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실험 목표 및 개요
이번 실험의 목표는 여러 가지 색의 식용색소 용액들의 흡수 스펙트럼을 얻고 이로부터 색을 띤 용액이 흡수하는 빛의 색(파장)은 용액의 색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흡광도 vs 농도의 표준곡선을 얻은 다음 이를 이용하여 구강청결제에 들어 있는 식용색소의 양을 결정해 보는 것이다.
1.2. 실험 원리
백색광은 가시광선 영역인 파장 약 400~700 nm에 해당하는 다양한 파장의 빛이 혼합된 것이다. 이 백색광이 분광 장치를 통과하면 파장별로 분리되어 나타나는데, 이를 가시광선 스펙트럼이라 한다. 이 가시광선 스펙트럼에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등 7가지 색이 나타나는데, 각 색은 고유한 파장 범위를 가지고 있다.
식용색소 용액을 백색광에 노출시키면 색소가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우리 눈에 보이는 색이 된다. 이를 흡수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즉, 식용색소 용액이 특정 파장대의 빛을 흡수함으로써 고유의 색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이 때 각 식용색소 용액이 가장 많이 흡수하는 파장(λmax)과 그때의 흡광도(A)를 측정하면, 해당 식용색소가 어떤 색을 띠는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 1호 용액의 경우 가장 많이 흡수하는 파장이 약 629 nm이고, 이때의 흡광도가 0.51이므로 청색 1호 용액은 주황색을 띠게 된다.
또한 식용색소 용액의 농도에 따라 흡광도가 달라지는데, 이는 Beer-Lambert 법칙에 따른 것이다. 이 법칙에 의하면 용액의 흡광도(A)는 용질의 몰농도(c), 용액의 경로 길이(b), 그리고 용질의 몰 흡광 계수(ε)의 곱에 비례한다. 이를 활용하여 식용색소 용액의 농도와 흡광도의 관계를 표현하는 검정 곡선을 작성할 수 있다.
이상의 원리를 바탕으로 이번 실험에서는 식용색소 용액의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색소 용액의 색과 흡수 파장 간의 관계를 알아보며, 흡광도와 농도 간의 표준 곡선을 작성하여 구강청결제의 식용색소 농도를 결정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백색광과 가시광선
백색광은 파장 성분이 가시광선 영역인 390 nm ~ 750 (780) nm에 걸쳐 고르게 퍼져 있는 빛이다. 이 백색광은 세 가지의 기본 원색인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빛이다. 따라서 백색광은 우리 눈에 밝고 하얀 색으로 보인다.
가시광선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의 영역을 말한다.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는 약 390 nm부터 750 (780) nm까지이다. 이 가시광선 영역에서 각 파장대의 빛은 우리 눈에 다른 색깔로 보인다.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색은 다음과 같다.
보라색 : 380 ~ 420 nm
남색 : 420 ~ 450 nm
파란색 : 450 ~ 495 nm
초록색 : 495 ~ 570 nm
노란색 : 570 ~ 590 nm
주황색 : 590 ~ 620 nm
빨간색 : 620 ~ 750 nm
이처럼 가시광선 영역의 빛은 파장에 따라 다양한 색깔로 우리 눈에 보인다. 이는 우리 눈의 망막에 있는 광수용체인 간추체 세포가 다양한 파장의 빛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2.2. 빛의 흡수와 투과
빛의 흡수와 투과는 물질이 빛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키는 현상이다. 물질이 빛을 흡수하면 물질의 내부 에너지가 증가하고, 투과되는 빛의 세기는 감소한다.
물질이 빛을 흡수하면 빛의 일부가 물질 내부로 들어가 물질의 원자 또는 분자에 의해 흡수된다. 이때 물질 내부의 전자가 들뜨게 되면서 물질의 내부 에너지가 증가하게 된다. 이후 전자가 다시 안정화 상태로 되돌아올 때 열이나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방출되게 된다.
반면 물질이 빛을 투과시키면 빛이 물질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일부 빛이 물질 표면에서 반사되고, 일부는 물질 내부에서 산란되거나 흡수된다. 투과되는 빛의 세기는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감소하게 된다.
물질의 특성에 따라 흡수와 투과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투과율이 높은 물질은 대부분의 빛을 투과시키고 흡수율이 낮은 편이며, 반대로 투과율이 낮은 물질은 많은 빛을 흡수한다. 이러한 차이는 물질의 분자 구조, 전자 배치, 결정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빛의 흡수와 투과는 물질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현상이며, 이를 통해 물질의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2.3. 흡수 스펙트럼과 흡수 띠
흡수 스펙트럼과 흡수 띠는 분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이다.
흡수 스펙트럼은 물질이 흡수한 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즉, 물질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