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자유센터 건축 답사기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4.10.06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자유센터 건축 답사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복합문화시설 답사
1.1. 답사 목록
1.1.1. COMMON GROUND
1.1.2. 대림창고
1.1.3. 성수동 문화복지회관
1.1.4. UNDERSTAND AVENUE
1.1.5. 리움 미술관
1.1.6. 현대카드 라이브러리
1.1.7. JCC 아트센터와 JCC 크레에이티브 센터
1.1.8. 마로니에 공원
1.2. 답사 후기

2. 신촌과 이화여대 답사
2.1. 이화여대 약도 및 동선
2.1.1. 약도
2.1.2. 동선
2.2. 이화여대의 역사적 건축물
2.2.1. 배꽃 조형물
2.2.2. ECC
2.2.3. 대강당
2.2.4. 본관
2.3. 답사 총평

3. 파주출판단지
3.1. 위치 및 규모
3.2. 역사
3.3. 주요현황
3.4. 단지내부

4. 파주열림원
4.1. 건축물소개
4.2. 건축가소개
4.3. 내부 시설물
4.3.1. 피노키오 박물관
4.3.2. 북카페 헤세
4.4. 도면 및 사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복합문화시설 답사
1.1. 답사 목록
1.1.1. COMMON GROUND

COMMON GROUND는 의류 판매점, 음식점, 카페, 책방 등으로 구분되어 있는 복합문화시설이다. "ㄷ"자 형태의 중정에 푸드트럭을 연상시키는 강한 이미지의 음식점을 중심으로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가게들이 끊김없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인다. 주말에 많은 인구가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며, 새로운 문화를 제시하려 한 시설의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질적인 이용 상황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컨테이너라는 폐기물의 재활용 취지로 공간을 구성한 것은 환경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직사각형의 기존 형태를 변형하기 어려워 공간구성에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프로그램 구성이 주로 판매시설에 국한되어 있어 화폐의 흐름 없이는 이 공간을 즐기기 어려운 편이다. 다만 건대 인근 상업시설 사이에 젊은층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소비문화를 제시하고자 한 의도는 엿볼 수 있었다.


1.1.2. 대림창고

대림창고는 현재 성수동에 위치해 있다. 역사적으로 신발 산업에 관해 유명했던 지역이다. 서로간의 네트워크가 잘이루어져 재료, 창고, 제조 등 공정에 관해 원활하게 이루어 졌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함에따라 더 이상 기업간의 적자를 피하지 못하고 닫게 되었고, 최근에 들어서 리노베이션을 통해 새로운 건물로 탈바꿈을 시도했다. 이 창고는 카페, 음식, 전시, 회의, 휴게 등으로 공간을 구분지었다. 각각의 영역의 비율에 대해서는 동등하게 이루고 있었으며, 넓은 공간감을 느끼게 하려고 하였다. 가끔 계단을 통해 올라가면 작은 공간들이 마주하게 되는 연출이 기분을 좋게 한다. 기존의 건물의 구조체에 대해 좀 더 자유로움을 허락했다면 다양한 프로그램이 생겨날 수 있지 않을 까한다. 공간의 규모에 비해 적절하게 상업, 전시에대한 비율을 나눠 구성을 이룬 것이 특징이다. 앞서 보았던 커먼그라운드와 비교해 보았을 때, 추가된 프로그램의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오전 11시30분경 방문 당시 사용자도 어느 정도 있는 모습이 올바른 리노베이션의 방향에 대해 제시해 준 것 같다.


1.1.3. 성수동 문화복지회관

성수동 문화복지회관은 폐쇄적이고 거리감을 만들어 내던 관공서의 개념을 탈피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요소, 재미, 감동의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크게 복지, 문화, 정보적인 이벤트를 만들어낼 만한 공간을 구성하였다. 출입구에 대해 재활센터, 아트홀(공연, 전시) 로 가는 동선에 대해서는 따로 구분을 지어놨다. 아마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건물이기 때문에 노인을 위한 시설은 1층에 배치하고 나머지 문화공간에 관해는 엘리베이터나 다른 계단 출입구를 통해 만들어낸 것 같다. 현장 방문 시간은 오후12시로 비교적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재활센터와 도서관을 제외하고 이용자가 적었다. 직장인들이 이용하기는 힘든 시간대인 점을 감안하면 잘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계획의 취지에 맞는 모습들이 여러 실들 즉,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해 볼 수있었다. 노인복지는 재활센터로, 문화는 공연장, 놀이장으로 정보는 도서관으로써 잘 풀어 냈다. 다만 답사 중 아쉬운 점은 각 실들과 휴게공간의 연계가 미약해 이용객이 많지 않은 점이 아쉽다. 모든 연령대를 만족시키긴 힘든 현실이지만 휴식 공간만큼은 전 세대를 아우를 수 있었지 않을까? 라는 의문이 남는다.


1.1.4. UNDERSTAND AVENUE

UNDERSTAND AVENUE는 커먼그라운드와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는 복합문화시설이다. 하지만 UNDERSTAND AVENUE는 비교적 배치에서 자유로운 모습을 보인다.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UNDERSTAND AVENUE에는 상업공간과 교육공간들이 잘 얽혀있다. 디지털스쿨, 바리스타 양성수업 등 일자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자리잡고 있으며, 편집샵, 워크샵의 형태로 기존의 브랜드 매장이 아닌 자신의 제품을 판매하는 상업시설도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UNDERSTAND AVENUE는 비슷한 재료와 구성을 하고 있음에도 배치와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목차를 구성한 이유가 옳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볼 수 있다."


1.1.5. 리움 미술관

리움 미술관은 대기업 삼성의 소유건물로써 세 명의 거장이 설계하였다." 세 건축물은 외부에서 다른 출입구를 갖게 될 것처럼 생겼으나, 전시의 동선은 내부에서 시작해서 내부로 끝나게 된다. 이 미술관의 프로그램은 전시와 교육으로 나뉜다. 리움 미술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발레, 금속공예, 청소년, 어린이, 스케치 등 광범위한 분야로 다양한 교...


참고 자료

이화여자대학교 공식 블로그
이화 100년사(1994)
https://namu.wiki/
http://www.ibookcity.org/2012/
http://archur.co.kr/221076340162
http://parkwontae.asuscomm.com/wordpress/2012/08/06/%EC%A0%95%EA%B8%B0%EC%9A%A9%EA%B1%B4%EC%B6%95%EA%B0%80/
http://www.aurum.re.kr/Bits/BuildingDoc.aspx?num=1758#
http://blog.daum.net/paju_ilsan/351
https://blog.naver.com/kkakung81/221348800997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ogongdesign&logNo=90195119840&beginTime=0&jumpingVid=&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