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보건통계학의 개요
1.1. 도수분포표
1.1.1. 도수분포표의 정의
도수분포표는 측정한 변수를 항목별로 횟수를 세거나 비슷한 값으로 묶어 계급을 만든 후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알 수 있도록 분류, 집계한 표이다. 명목, 서열, 등간, 비율 수준의 자료에서 사용할 수 있다."도수분포표는 자료의 분포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효과적인 통계적 방법이다. 변수의 값을 적절한 간격으로 구분한 계급으로 나누고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나타냄으로써 자료의 양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변수의 특성, 집중경향, 분산 등 기본적인 통계 정보를 파악하고 자료의 특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1.2. 도수분포표의 작성방법
도수분포표의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한 변수의 개수를 파악한다. 둘째, 계급의 수를 결정한다. 셋째, 계급의 간격을 계산한다. 넷째, 계급의 하한값과 상한값을 정한다. 다섯째, 각 계급에 속하는 빈도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도수분포표를 작성하는데, 여기에는 제목, 측정단위, 합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수분포표를 작성하면 측정한 변수의 분포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1.1.3. 도수분포표의 표현
도수분포표의 표현에는 제목, 단위의 표시, 주석(생략된 정보 표현) 및 표번호가 포함된다"" 도수분포표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막대 그래프, 원그래프, 히스토그램, 다각형(선)그래프, 점그래프, 줄기와 잎 그림 등이 있다"" 막대 그래프는 도수분포표의 계급과 그에 따른 빈도를 막대의 높이로 나타낸 것이며, 원그래프는 전체에 대한 각 계급의 구성비를 원의 각도로 표시한 것이다"" 히스토그램은 도수분포표의 계급값을 X축으로, 구간폭을 막대의 폭으로 하여 도수를 막대의 높이로 나타낸 그래프이며, 다각형(선)그래프는 수량을 점으로 표시하고 그 점을 선분으로 이어 그린 그래프이다"" 점그래프는 관찰치를 X축 상에 점으로 표시하여 자료의 분포 특징을 나타내고, 줄기와 잎 그림은 통계적 자료를 표와 그래프의 혼합된 방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1.2. 통계적 기법
1.2.1. 빈도분석
빈도분석은 표본집단의 성질을 변수 값의 빈도와 비율로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선거나 설문조사 등에서 각 선택지나 응답에 대한 선택 횟수와 비율을 확인하는 것이 빈도분석이다.
빈도분석을 통해 변수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각 변수의 값이 나타난 횟수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변수의 특징을 요약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빈도분석의 결과는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빈도표, 막대그래프, 원그래프 등을 통해 변수의 분포를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변수의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빈도분석은 보건의료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