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설득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 유형인 광고, PR, 선전에 대해 정의하고 학습자가 생각하는 성공적인 광고물과 실패한 광고물을 각각 제시한 후 이를 설득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성공과 실패원인을 분석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설득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 유형
1.1. 광고
1.2. PR
1.3. 선전
2. 성공한 광고 사례
2.1. 배달의 민족 광고
3. 실패한 광고 사례
3.1. 롯데 델몬트 오렌지 주스 광고
4. 설득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성공과 실패 요인 분석
4.1. 광고의 성공요인
4.2. 광고의 실패요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설득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 유형
1.1. 광고
광고란 '불특정 다수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 특징, 편의성 등을 제시하고 설득하여 소비자의 욕구나 필요를 자극함으로써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구매행동을 촉진시키거나 광고주에 대한 일반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유료 커뮤니케이션을 말한다. 광고의 정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마케팅적인 관점에서의 정의와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의 정의가 있다. 마케팅적인 관점에서는 제품, 서비스 등의 촉진 또는 판매를 강조하는 특성을 갖는다.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편의성 등을 제시하고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유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일반적인 광고는 광고주와 광고 전문가들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며, 대중매체를 통해 소비자 대중에게 전달된다. 마케팅 관점에서 광고의 핵심적인 목적은 상품 또는 용역의 판매 촉진이다. 즉, 광고는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유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고에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특징, 편의성, 가치 등이 포함되며, 소비자의 욕구와 필요를 자극하는 요소들이 활용된다. 또한 광고를 통해 광고주에 대한 신뢰감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도 포함된다.
광고는 소비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특성으로 인해 다른 설득 커뮤니케이션 유형인 PR이나 선전과 구별된다. PR은 기업이나 조직이 공중과의 관계 형성과 이미지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반면, 선전은 특정한 사상이나 이념을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이 강하다. 반면 광고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 촉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1.2. PR
PR은 "Public Relation"의 약자로, 의도적으로 일정기간동안 이루어지는 조직 활동을 말한다. PR은 실질적 행동에 기초하여 공중의 지지와 호의를 얻어내야 할 뿐 만 아니라 조직과 공중 모두에게 이익이 되어야 하는 쌍방커뮤니케이션이다. PR은 정보전달에 그치지 않고 경영적인 관리기능으로 이...
참고 자료
심상용. 방식에 얽매이지 말고, 공감하라...장인성 우아한형제들 마케팅 이사. 모비인사이드. 2017.3.29
이강우. 충격파 컨셉으로 대한민국을 흔들었던, 따봉. Unitasbrand. 2009.01
선전 (사회학)-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공하는 광고의 좋은 예 - 피알원 블로그
https://prone.tistory.com/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