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방문간호의 역사적 배경
1.1. 한국
한국의 방문간호 역사는 1974년 원주 기독병원이 지역사회 보건간호과를 개설하고 주수병 원과 함께 조기퇴원사업과 지역사회보건사업의 일환으로 방문간호를 수행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가족계획 및 전염병 관리 사업을 위하여 방문간호를 실시하였으며 1990년 1월 만성퇴행성 및 조기퇴원환자를 위한 가정 간호사제도를 법제화하였다. 또한 1995년 12월 29일 지역보건법 제 9조 제 12조에 "방문간호 사업이란 가정 사회복지 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사업"이라는 정의를 삽입함으로써 방문간호 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즉, 한국의 방문간호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발전을 거듭해 온 것이다.""
1.2. 미국
미국에서 방문간호는 18세기 후반부터 재가환자를 돌보는 형태로 시작되었다. 1900년대 초기에는 자선단체와 지역사회 보건기관들이 연계되어 지역사회 주민에게 필요한 건강사업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1980년 이후에는 포괄수가제 지불 제도의 확대보급으로 사보험 중심의 가정 건강관리사업으로 발전되어, 병원에서 조기 퇴원시킨 환자의 관리를 위하여 활성화되었다. 현재 미국은 독립형 가정간호사업소를 중심으로 가정간호사업을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다.
미국의 가정간호 인력은 간호사를 비롯하여, 물리치료사, 직업치료사, 사회복지사 등 여러 분야의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의 방문간호 인력교육 및 서비스 질 관리 체계 운영에 있어서 Visiting Nurse Association(VAN)이 인력교육 및 자격관리를,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JACHO)이 인증 등 서비스의 질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미국의 방문간호 서비스 내용으로는 환자관찰 및 사정, 도뇨관 삽입, 외상 드레싱, 욕창간호, 정맥천자, 백내장 수술 후 간호, 비타민 B12 투여, 회복간호, 정맥주입주사, 경관영양, 기관지 절개술 간호, 흡인치료, 종합영양주입치료, 당뇨교육, 관장, 환자간호 계획평가 및 관리, 의사의 표준지시에 의한 환자교육 등이 있다. 이는 전문간호사에 의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며, 환자나 다른 사람에 의한 서비스 시행 시 진료비 승인을 받을 수 없다.
미국 국립보건통계센터에서 시행한 연 2회의 조사에서 방문간호 대상자의 진단서 자료 분석 결과, 22%가 순환기관의 질병과 관련되었고 울혈성 심장마비까지 포함한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들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으며, 당뇨, 고혈압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미국의 방문간호는 병원에서 조기 퇴원한 환자의 관리를 위해 발전해왔으며, 간호사를 중심으로 한 전문인력들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방문간호 인력 및 서비스 질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3. 일본
일본의 방문간호는 1900년대 전후에 시작된 파출간호를 시작으로 1세기 이상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되어 왔다. 초기에는 1920년부터 모자보건을 중심으로 순회간호부에 의해 가정 분만에 대한 지원방문이 개시되었고, 1930년에는 공중위생 방문협회의 설립과 결핵·기생충·전염병 등을 위한 보건소법에 근거한 가정방문사업을 시작하였다.
1961년 전 국민 의료보험 실시와 1963년 노인복지법의 재정으로 1965년부터 가정봉사원 파견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1970년에는 고령자인구비율이 7%를 돌파하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계속간호의 일환으로써 노인환자 방문간호사업을 시작하였다. 1983년에는 노인보건사업법 시행에 의해 병원에서의 방문도 진료보수에 포함되게 되어 경제적인 보증을 수반하는 병원으로부터의 방문간호 활동이 촉진되었다. 또한 1989년부터 시작된 골드 플랜과 재택요양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축 등이 제도화를 가속화하였다.
1991년 노인보건법에 노인방문간호제도가 새롭게 창설되었고, 다음 년도부터 노인방문 간호스테이션의 본격적인 활동이 개시되었다. 즉, 간호사가 관리자가 되어, 주치의로부터 지시를 받아 주로 와상노인인 노령자를 방문하여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비가 지불되는 새로운 체제가 구축되었다. 이후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