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상사례와간호수행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낙상사례와간호수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환자안전
1.2. 낙상

2. 이론적 배경
2.1. 낙상위험 사정도구
2.2. 낙상 예방 간호중재
2.3. 낙상 발생 시 간호

3. 환자안전관리 사례
3.1. 환자 기본정보
3.2. 환자안전관리활동 사례 및 문제점
3.3. 교정조치를 위한 개선방안

4. 결론
4.1. 기대효과 및 제언
4.2. 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환자안전

'환자안전(Patient Safety)'이란 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병원의 모든 구성원이 공통적으로 가져야 할 제1의 원칙이다. 이는 환자들이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나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이란 환자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 증진을 위한 간호사의 활동을 의미한다. 이는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거나 제거,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활동으로,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의료기관 및 직원들이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재해나 사고의 방지를 위해 행하는 조치 및 활동을 의미한다. 즉,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거나 제거, 예방하는 체계적인 활동을 말한다.

따라서 환자안전은 의료기관의 모든 구성원이 함께 가져야 할 최우선의 가치이자 원칙이며, 이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의 안전한 치료와 회복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다.


1.2. 낙상

낙상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으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추락과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넘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낙상은 다른 어느 곳보다 의료기관에서 빈번히 발생하는데, 특히 입원 환자의 낙상은 의료기관의 심각한 문제이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의도하지 않은 사고에 의한 사망 요인 중에서 낙상은 교통사고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며 의료기관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위해 사건 중의 하나로 보고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낙상은 병원 안전사고의 약 38%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병원 안전관리 소홀로 인하여 발생한 사고 중 43.9%가 낙상으로 인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낙상은 노인 입원환자에게 흔히 일어나는 사고로 65세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낙상 발생률이 높아지고 특히 80세 이상에서 7배나 증가한다고 하였다. 대학병원에서 입원한 환자의 낙상 발생 중 65세 이상이 72%로 우리나라 의료기관 노인 입원환자의 낙상사고 실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입원환자의 낙상 실태는 입원 후 1-5일 사이(48.9%)가 낙상이 자주 발생한다고 보고하였고, 국내 500병상 이상 18개의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의 낙상 발생률은 입원환자 1,000명당 3.87건이었고, 연인원 1,000일당 0.55건이었으며, 낙상과 관련된 손상률은 40.5%로 조사되었다. 환자들의 연령층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낙상 사고는 입원환자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가장 큰 원인으로 노인 입원환자의 낙상을 발생 전에 예방 관리할 필요가 있다. 낙상이 잘 일어나는 위험한 환경요인으로는 집안이 정리가 안되어 어지럽거나 전등이 희미한 경우, 보조기구(지팡이, 목발 등)들의 크기나 형태가 맞지 않을 때, 공간들의 디자인이 손상을 유발하도록 디자인된 경우 등이 있다. 낙상과 관련된 인적 요인으로는 사지마비 등 보행 장애나 균형 장애, 어지럼증, 부정맥으로 실신하는 환자, 전신적으로 쇠약한 환자, 혈압강하제나 수면제, 이뇨제 등 약물복용 환자 등이 있다. 행동적 위험 요소로는 무기력하여 활동 저하, 약물복용의 부작용이나 상호작용, 알코올 섭취 등이 있다.""

낙상을 잘 유발하는 위험요인으로는 보행 장애가 있는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기립성 저혈압이 있는 경우, 4가지 이상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 발에 이상이 있거나 적절한 신발을 착용하지 않는 사람, 시력이 떨어져 있는 사람, 집안에 낙상 위험이 있는 경우 등이 있다.""

낙상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성인은 [MORSE 낙상 위험 사정도구]를 사용하며, 0점에서 최대 125점까지 점수대가 분포하게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낙상 발생 위험이 증가하여 낙상 고위험군에 속하게 된다. 소아는 [Humpty Dumpty 낙상위험 사정도구]를 사용하여 점수가 12점 이상을 고위험 환자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낙상 예방 간호중재로는 첫째, 환자 간호환경에서의 외적 위험요인을 정기적으로 사정하고 위험요인을 제거하도록 한다. 둘째, 낙상 고위...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1998). 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송경애 외, (2019), 기본간호학2, 수문사
송경애 외. (2019).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수문사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 수문사
JANET R. WEBER. 은영 외 번역. (2015). Health Assessment in Nursing. 생애주기별 건강사정. 수문사
병원간호사회, 낙상예방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강북삼성병원. 건강이야기. 뇌혈관 질환. https://www.kbsmc.co.kr/healthinfo/healthinfo_book_read.jsp?pSeq=2
네이버 지식백과. 건강백과. 소뇌. 검색일 2020.11.0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8655&cid=51006&categoryId=51006#TABLE_OF_CONTENT4
네이버 지식백과. 뇌경색. 검색일 2020.11.0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7874&cid=40942&categoryId=32783
네이버 지식백과. 의약품 사전. 타나민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40862&cid=51000&categoryId=51000
네이버 지식백과. 의학/간호 약어해설사전. CI(cerebral infarction). 검색일 2020.11.0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131589&cid=60408&categoryId=59580
서울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글리아티린 연질캡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GLIAT400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백내장. 검색일 2020.11.0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4925&cid=63166&categoryId=51022)
약학정보원. Anatan.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09090700008
약학정보원. Babrone.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
약학정보원. Boryung bio Astrix.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
약학정보원. Lexapro.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09090700007
약학정보원. Newmentamine EX.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
약학정보원. Plavix.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0533
약학정보원. Xanax.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0920
칠곡경북대학교 병원 2022년 간호부 업무지침서
김윤이·정석희. 입원 환자 낙상예방 간호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대한간호학회지. 45(4). 476-478
강영옥·송라윤 (2015). 일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 실태 및 위험 요인분석, 근관절건강학회지. 22(3). 153-158
이안숙·이종경. (2022). 노인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낙상예방프로그램의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8-15
박경희 외 8인. (2019). 근거 기반 임상 간호 실무지침 낙상 관리. 병원간호사회.89-90
제 7판 성인간호학 상, 하권, 황옥남 외, 현문사
최신 병리학, 이준철 외,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이동숙 외(2016).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포널스 출판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