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부모휴가의 형태와 아버지만을 위한 부모휴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부모권 보장 정책 개요
1.1. 부모권 보장 정책의 개념과 목적
1.2. 부모권 보장 정책의 주요 유형
2. 스웨덴의 부모권 보장 정책
2.1. 육아 휴직
2.2. 출산 전후 휴가
2.3. 아버지 육아 휴직
2.4. 육아 시설 및 부모 수당
3. 프랑스의 부모권 보장 정책
3.1. 출산 전후 휴가
3.2. 육아 휴직
3.3. 아버지 육아 휴직
3.4. 보육 서비스 지원
4. 미국의 부모권 보장 정책
4.1. 가족 및 의료 휴가법
4.2. 주별 육아 휴직 및 출산 전후 휴가
4.3. 자녀 양육 지원
5. 한국의 부모권 보장 정책
5.1. 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
5.2. 아버지 육아휴직 할당제
5.3. 보육시설 지원 및 양육지원금
6. 각국 부모권 보장 정책 비교
7. 탈가족화와 가족화 정책에 대한 견해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부모권 보장 정책 개요
1.1. 부모권 보장 정책의 개념과 목적
부모권 보장 정책의 개념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부모권 보장 정책은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하는 것에 대한 권리와 보호를 제공하는 정책이다. 이러한 정책은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어려움을 완화하고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한다. 부모권 보장 정책의 목적은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확보하고, 부모와 자녀의 건강과 안녕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부모들이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을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1.2. 부모권 보장 정책의 주요 유형
부모권 보장 정책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 휴직은 부모가 자녀를 돌보기 위해 일시적으로 근무를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다. 이는 일부 국가에서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으며, 보통 일정 기간 동안 근로자에게 일부 또는 전액의 급여를 제공한다.
둘째, 출산 전후 휴가는 산모가 출산 전후에 쉴 수 있도록 휴가를 제공한다. 이러한 휴가는 보통 출산 전 1-2주와 출산 후 6-8주 정도의 기간을 포함한다.
셋째, 아버지 육아 휴직은 아버지가 자녀를 돌보기 위해 일시적으로 근무를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다. 이러한 정책은 아버지와 자녀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아버지의 양육 참여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넷째, 양육비 지원은 이혼이나 부모간의 분쟁으로 인해 자녀를 돌보는 부모에게 양육비를 지원하는 정책이다. 이러한 지원은 자녀의 복지와 안정성을 보장하며, 양육 부담을 분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섯째, 양육 도우미는 부모들이 자녀를 돌보는 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인력을 말한다. 이는 일부 국가에서 정부가 제공하는 지원 서비스이거나, 개인적으로 고용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이러한 도우미는 부모들이 자녀를 돌보는 데 있어서 협조와 안정성을 제공하며, 부모의 일과 양육을 균형있게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처럼 부모권 보장 정책은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지원하고 강화하는 다양한 정책적 수단들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부모들이 자녀 양육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경제적, 사회적으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자녀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스웨덴의 부모권 보장 정책
2.1. 육아 휴직
스웨덴의 부모권 보장 정책 중 '2.1. 육아 휴직'은 다음과 같다.
스웨덴은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국가로부터 강력한 지원을 받는 대표적인 복지국가이다. 스웨덴의 육아 휴직 정책은 부모들이 자녀를 돌보기 위해 일시적으로 근무를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구체적으로 스웨덴의 부모들은 자녀가 태어난 후 480일 동안 육아 휴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부모들은 일부 급여를 받으며 자녀를 돌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부모가 직장생활과 양육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일과 가족 생활의 균형을 돕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스웨덴은 아버지에게도 최대 90일간의 육아 휴직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강조하여 가정 내 성 역할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처럼 스웨덴의 육아 휴직 제도는 부모가 자녀를 돌보는데 필요한 충분한 시간과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여 일과 가정의 양립을 도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2. 출산 전후 휴가
스웨덴의 출산 전후 휴가는 임신 기간 동안 최대 50일의 출산 전 휴가와 출산 후 최대 10일의 휴가를 제공한다. 이 기간 동안 부모들은 일부 급여를 받으며 자녀를 돌볼 수 있다. 스웨덴 정부는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고 부모들이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조화롭게...
참고 자료
가족복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윤홍식 외, 2006, OECD 21개국의 부모권과 노동권 보장수준을 통해 본 가족정책의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권 3호, p.343~348
김나연, 2010, 노동권과 부모권의 관점에서 본 복지국가 일-가족양립정책의 비교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p.34~155
한국 가족정책은 어디로 가야 하나, 이진숙, 참여연대, 2018.05.01.
‘M자 곡선’ 심각한 韓 3040 여성 고용률, 이별님, 뉴스포스트, 201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