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속가능성 포스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속가능한 건축과 노만 포스터의 Bundestag
1.1. 지속가능한건축이란?
1.2. 건축에서의 지속가능한 개념
1.3. Bundestag와 노만 포스터
1.3.1. Bundestag의 개축 배경
1.3.2. 노만 포스터와 Bundestag
1.4. 노만 포스터의 친환경 건축 철학
1.4.1. 노만 포스터의 건축 이력
1.4.2. 노만 포스터의 지속가능건축 기법
1.5. Bundestag에 적용된 노만 포스터의 지속가능 기술
1.5.1. 지역기후 활용
1.5.2. 자연환기 시스템
1.5.3. 자연채광 활용
1.5.4.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
1.5.5. 지열에너지 활용
1.5.6. 재료와 폐기물
1.6. Bundestag의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제안
1.7. 친환경 건축의 미래 방향
1.7.1. 제로에너지 건축물
2. 사회복지기관 홍보와 모금
2.1. 사회복지행정과 모금의 중요성
2.2. 사회복지기관 홍보물 사례
2.2.1. 홍보글 작성
2.2.2. 모금 포스터 제작
2.3. 효과적인 모금 활동 방안
3. 아동학대 예방 포스터 분석
3.1. 아동학대 현황
3.2. 아동학대 예방 포스터의 의미
3.2.1. "구겨진 마음의 상처" 포스터
3.2.2. "말로도 때리지 말라" 포스터
3.2.3. "주변을 살펴야 합니다" 포스터
3.3.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속가능한 건축과 노만 포스터의 Bundestag
1.1. 지속가능한건축이란?
지속가능한건축이란 산업혁명과 문명 발달에 따른 환경 파괴에 의한 자연재해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다. 현재 우리는 각종 태풍, 엘리뇨, 지구온난화 등 사람의 힘으로 대처할 수 없는 자연재해가 지구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피해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측하여 앞으로 사람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면서 등장한 것이 지속가능(Sustainable)한 건축이다. 즉, 지속가능한건축은 자연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건축물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목표로 하는 건축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2. 건축에서의 지속가능한 개념
건축에서의 지속가능한 개념은 건축물 생산 과정에서의 자원 소비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인식에서 시작된다. 건축물의 생애주기(설계, 시공, 유지관리)에서 매년 세계 GNP의 1/10이 투입되고 있으며, 전 세계 원재료의 40%와 에너지의 1/3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건축은 지구 자원의 많은 부분을 소비하고 있어, 건축 분야에서의 지속가능성 추구는 지구 환경 보호를 위해 필수적이다.
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은 크게 자원과 에너지 효율성, 환경오염 최소화, 실내 공간의 쾌적성 등 세 가지 방향으로 고려된다. 첫째, 자원과 에너지 효율성은 건축 자재와 에너지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뜻한다. 둘째, 환경오염 최소화는 건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및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건물 운영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실내 공간의 쾌적성은 환기, 채광, 온열환경 등을 고려하여 건물 사용자의 건강과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지속가능한 건축은 건축 과정 전반에 걸쳐 자원 사용과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건물 사용자의 건강과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설계 단계부터 친환경 설계 기법 적용, 재생가능 에너지 활용, 환경부하 저감 기술 도입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지속가능한 건축은 건축 분야가 지구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1.3. Bundestag와 노만 포스터
1.3.1. Bundestag의 개축 배경
1991년 독일이 통일된 후 독일은 통일을 기념할 상징물이 필요하였다. 기념물을 물색하던 중 한번 불에 타 버려진 독일국회의사당이 새로운 독일을 기념하는 상징물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Bundestag는 개축 설계 공모전으로 진행되었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이 있다. 여든 명의 독일 건축가는 모두 탈락하고 마지막의 3명의 건축가는 모두 해외의 건축가이며 여기서 최종적으로 당선된 노만 포스터는 영국 건축가라는 점이다. 지난 날의 매우 인종주의적인 독일의 입장을 생각해 보면 통일이후 독일이 국외적인 이미지를 어느 정도 생각하였다고 생각된다.
1.3.2. 노만 포스터와 Bundestag
노만 포스터는 1991년 독일이 통일된 후 독일국회의사당인 Bundestag의 개축 설계 공모전에 참여하여 당선되었다. 당시 80명의 독일 건축가들이 모두 탈락했고, 마지막 3명의 건축가는 모두 해외 출신이었다. 이는 독일이 통일 이후 국외적인 이미지를 어느 정도 고려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포스터가 개축한 Bundestag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유리로 된 돔이다. 과거 Bundestag에는 이미 돔이 존재했지만, 그 의미는 완전히 다르다. 과거의 돔은 건축물의 시선을 위로 끌어당겨 경외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유리 돔은 투명한 민주주의 체제를 상징한다.
