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알짜 이온 반응식
1.1. 실험 목적
본 실험의 목적은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생기는 변화를 관찰하고, 알짜 이온 반응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화학 반응식에서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원자의 종류와 개수가 정확히 일치해야 하며, 화학반응에서 반응물의 조성은 변하지만 구성 원자들은 절대 생기거나 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 반응물과 생성물의 종류를 알아내고, 화학 반응식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완전 이온 반응식과 알짜 이온 반응식을 작성하여 용액 내에서 실제 반응에 참여한 이온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학 반응의 본질적인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1.2. 화학 반응식
1.2.1. 분자 반응식
화학 반응식(chemical equation)이란 화학 반응을 기호와 식으로 나타낸 것으로, 화살표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반응물(reactant), 오른쪽에는 생성물(product)을 표시하며, 그들의 물리적인 상태도 함께 나타낸다. 화학 반응식에서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원자의 종류, 개수가 정확히 일치해야 한다. 화학 반응에서 반응물의 조성은 변하지만, 구성 원자들은 절대로 생기거나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 반응물과 생성물의 종류를 알아냈다면, 화학 반응식에서는 계수를 맞추어야 한다."
1.2.2. 알짜 이온 반응식
알짜 이온 반응식은 완전 이온 반응식에서 구경꾼 이온을 제거한 것이다. 구경꾼 이온은 반응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이온으로, 반응 전후에 변화가 없는 이온을 의미한다. 따라서 알짜 이온 반응식은 실제로 반응에 참여하는 이온들만 나타내므로 화학 반응의 본질을 더 잘 보여준다.
예를 들어, 염화 바륨 수용액과 황산 칼륨 수용액을 혼합하는 경우, 전체 반응식은 BaCl2 + K2SO4 → BaSO4 + 2KCl이다. 그리고 완전 이온 반응식은 Ba2+ + 2Cl- + 2K+ + SO4^2- → BaSO4(s) + 2K+이다. 여기서 K+와 Cl-는 구경꾼 이온이므로, 알짜 이온 반응식은 Ba2+ + SO4^2- → BaSO4(s)가 된다.
이처럼 알짜 이온 반응식은 화학 반응에 실제로 참여하는 이온들만을 보여주므로, 반응의 본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실험 결과를 해석할 때에도 알짜 이온 반응식이 유용하게 사용된다.
1.3. 침전 반응
침전 반응이란 두 용액을 혼합했을 때 용액 내에서 불용성 고체가 형성되어 분리되는 반응이다. 앙금형성반응이라고도 불리며, 이러한 앙금은 특정 이온들이 만났을 때 고유한 색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염의 종류나 용액 속 이온의 종류를 확인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험 2에서 0.2 M BaCl2 수용액과 0.2 M K2SO4 수용액을 혼합하면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이 일어난다:
화학식 반응식: BaCl2(aq) + K2SO4(aq) → BaSO4(s) + 2KCl(aq)
완전 이온 반응식: Ba2+(aq) + 2Cl-(aq) + 2K+(aq) + SO42-(aq) → BaSO4(s) + 2K+(aq) + 2Cl-(aq)
알짜 이온 반응식: Ba2+(aq) + SO42-(aq) → BaSO4(s)
이처럼 두 용액을 혼합하면 Ba2+와 SO42-가 반응하여 불용성 고체인 BaSO4 앙금이 생성된다. 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