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장애인 상담과 교육
1.1. 멀티미디어 강의 1-6강 수강 후, 주요 주제 세 가지에 대해 요약 및 정리
1.1.1.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1993년, UN은 장애인들의 사회참여를 활발하게 하기 위해 기회 평등을 위한 표준 규칙을 정한다. 이런 규칙이 있기에 장애인들은 어떤 부문이든 활동을 도모할 수 있으며, 다소 장애로 인해 일반인들에게 차별당하더라도 그 정도가 덜하게 된다. 또, 2002년에는 새천년 행동계획도 발표하는데, 장애인들은 여러 면에서 차별과 냉대, 홀대를 대거 줄이게 된다. 그리고 2006년 12월 13일에는 장애인 권리 협약을 도모하기도 하는데, 이는 장애인들의 인권을 여실히 보호하는 사안을 내세운다. 그러니 여러 장애인이 장애인 권리 협약을 통해 인간다운 삶을 누리며 삶의 질을 향상하고 차별을 줄여 진정한 의미의 행복을 누리게 되는 것이다. 또,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장애인 10년을 도모하기도 한다. 이는 일반인들을 각성하게 해서 의식을 바꾸어 함께 장애인들과 어우러지게 하는 것을 목표로 장애인 차별을 유의미하게 현저히 지양한다.
1.1.2. 장애인의 사회적 특성
장애인의 사회적 특성은 대중교통 이용의 어려움과 사회적 차별 경험 감소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장애인들은 정신적 장애와 신체적 장애로 인해 교통수단 이용 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은 전철을 탈 때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 하고, 버스를 탈 때는 턱이 낮은 저상버스를 타야 한다. 하지만 일반인들의 장애인 의식 개선으로 인해 2005년 이후 장애인들이 사회적 차별을 경험하는 경우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처럼 장애인의 사회적 특성은 교통수단 이용의 어려움과 사회적 차별 감소로 요약할 수 있다.
1.1.3. 장애 유형과 특성
장애 유형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체 장애의 경우, 신체적인 핸디캡을 겪게 된다는 전반이 특징인데 선천적, 후천적 요인 모두가 적용된다. 그리고 신체적인 핸디캡과 더불어 정신적으로도 온전치 못해 언어 활동에 문제를 겪는 이들도 제법 되는데, 이들에게는 끝없는 재활이 필요하다. 또, 임신하면서, 혹은 출산하면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뇌병변 장애는 뇌의 기능 이상으로 생기는 장애다. 이는 언어 장애를 보이게 하기도 하나, 그 수가 많지 않고 팔, 다리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특징으로 둔다. 그리고 시각장애는 눈이 보이지 않아 생활 전반에 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특성으로 둔다. 또, 청각장애는 귀가 들리지 않아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는데, 수화를 통해 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언어 장애는 언어 사용에 있어 원활하지 못해 불편함을 겪는 증상을 보인다. 훈련에 의해 어느 정도 이상 극복해낼 수 있다는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또, 안면장애는 얼굴에 심각한 상처를 입어 수술이나 시술을 받아 외적인 호감을 주지 못하게 되는 전반을 의미하는데, 대개 성형수술을 통해 치료하기도 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신장 장애는 소변보는 데에 문제를 유발하고 심장 장애는 호흡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 호흡기 장애는 기관지, 폐 등에 이상이 생겨 치료받게 한다는 특성을 둔다. 그리고 간 장애는 간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경우를 의미하며 장루, 요루 장애는 배변, 배뇨에 문제가 생긴 경우를 의미한다. 또, 간질 장애, 즉, 뇌전증은 한 번씩 경끼를 일으키며 쓰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두는데 이를 앓으면 언제 쓰러질지 몰라 초조해지게 된다. 그리고 정신장애는 우울증, 대인기피증 등의 심리적인 문제로 인한 장애를 의미한다. 또, 지적장애는 앓는 이들이 언어적인 능력이나 감각적인 능력의 문제를 겪는다. 그리고 자폐성 장애는 지능 지수가 70을 넘지 않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언어 능력, 기억력, 사회 적응력 등에 큰 문제를 겪게 한다.
1.2. 장애인 지원과 관련하여 교육학 전공자로서 가장 시급하게 다루어야 할 주제 선정
1.2.1. 장애 유형과 특성 선정
나는 장애 유형과 특성에 관해 학습하고 어떻게 케어해서 극복해낼지를 고찰하며 장애인들의 고충을 간접적으로 이해하고 체험했으며 앞으로의 핸디캡 극복 방안을 여념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런 전반들을 유념케 하는 장애 유형과 특성은 내게 어둠 속의 가로등처럼 내 시야를 밝혀주는 것이다.
이전에는 장애인들을 보면 그저 힘들겠구나, 아니면 어쩌다 저렇게 되었을까 하고 동정하는 것에 그쳤지만 이번에 이 주제를 학습하면서 다양한 장애에 관해서 알게 되고 장애를 어떻게 다루는 것이 효과적이고 바람직한지를 숙지하게 되어 뿌듯하기까지 했다.
자폐증과 같은 장애는 잘 알려져 있지만 비교적 익숙지 않은 뇌병변 장애, 뇌전증, 안면 장애, 신장 질환 등은 대중에게 생소하다. 그런데 나는 이 과제를 하면서 장애 유형과 특성을 학습하며 다소 생소한 이들 장애에 관해 심도 있게 알아보며 숙지하게 되어 의미 깊은 시간을 보낸 것이다.
그리고 신체적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