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범이론모형 요약 및 사례 설명 문헌고찰 소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범이론 모형(Transtheoretical Model)
1.1. 개요
1.2. 범이론 모형의 구성요소
1.2.1. 변화단계
1.2.2. 변화과정
1.3. 보건간호학 분야의 범이론적 모형 적용
1.3.1. 금연 행동 변화 단계 연구
1.3.2. 연구 결과
2. 청소년 게임 중독 치료에서의 범이론 모형 적용
2.1. 연구 방법
2.1.1. 연구 대상
2.1.2. 측정 도구
2.1.3. 치료 프로그램 구성
2.1.4. 연구 절차
2.2. 연구 결과
2.3. 논의
3. 범이론 모형의 활용 가능성
3.1. 금연 및 기타 중독 분야 적용
3.2. 향후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범이론 모형(Transtheoretical Model)
1.1. 개요
범이론 모형(Transtheoretical Model)은 심리적 이론의 역동성을 행위 변화에 적용하여 건강행위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프로차스카와 디클레멘트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개인이 어떻게 건강행동을 시작하고 유지하는지에 대한 과정과 원칙을 설명한다.
이 모형의 기반이 된 이론은 제니스와 맨의 의사결정균형이론과 반두라의 자기효능감 이론이다. 의사결정균형 이론은 행동 변화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지각에 초점을 두며, 자기효능감 이론은 개인의 지각과 행위 간의 관계를 중재하는 동기 요인으로 자기참조적 사고를 제시한다.
범이론 모형은 변화 단계와 변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화 단계는 계획 이전, 계획, 준비, 행동, 유지/종료 단계로 구분되며, 변화 과정은 인지적 과정과 행동적 과정으로 나뉜다. 이 모형은 개인의 행동 변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실제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2. 범이론 모형의 구성요소
1.2.1. 변화단계
변화단계는 개인이 행동을 변화하는 과정에서 거치는 5개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계획 이전 단계로, 향후 6개월 안에 행동 변화를 시도할 의도가 전혀 없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 있는 개인들은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저항적이며 변화에 대한 동기가 부족하다. 이들에게는 변화의 이점을 강조하고 압력이 적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두 번째는 계획 단계로, 6개월 이내에 변화할 마음은 있지만 실제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개인들은 변화의 장단점을 분명히 알고 있지만, 당장 행동변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들에게는 지속적인 자극과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세 번째는 준비 단계로, 1개월 이내에 구체적인 행동 변화 계획을 가지고 있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개인들은 의도적으로 행동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며, 실행 가능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들에게는 자가 학습용 자료를 통한 교육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네 번째는 행동 단계로, 건강한 습관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개인들은 개인적인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지만, 변화가 일정하게 지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문가가 인정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 번째는 유지 및 종료 단계로, 중독이나 불건전한 습관이 없어진 상태에서 6개월 이상 생활 습관이 지속된 단계이다. 이 단계의 개인들은 자기 효능감을 갖게 되며, 예전 행동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노력한다.
1.2.2. 변화과정
변화과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다른 행동변화를 단계별로 진행하면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기술이며 인지적 과정과 행동적 과정의 2개 구성개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지적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인식제고: 어떤 문제행동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추구하고, 이해하며 피드백을 얻으려고 하는 개인의 노력 결과물이다.
2. 정서적 각성 또는 극적 해소: 올바른 행동이 취해질 때 갈등이 줄어들어 정서적인 경험의 공유가 증가되는 과정이다.
3. 자아재평가: 좋은 행위를 할 때의 모습과, 아닌 모습을 봤을 때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서적, 인지적인 재평가를 의미한다.
4. 환경재평가: 개인의 행위가 물리적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어떻게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이다.
5. 사회적 해방: 같은 말로 사회적 개선이라고도 하며, 상대적으로 억압받고, 박탈된 사람들을 위해 기회나 대안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행동적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대체행동형성: 어떤 행동을 했을 때 대체할 수 있는 행...
참고 자료
최연희,이지현 외 공저(2016)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2. 수문사
김아영.(1998).동기이론의 교육현장 적용 연구와 과제: 자기효능감 이론을 중심으로.교육심리연구.12(1).105-128
김덕진.(2010).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의사결정균형과 행동의도간의 관계에서 운동동기의 매개효과 검증.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34(3).149-160
김순용,김소인,전영자,이명숙,이숙자,박은숙,et al.(2000).한국노인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의 예측모형구축 범이론적모델(Transtheoretical Model)을 기반으로.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30(2).366-379
Surwit,R.S.(2013). The Mind-Body Diabetes Recolution: A proven New Program for Better Blood Sugar Control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2021). 지역사회보건간호학2. 수문사
주해원, 현명호, 박지선(2011). 범이론 모형에 기반한 치료가 청소년 게임 중독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