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대인의 생활법률 사례 적용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김현구와 이덕일의 임나일본부설학자 모함 사건
1.1. 사실관계 정리
1.2. 관련 법적 쟁점의 정리
1.3. 사건의 해결에 적용
1.4. 느낀점
2. 보육교사 자격취소 처분 사건
2.1. 사실관계
2.2. 관련 법적 쟁점
2.3. 사건의 해결에 적용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김현구와 이덕일의 임나일본부설학자 모함 사건
1.1. 사실관계 정리
대중 역사학자로 알려진 이덕일 소장이 그의 저서 『우리안의 식민사관』을 통해 김현구 박사가 임나일본부가 한반도 내에 존재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을 지지했다는 주장을 했다. 김현구 박사가 이를 반박하면서 이덕일 소장이 김현구의 의견을 왜곡, 곡해 하였다는 반박문을 내놓았고, 결국은 김현구 박사가 이덕일 소장을 고소함으로서 벌어진 사건이다.
1.2. 관련 법적 쟁점의 정리
관련 법적 쟁점은 헌법상 보장되는 피고인의 표현의 자유 내지 학문의 자유와 피해자의 인격권 간의 충돌이다""
이 사건은 피고인의 표현행위가 피해자의 명예를 침해했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 된다""
헌법 제21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은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고, 제4항은 "언론·출판은 타인의 명예나 권리 또는 공중도덕이나 사회윤리를 침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언론·출판이 타인의 명예나 권리를 침해한 때에는 피해자는 이에 대한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헌법 제22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은 학문과 예술의 자유를 가진다"고 보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사건은 피고인의 표현의 자유 내지 학문의 자유와 피해자의 인격권이 충돌하는 사안으로, 피고인의 표현의 자유가 어느 선까지 허용되는지가 핵심 쟁점이 된다""
1.3. 사건의 해결에 적용
이 사건에서 법원은 김현구 박사와 이덕일 소장 간의 표현의 자유와 명예권 충돌이라는 법적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측면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이덕일 소장이 김현구 박사의 견해를 ...
참고 자료
현대인의생활법률 강의교재
『우리안의 식민사관』, 이덕일, 2014, 만권당
서울서부지방법원 2016. 2. 5. 선고 2015고단1605 판결 [출판물에의한명예훼손], 2016, casenote
장혜영 저, ’아동학대의 법적 규율 : 캐나다의 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울, 2022
대구지방법원 2021. 8. 25. 선고 2021구합137 판결
현대인의 생활법률 강의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