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골괴사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방법
2. 본 론
2.1. 문헌고찰
2.1.1. 정의
2.1.2. 원인
2.1.3. 발생빈도
2.1.4. 증상 및 징후
2.1.5. 진단방법
2.1.6. 위험인자
2.1.7. 치료
2.2. 간호사정
2.2.1. 사례보고서
2.2.2. 진단검사
2.2.3. 투여약물
2.2.4. 낙상위험도 평가
2.2.5. 욕창위험도 평가
2.2.6. 활력징후
2.3. 간호과정
2.3.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2.3.2. 수술 후 피부견인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증이란 대퇴 골두의 변형과 심한 퇴행성 고관절염 등을 유발시키는 진행성 질환이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고관절(엉덩이관절, hip joint)을 이루는 대퇴골 골두(정강이뼈 머리 부분)에 혈액 공급이 중단되어 진행성으로 뼈가 죽는 상태를 말하는데 결국에 가서는 고관절이 파괴되어 심한 관절염을 유발하게 되고 통증이 심해지고 다리가 짧아지고 걷지 못하는 상태에 이르게 되는 질병을 말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성인 고관절 환자 중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이 가장 높은 빈도를 가지고 있어 이 질환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나는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osteonecrosis of femoral head)의 이론적인 원인 및 병태생리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치료법과 간호를 익혀 환자의 증상에 따른 근거중심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1.2.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고찰, 관찰, 면담, 환자 차트, 병원 EMR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 자료를 분석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고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는 것이 연구방법이다"". 모든 간호에 적용할 이론적 근거는 간호문헌을 고찰하여 기록하였다"".
2. 본 론
2.1. 문헌고찰
2.1.1. 정의
넓적다리 뼈의 윗부분은 골반뼈와 함께 엉덩이 관절(고관절)을 이루고 있는데, 골반뼈와 맞닿고 있는 넓적다리 뼈의 윗쪽 끝부분을 "대퇴골두"라고 한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대퇴골두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무혈성) 뼈 조직이 죽는(괴사) 질환이다. 괴사된 뼈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괴사 부위가 골절되면서 통증이 시작되고, 이어서 괴사 부위가 무너져 내리면서(함몰) 고관절 자체의 손상이 나타나게 된다."
2.1.2. 원인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원인뿐만 아니라 발생 과정에 대해서도 정확히 밝혀져 있지 못한 상태로, 다만 여러 가지 원인 위험인자가 알려져 있다. 원인적 위험인자로는 과다한 음주, 부신피질 호르몬(스테로이드)의 사용, 신장 질환, 전신성 홍반성 낭창(루프스) 등과 같은 결체조직병, 신장이나 심장과 같은 장기 이식을 받은 경우, 잠수병, 통풍, 방사선 조사, 후천적 면역결핍증(AIDS), 우리나라에서는 없거나 매우 드문 겸상 적혈구 빈혈증이나 고셔(Gaucher)병 등이 있다. 그러나 아무런 원인적 위험인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경우도 자주 있다.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는데, 대퇴 경부 골절이나 고관절 탈구에 자주 합병된다. 이 두 가지 외상에서는 대퇴골두로 혈액를 공급하는 혈관이 손상되기 때문이며, 단순 타박상 등과 같은 기타의 외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2.1.3. 발생빈도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가능하나 30~59세 사이에서 가장 많으며 여자에 비해 남자가 발생률이 4배정도 높다"이다. 우리나라 역학연구에 의하면 확진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8세 (남자 52.2세, 여자 54.9세) 이고 이 중 남자가 77.7% 였으며 45% 의 환자가 주당 소주 2병 이상의 음주병력이 있고 22% 의 환자가 스테로이드 복용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2.1.4. 증상 및 징후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증상이 없는 초기에도 뼈 조직이 괴사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질병이 진행되면서 점차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질병 초기에는 통증(pain)이 없어 잘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질환이 계속 진행되면서 점차로 통증이 심해지며 체중을 실어 걷거나 뛰면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나중에는 관절(articulation)까지 손상(damage)을 입어 관절운동의 제한도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뼈가 약해져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부러지게 된다.
서혜부와 고관절(hip joint)의 외축, 엉덩이 부위에 뻐근하거나 욱신거리는 통증이 나타나고, 통증은 대체로 점진적으로 나타나지만 괴사가 진행되면 심한 통증이 생긴다. 운동 범위(ROM)에 제한이 올 수 있으며 절뚝거림(claudication)이 갈수록 심해지게 된다. 하지직거상검사(SLR test)를 하면 통증이 있으며 특히 몸 안쪽으로 구부리는 것이 힘들게 된다. 절뚝거리면서 걸으며, 2차성 관절염이 생기면 트렌델렌버그 자세(Trendelenburg position)로 걷게 된다.
대부분...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8), 제7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김조자 외(2017),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유태민(2014), 약물관련골괴사(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the jaw), J Korean Academy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57-64
강남 세브란스 병원, http://gs.iseverance.com/, 2019.12.10.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intro.do, 2019.12.10.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https://www.jaseng.co.kr/index.asp, 2019.12.10.
의약품검색,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36610, 2019.12.10.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관절 척추 내과- 바로병원 블로그
http://cafe.naver.com/ksjh1984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박광옥 외 4명. 2008. 수술간호의 실제. 현문사. pp 220-224.
대한정형외과 학회 http://www.koa.or.kr/
보건복지부 www.mohw.go.kr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건강/질환 정보 http://sev.iseverance.com/
대한 정형외과학회 http://www.koa.or.kr/info/index_1_5.php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99
약학정보원 http://terms.naver.com/medicineSearch.n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