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와사키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10.07
11,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가와사키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와사키병의 정의와 특징
2.1. 정의
2.2. 병인론 및 역학

3. 임상 증상
3.1. 급성기 증상
3.2. 아급성기 증상
3.3. 회복기 증상

4. 진단과 검사
4.1. 진단 기준
4.2. 혈액 및 기타 검사

5. 치료
5.1. 면역글로불린 요법
5.2. 아스피린 요법
5.3. 합병증 치료

6. 간호중재
6.1. 초기 간호
6.2. 퇴원 및 추후 관리

7. 예방

8. 사례연구
8.1. 사례 개요
8.2. 간호과정 적용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와사키병은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는 급성 열성 혈관염으로 1967년 토미사쿠 가와사키에 의해 일본에서 처음 보고된 질병이다. 한국, 일본 등의 아시아 지역에서 발병률이 높으며 5살 미만의 아동들의 가와사키병 발병률이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높은 발병률에도 불구하고 환아 부모의 대부분이 이 질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간호교육의 요구도가 높은 실정이다. 또한 가와사키병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에는 20% 정도의 환자에게서 관상동맥류가 합병증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심근경색증 또는 급사를 하게 되는 치명적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에 임상현자에서 질환의 사례를 경험하고 환아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간호를 제공하고자 가와사키병에 대해 연구해보기로 하였다.


2. 가와사키병의 정의와 특징
2.1. 정의

가와사키병은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급성 열성 혈관염이다. 이 질환은 전신에 다양하게 침범하여 피부나 점막, 임파절, 심장 및 혈관, 관절, 간 등에 기능 이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위장관 장애, 담낭수종, 뇌수막 등의 염증이 나타날 수 있다. 혈관염이란 혈관벽의 염증을 의미하며, 주로 관상동맥에 동맥류를 유발할 수 있으나, 이 병을 가진 모든 어린이들이 동맥류로 발전되는 것은 아니며,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합병증 없이 급성 증후들만 나타난다.


2.2. 병인론 및 역학

가와사키병의 병인론 및 역학은 다음과 같다.

가와사키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감염 병원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면역학적 기전이 주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5세 이하의 영유아가 발병하며, 6개월에서 2세 사이의 연령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전 세계적으로 가와사키병의 발생률은 증가 추세에 있는데, 특히 일본, 한국, 대만 등의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이러한 지역적 차이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와사키병의 발병률은 계절적 변동을 보이는데, 주로 6월에서 8월 사이와 12월에서 1월 사이에 호발한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도 있어 남아에서 약 1.4~1.7배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가와사키병은 유행성 특성을 보이기도 하는데, 약 2년을 주기로 발생률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이는 병인체에 대한 집단 면역의 형성과 소실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가와사키병의 정확한 유전적 요인과 병원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그 병인이 규명될 것으로 기대된다."


3. 임상 증상
3.1. 급성기 증상

가와사키 질환의 급성기 증상은 다음과 같다"

급성기 증상은 크게 ① 고열, ② 사지말단의 변화, ③ 결막 충혈, ④ 구강점막 변화, ⑤ 발진, ⑥ 경부 림프절 종창 등 6가지로 나타난다.

먼저, 급성기에는 39~41℃의 고열이 5일 이상 지속되는데 항생제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열은 심하게 나면 1~2주 이상 지속될 수 있고 극히 일부 환아에서는 3~4주까지 열이 지속되기도 한다.

둘째, 사지 말단부의 변화로 급성기에는 손바닥과 발바닥의 홍반 및 부종, 손가락과 발가락 주위의 상피 박리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전신의 피부에 다양한 형태의 발진이 나타난다.

셋째, 삼출물을 동반하지 않는 양측성의 결막 충혈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

넷째, 입술이 붉게 갈라지고 딸기 모양의 혀, 구강 인두의 발적 등 구강 점막의 변화가 나타난다.

다섯째, 경부 림프절의 비화농성 종창(1.5cm 이상)이 발생한다.

여섯째, 다양한 형태의 발진이 전신에 나타나는데 수포성은 아니다. 주로 회음부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급성기에는 전신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특히 심장 합병증의 위험이 가장 높은 시기라고 볼 수 있다.


3.2. 아급성기 증상

아급성기는 해열과 함께 시작하며, 가와사키병의 모든 임상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지속된다. 이 시기에는 혈소판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며 관상동맥류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특징적으로 손가락과 발가락의 끝 부...


참고 자료

김미예 외(2011).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서울: 수문사, 75-80.
Sharts-Hopko, N. C. (1994). Current immunization guidelines. MCN, 19(1), 82-84.
이수연 외(2019),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파주: 수문사, 801~804
성미혜 외(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파주: 수문사
권인수 외(2017), 성장발달과 건강, 파주: 수문사, 170~188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종합검진(혈액검사종목소개)
하나병원 건강증진센터
김정애 외(2017). 진단검사와 간호. 수문사
세브란스 건강정보, 소변검사,
https://sev.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treat_board.do?mode=view&articleNo=66779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소변검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551&cid=51004&categoryId=51004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간 기능 검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664&cid=51007&categoryId=51007
가톨릭혈액병원, 혈액검사,
https://www.chh.or.kr/page/bld/cntnts/12
약학정보원, Keromin,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3832
약학정보원, Acetphen,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8110800006
약학정보원, Setopen suspension,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610B0025
약학정보원, Dexitop syrup,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0120700002
약학정보원, Synatura syrup,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9031300064
약학정보원, Bioflor 250 powder,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0112500008
약학정보원, dextrose 5%,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A0002
약학정보원, Globulin SN,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010260000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