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맥주 원가와 유통과정을 경제적 측면에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SAB밀러 기업소개
3. SAB밀러 SWOT 분석
4. 아프리카 시장분석 및 진출배경
5. 아프리카 진출전략
5.1. 현지화 전략
5.1.1. 저가격 및 일자리 창출
5.1.2. 문화적 특성 고려
5.2. CSV 활동을 통한 기업이미지 제고
5.2.1. 환경 친화적 정책 & 지속가능경영
5.2.2. 사회적 공헌 활동
6. 성과
7. 시사점
8. 몬다비에게 위협요인은 무엇인가?
9. Diageo, Foster's, and Allied Domecq 등이 주류업체가 와인산업에 진출하는 이유는?
10. 향후 몬다비가 전략적 우위를 늘리기 위해서는 어떠한 전략을 사용해야 할 것인가?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세계 각국에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매력적이고 수익이 될 수 있는 시장을 찾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2억 명 이상의 신흥소비 세력을 갖추고 있는 아프리카는 "블랙다이아몬드"라고 불리는 구매력 높은 시장이라 할 수 있다. 아프리카의 청소년 인구(15-24세)는 1950년대 전 세계의 9%의 비중을 차지했으나 2050년에는 약 30%까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 출생률은 3%로 성장하고 있고, 젊은 층 인구 비중이 높아 소비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대형 마트 및 쇼핑몰 진출이 활성화되고 있다. 인구 증가율이 높으면 제조업 및 서비스 산업 시장의 잠재력도 크다. 아프리카 연간 생산성은 미국 2.3%보다 높은 3%를 기록하고 있다. 아프리카는 마지막 남은 블루오션으로 세계 경제성장률보다 1-2% 높은 6%대의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지구촌 마지막 성장 엔진'으로 불리고 있다. 지난 10년 간 가장 빠른 경제성장을 보인 나라 10개 국 중 6개국이 아프리카이다.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출기업이 적어 경쟁에 용이하다는 점, 대부분의 국가가 공업 초기화 단계라는 점을 볼 때 기업입장에서는 충분히 진출해볼 만한 '기회의 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아프리카는 사회 기반 시설이 열약하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큰 것은 물론 사회·문화적 장벽과 부실하기 짝이 없는 정보로 위험성이 큰 국가인 것도 객관적인 사실이다. SAB밀러는 '기회의 땅'이자 '도전의 땅'이라 할 수 있는 아프리카를 어떤 강점을 통해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진출하는 과정 속에서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사용했는지를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SAB밀러의 성공적인 아프리카 진출이 가져다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 SAB밀러 기업소개
SAB밀러는 영국 런던을 거점으로 전 세계 75개국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이지만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1895년 설립된 '남아공 브루어리'라는 양조회사가 모태이다.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인근 광부들을 상대로 사업을 키운 SAB는 1990년대 해외 진출에 박차를 가하다가 2002년 미국 맥주회사 밀러를 인수해 지금의 진용을 갖추게 된 것이다. 세계 최대 맥주제조회사 중 하나로 전 세계에 200개 이상의 맥주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전체 200개 이상의 맥주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SAB 밀러는 세계적인 프리미엄 맥주브랜드와 세계 6대 시장의 지역 브랜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4개의 브랜드가 "글로벌 맥주"로 분류되고 있는 굳건한 글로벌 맥주기업이다. SAB밀러는 현재 남아프리카에 기반을 두고 발전하면서 이미 발전된 동유럽시장이나 신흥시장인 중국과 인도로 진입하며 확장하고 있으며, 하이네켄을 제치고 세계시장 점유율 12.3%를 차지하며 벨기에에 본사를 둔 Anheuser-Bush Inbev 다음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SAB밀러는 글로벌 기업으로 손색이 없다.
3. SAB밀러 SWOT 분석
SAB밀러의 강점(Strength)은 글로벌 기업이라는 점과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SAB밀러는 수익생산과 지리적인 한계를 초월한 글로벌한 기업으로 전 세계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어 회사의 파산 확률을 크게 줄이고 수익의 안정성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제품부터 프리미엄제품까지 200여개가 되는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고객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큰 강점을 가지고 있다."
SAB밀러의 약점(Weakness)은 취약한 직원생산성이다. 직원당 매출액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시장점유율이 SAB밀러보다 낮은 기업보다 직원...
참고 자료
http://www.sabmiller.com/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7045091&cp=nv
http://www.iol.co.za/business/companies/sabmiller-looks-to-lure-african-drinkers-1.1498319#.U7ZjEvl_uW4
http://www.theguardian.com/sustainable-business/best-practice-exchange/sabmiller-more-beer-less-waterhttp://finance.daum.net/news/finance/all/MD20140602070804827.daum
http://www.theguardian.com/sustainable-business/best-practice-exchange/sabmiller-impala-beer-creates-jobs
http://www.businessweek.com/articles/2013-05-23/sabmiller-sells-cassava-beer-to-woo-african-drinkers
http://www.telegraph.co.uk/finance/markets/questor/10390106/Questor-share-tip-SABMiller-reports-strong-African-sales.html
http://www.africanbusinessreview.co.za/news_archive/tags/snow/sabmiller-top-beer-brewers-over-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