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검진 및 예방접종 정책

  • 1
  • 2
  • 3
  • 4
  • 5
  • 6
  • 7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자궁경부암 검진 및 예방접종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궁경부암

3. 국내 자궁경부암 보건의료 정책 동향
3.1. 국가암검진사업
3.2. 자궁경부암검진 사업 변화과정
3.3. 건강여성 첫걸음 클리닉 사업

4. 국외 자궁경부암 보건의료 정책 동향
4.1. 주요 국가 여성청소년 대상 자궁경부암 백신 도입 시기 및 접종권장 연령
4.2. 필리핀의 정책 동향
4.3. 호주의 정책 동향
4.4. 미국의 정책 동향
4.5. 일본의 정책 동향

5. 국내 HPV백신 접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으로,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이 주된 원인이다. 자궁경부암은 세계 여성암 사망률 2위 질환이며, 하루 평균 853명이 자궁경부암으로 사망하는 등 매우 치명적이다. 국내에서도 환자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5년 사이 국내 자궁경부암 환자는 15% 이상 증가했으며, 20~30대 환자는 5년 새 47% 가량 늘었다.

특히 젊은 층에서 자궁경부암 발생이 증가하는 이유는 성 개방 풍조 확산으로 성관계 경험이 늘고 시작 연령도 어려지면서, HPV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자궁경부암은 자궁경부 바깥쪽에서 나타나는 편평상피세포암과 안쪽에서 나타나는 선암 두 가지 형태로 발병하는데, 20~30대 젊은 여성은 상대적으로 선암의 비율이 높은 편이라 더욱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자궁경부암은 예방 백신 접종과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2016년부터 만 12세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HPV 백신 예방접종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국가암검진 사업에도 자궁경부암 검진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20~30대 젊은 여성의 경우 검진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HPV 백신이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으로만 알려져 남성에게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자궁경부암의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한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의 동향을 살펴보고, 현재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이다. 자궁경부 표면의 정상 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미세한 현미경학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자궁경부 상피내이형성증(정상조직과 암조직의 중간)을 거쳐, 상피 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자궁경부암 0기)으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발견하지 못하여 치료하지 못하면 다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한다. 정상 상피세포에서 침윤암이 되는 과정은 수년 내지 수십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자궁경부암은 세계 여성암 사망률 2위 질환이며(15-44세 기준), 하루 평균 853명이 자궁경부암으로 사망한다는 통계(2019년 스페인 카탈루냐 연구소)가 있을 정도로 치명적이다. 국내에서도 환자 수는 조금씩 늘어나는 상황이다. 2013년 국내 자궁경부암의 발생은 여성에서 발생하는 암의 14.4%를 차지하며, 전체 여성암 발생순위 7위로 부인암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그러나 자궁경부암은 조기진단 용이성과 치료의 발달로 높은 생존율을 보이며, 2009~2013년 사이에 발생된 자궁경부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0.1%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궁경부암의 유발요인으로는 인유두종바이러스감염, 결혼과 성교의 양상, 사회경제적 특성, 포경 여부와 음경의 위생상태, 성전파성 질환이나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AIDS), 흡연 등이 있다. 실제로 환자 99.7%에서 HPV 감염이 발견된다. 따라서 자궁경부암의 예방,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정부가 어떠한 정책을 제정하고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3. 국내 자궁경부암 보건의료 정책 동향
3.1. 국가암검진사업

국가암검진 사업은 우리나라 국민의 사망원인 1위인 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유도함으로써 암의 치료율을 높이고 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국내의 국가암검진 항목에는 자궁경부암 검진이 포함되어 있으며, 기존에는 3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했지만, 2016년부터 20세 이상 여성으로 대상이 확대되었다. 검진대상은 만 20세 이상 여성으로,...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자궁경부암]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국내 하루 2명 이상 자궁경부암으로 사망... 남성도 백신 접종해야”, 김지예, 헬스인뉴스, 2021.05.20 https://www.health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364
국립암센터 > 국가암관리 사업 > 국가암검진사업 https://www.ncc.re.kr/main.ncc?uri=manage01_4
연수구 보건소 > 보건사업 > 국가암검진 사업 https://www.yeonsu.go.kr/clinic/health/physical/national.asp
보건복지부 > 공공보건 > 질병정책 > 암 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 https://www.mohw.go.kr/react/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300101&PAGE=1&topTitle=
질병관리청 > 예방접종도우미 > 예방접종 길잡이 >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https://nip.kdca.go.kr/irgd/index.html
“ ‘자궁경부암’, 백신접종·정기검진으로 예방”, 편집부 기자, EMD, 2020.04.08. http://mdon.co.kr/mobile/article.html?no=26625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정책뉴스 > 여성에게 잘 나타나는 질병 자궁경부암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895283
“영국, 10대 남학생들도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시작”, 황선우, 국민일보, 2019.07.10 http://m.kmib.co.kr/view.asp?arcid=0013478190
“박보검도 맞았다는데···남자도 자궁경부암 백신을 맞아야 한다?”, 권민지, 의사신문, 2020.10.05.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2628
“자궁경부암 백신 女 무료접종 확대...男도 필요한 이유”, 뉴시스, 2021.08.20.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10820/108636765/1
“남자라 자궁도 없는데... 60만원 자궁경부암 주사 맞으라니요?”, 이재은, 머니투데이, 2019.11.17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11141450351912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연구활동 > 여성정책동향 > 국제동향 > 캐나다, 자궁경부암 백신의 남성 접종 등 자궁경부암 예방 프로그램 확대 https://www.kwdi.re.kr/research/ftrandView.do?p=3&idx=124983
안숙희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1, 제5판, 현문사, 2021
채종원, ““자궁경부암 백신 26세 女까지 무료접종... 男청소년도 지원”, 이낙연 “금수저 백신 해소””, 매일경제, 2021.7.16.
지용준, “미국 등 19개국가 남성의무화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우리나라 비용 때문에”, 헬스케어, 2020.1.15.
통계청, 2016, 2016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보건복지부 국립암센터, 2015, 2015 통계로 본 암 현황
질병관리본부, 질병정책과/예방접종관리과, 2016.4.27.
미국 연방하원 법률개정협의사무국,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예방 및 치료에 관한 법률, 2000
여성건강간호학 Ⅱ, 박영주 외 공저, 현문사
금강일보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25113#0BJ
네이버 지식백과
세브란스 연세암병원 https://sev.iseverance.com/cancer/dept_clinic/cancer_center/women_cancer_center/women_cancer/cervical_cance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