Bundestag 개축 공모 당시 독일 정부는 새로운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건물을 원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통일이 불러일으킨 도취와 행복감이 빠지고 옛 서독 납세자들의 재정적 부담이 현실적으로 드러나면서 공모의 마지막 3명의 건축가에게 저렴한 건축비의 개축방안을 요구했다. 이에 노만 포스터는 한 건물 안에 기능적인 요소들을 집중시키고 의식용 또는 기념의 기능을 하는 공간을 억제한 새로운 계획안을 제출했다. 그 결과 절제된 건물이 탄생했고, 새로운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유리 돔도 탄생했다. 유리 돔에는 정치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요소도 부여되었다.
따라서 노만 포스터가 Bundestag를 맡게 된 것은 독일 정부가 새로운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건물을 원했기 때문이며, 포스터는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동시에 재정적 제약 속에서도 기능적이고 효율적인 건물을 설계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1.4. 노만 포스터의 친환경 건축 철학
1.4.1. 노만 포스터의 건축 이력
노만 포스터의 건축 이력은 다음과 같다.
노만 포스터는 보통 하이테크의 건축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면을 들여다보면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각 건축물이 갖는 환경적 조건을 분석하여 자연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고 적정한 기술 시스템을 적용한 에너지 부하가 낮은 건축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노만 포스터의 철학은 친환경적인 사고를 근본으로 한 하이테크 건축과 통합을 이룬 지속가능한 건축이라고 볼 수 있다.
1960년대 노만 포스터는 최신 구조기술과 재료를 사용하는 디자인이 특징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1980년 중반 이후 사회적 분위기가 공간의 공공성을 고려하는 측면이 부각되면서 그도 같은 방향성을 지향하게 되었다. 1990년대와 2000년대를 거치면서 노만 포스터는 하이테크 기술과 공공성 및 자연에너지를 활용하는 지속가능건축 기법을 자신의 설계안에 전반적으로 반영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즉, 노만 포스터의 건축 이력은 1960년대 하이테크 기술 중심에서 시작하여, 1980년대 이후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왔다고 볼 수 있다.
1.4.2. 노만 포스터의 지속가능건축 기법
노만 포스터의 지속가능건축 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만 포스터는 초기 건축 설계 단계에서부터 자연환경 요소를 고려하여 건축물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자연환경 요소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건축물의 에너지 부하를 줄이고자 했다. 이를 통해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둘째, 노만 포스터는 자연에너지 활용을 위해 기술적인 방법을...
참고 자료
Genath, B. Underground heat store. Bundestag decides on environmentally compatible heating system for the Reichstag building; Waermedeponie im Untergrund. Bundestag beschliesst Oekologisches fuer den Reichstag. Germany: N. p., 1996. Web.
https://www.kbp.de/en/projekt/reichstag-berlin.
노만포스터의 친환경 건축계획 기법에 대한 연구, 임수현,박현수, 2011,03
http://www.morethangreen.es/en/the-eco-shaft/
https://qw3ub.wordpress.com/2010/12/03/case-study-fosters-new-reichstag/
Hammond, Victoria. “The Dome in European Architecture.” Visions of Heaven: The Dome in European Architectur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005. 160-191.
Foster, Norman. “Architecture and Democracy.” Rebuilding the Reichstag. Norman Foster, David Jenkins. London: Weidenfeld & Nicolson, 2000. 130-163
Univercity of Idaho, Dave Waddoups, Jenette Danes, & Teara Lyons, Reichstag, New German Parliament
Burkhard Sanner, Frank Kabus, , Peter Seibt,Underground Thermal Energy Storage for the German Parliament in Berlin, System Concept and Operational Experiences, Proceedings World Geothermal Congress 2005
10.https://energynetwork.tistory.com/86?category=214266
The Reichstag Dome – A Sculpture of Light Above Government in Berlin, Germany, https://www.thepinnaclelist.com/
http://othes.univie.ac.at/14720/1/2011-04-13_0374113.pdf
https://www.fosterandpartners.com/projects/reichstag-new-german-parliament/
https://arcretrofitting.wordpress.com/2014/03/23/the-reichstag/
제로에너지 건축물 정책 및 동향 / Zero Energy Building Policies and Trends in KOREA /대한설비공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서영숙/한일장신대학교/2006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년, 사회적 영향력 및 성과분석/김교성/사회복지공동모금회/2017
더나눔학술 문화재단 편집부, 아동학대의 이해 (우리 아이들! 꽃으로도 때리지 말자!), 동문사, 2022.
허미담 기자, '정인이 사건' 1주기 추모 캠페인…아이 얼굴 구긴 포스터 의미는, 아시아경제, 2021.10.13.
김미향 기자, “말 안 들으면 버리고 간다” “밥 안 준다”도 아동학대, 한겨레, 2020. 6.21.
김향미 기자, 지난해 아동 50명이 ‘학대’로 목숨을 잃었다, 경향신문, 2023.8.31.
아동권리보장원 홈페이지
http://www.korea1391.go.kr/new/bbs/board.php?bo_table=prom_poster&wr_id=8721&page=3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547112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 홈페이지
https://child.seoul.go.kr/archives/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