나타난다. 여성이 남성보다 2~3배 빈도가 높게 담석증이 발생하는데, 이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담즙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기 때문이다. 또한 다산경험이 있는 경산부에게 호발하는 이유도 임신중 담낭의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다. 마지막으로 유전적 소인도 담석증 발생의 중요한 요인으로, 가족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고령, 여성, 유전적 요인은 담석증 발생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주요 위험인자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