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물리학자

  • 1
  • 2
  • 3
  • 4
  • 5
  • 6
>
최초 생성일 2024.10.06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미술관에 간 물리학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근대적 박물관과 사람들
1.1. 시작하면서
1.2. 간송미술관과 간송 전형필
1.3. 마치면서

2. 공공미술(디자인) " 모두를 위한 미술 "
2.1. 공공미술의 정의
2.2. 공공미술 사례
2.2.1. I SEOUL U
2.2.2. 녹사평역
2.3. 결론

3. 박물관학이란?
3.1. 박물관 기술학(Museography)
3.2. 박물관학과 다른 학문과의 관계
3.3. 박물관학과 미술사학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근대적 박물관과 사람들
1.1. 시작하면서

한국의 박물관 발달사는 Ⅰ. 근대박물관 이전의 단계(1907년 이전), Ⅱ. 근·현대박물관 단계, Ⅲ. 미래 박물관의 시대(시공을 넘나드는)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Ⅱ. 근·현대박물관 단계에 대해서 살펴보면, 1. 여명기(1908~1945년)의 박물관 발달사는 박물관제도의 도입, 2. 혼란기(1946~1960년)의 박물관 발달사는 정치·조직의 개편, 3. 안정기(1961~1973년)의 박물관 발달사는 경제·교육의 안정(산업화와 대학박물관 설치), 4. 보급기(1974~1983년)의 박물관 발달사는 문화·산업의 변화(유산의 보호, 도시화, 야외박물관과 전문박물관의 운영), 5. 확산기(1984~1999년)의 박물관 발달사는 법령과 제도의 정비(법령 제정, 학회 창립, 학회지 발간), 6. 번영기(2000~현재)의 박물관 발달사는 제도적 지원과 전문직 채용(박물관의 국제화, 방문객의 세계화 추세) 등으로 평가할 수 있다."


1.2. 간송미술관과 간송 전형필

간송 미술관은 우리나라 사람에 의해 세워진 최초의 사립박물관으로 우수한 국보급 문화재를 가장 많이 수장하고 있는 대표적 미술박물관이다. 간송 미술관은 간송 전형필이 수집한 고미술품을 정리·연구·전시하여, 일제에 의해 왜곡된 우리 역사를 바로잡고 민족문화의 자긍심을 되찾고자 설립하였다. 설립자인 전형필은 1906년 배오개(현재 종로구 인의동)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간송 이외에 지산(芝山), 취설재(翠雪齋), 옥정연재(玉井硏齋) 등이 있다. 전형필은 배오개를 중심으로 종로 일대의 상권을 장악한 10만석 부호집안의 상속권자였으며, 1930년 일본 와세다대학 법과를 졸업하였다.

간송은 평생 사라져가는 민족정신을 일깨우기 위해 노력한 문화 독립 운동가이자 문화유산을 지키는 선각자였다. 그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유출되던 우리나라의 옛 그림과 고려청자, 조선백자, 삼국시대 불상, 귀한 활자로 만든 책 등 민족의 얼과 혼이 담긴 문화재를 적극적으로 수집하여 지켰다. 또한 이미 일본으로 건너간 문화재 중에서도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고가의 가격을 지불하고라도 다시 한국으로 돌려보냈다. 이러한 간송의 문화재 수집 노력에는 휘문고보 시절 미술교사였던 춘곡 고희동과 민족대표 오세창의 영향이 컸다.

간송은 와세다대학 졸업 후 인사동의 한남서림을 인수하면서 본격적으로 문화재 수집을 시작하였다. 그가 수집한 문화재에는 겸재 정선의 《해악전십첩》, 혜원 신윤복의 《혜원전신첩》, 단원 김홍도와 관아재 조영석의 작품 등이 포함된다. 또한 그는 값비싼 고려청자 수집에도 큰 노력을 기울였는데, 1935년에는 국보로 지정된 '학이 새겨진 청자'를 당시로서는 천문학적 가격인 2만...


참고 자료

최종호, 「한국박물관협회 40년의 성과와 과제」, 박물관학보 31, 2016.
최종호, 「한국 박물관 100년과 박물관 경쟁력 강화-근대이전의 박물관단계, 여명기·혼란기의 박물관 발달사,박물관경쟁력」, 박물관학보, 2008.
강창숙, 「한국 박물관의 역사적 변천에서 나타나는 근대성과 탈근대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04.
박훈아, 「한국 근대박물관의 계보학-민주주의 지역의 기원」, 인문학논총, 2007.
김쾌정, 「사립박물관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박물관학보, 1999.
이충렬, 「‘민족 문화유산의 수호신’ 간송 전형필의 삶」, 미술세계, 2014.
백인산, 「간송이 지나온 길과 간송이 가야할 길」, 미술세계, 2015.
이종원, 전시_문화 독립운동가 간송 전형필 특별전, 월간 샘터, 2019.
전인지, 「테마 박물관으로서 간송미술관의 미래」, 박물관학보 28, 2015.
공공미술포털, https://www.publicart.or.kr/main.do
서울미술재단, https://blog.naver.com/i_sfac/221511160059
홍경한 저, 『공공미술, 도시를 그리다』, 재승, 201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