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게실염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대상자의 연령별 정상 성장발달 상의 특징
2. 대상자의 건강문제: 급성 충수돌기염(Acute Appendicitis)
2.1. 질병의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2.5. 치료
2.6. 간호
3. 사례연구
3.1. 개인력
3.2. 건강력
3.3. 과거력
3.4. 가족력
3.5. 발달상태
3.6. 일반적 특성
3.7. 신체사정
3.8. 검사 및 처치
4. 간호과정
4.1. 간호진단 및 중재
4.2. 간호진단 #1: 혈관 내 염증과 관련된 급성통증
4.3. 간호진단 #2: 발진, 소양증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성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소화기관은 성장발달에 필요한 영양소의 섭취와 소화·흡수를 담당하며, 수분 전해질의 균형과 노폐물의 생성 및 배설 기능을 담당한다. 이런 소화기계 장애는 역류, 오심, 구토, 위장관 출혈, 연하곤란, 열 등의 소화기능 장애 뿐만 아니라 탈수 등의 수분·전해질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아동에게서 소화기계 장애를 사정하여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번 실습을 진행하면서 소아응급실에 내원하였던 환아들의 병명을 지켜보다가, 이론에서만 배웠던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입원한 환아의 사례를 보면서 성인에서만 흔할 것 같았던 질병이 아동에서도 흔한 질병임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아동을 포함하여 전 연령대에서 흔하게 발생할 수 있고, 위급할 경우 복막염까지 초래할 수 있는 이 질병에 대하여 원인부터 증상, 치료방법 등에 대해서 연구해보고 급성 충수돌기염 환아에 대해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2. 대상자의 연령별 정상 성장발달 상의 특징
학령기(13세 환아) 아동은 6~12세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시기로, 관심이 가족에서 또래 친구와 학교로 전환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 아동은 과업 성취에 흥미를 가지고 학습을 통해 지적 능력이 발달한다.
신체적으로는 성장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며, 남녀 간 성장이 유사하다가 여아가 사춘기를 경험하면서 약 2년 정도 빨리 성장하게 된다. 12세 때 평균 키는 남아가 147.5cm, 여아가 150cm이다. 이 시기 아동은 면역력이 발달하여 건강한 상태를 보인다.
인지적으로는 피아제의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여, 논리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이 발달한다. 보존개념을 획득하면서 보다 복잡한 수준의 학습이 가능해진다.
심리사회적으로는 근면성과 열등감의 균형을 이루면서 자아존중감이 발달한다. 또래 집단의 영향력이 커지고 규칙을 준수하는 행동이 나타난다. 성적 욕구는 잠복기에 해당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활동에 집중하게 된다.
도덕성은 인습적 도덕 수준에 속하여, 부모와 같은 권위자의 기준을 넘어 자신의 도덕적 기준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
따라서 학령기 아동은 신체적으로 성장이 완만하지만 건강한 편이며, 인지적으로 논리적 사고가 발달하고 심리사회적으로도 자아존중감과 또래 관계가 증진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2. 대상자의 건강문제: 급성 충수돌기염(Acute Appendicitis)
2.1. 질병의 정의
충수염이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맹장염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잘못된 명칭이다.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도 발생하고 있다."
2.2. 원인
기본적으로 급성 충수돌기염은 어떤 원인에서든지 충수 내부가 막히면서 시작된다. 즉, 충수돌기 개구부가 명확한 원인 없이 폐쇄되면서 시작되는데, 충수가 막히게 되면 충수로부터 대장으로 향하는 정상적인 장의 연동운동이 제한된다. 연동운동 제한으로 인해 저류가 일어난 상태에서 장내 세균이 증식하고 독성 물질을 분비하게 되면서 충수 내부 점막이 손상 받고 궤양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충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충수로 가는 동맥혈의 흐름이 저하되고 충수 벽이 괴사되어 천공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폐쇄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10대의 경우 점막 하 림프소포가 지나치게 증식하여 폐쇄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며, 그 외에도 충수 주위의 임파 조직이 과다 증식 되는 경우가 제일 흔하다.
2.3. 증상
95% 이상의 환자에게서 복통이 발생한다. 이 외에도 식욕부진, 오심, 구토(80%)가 있으면서 국소적으로 복부 압통과 발열이 있다. 복통은 초기에는 상복부 통증이 모호하게 있다가 점차 우측 하복부로 국한되어 통증이 발생한다. 그러나, 비전형적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충수돌기의 위치에 따라 우측 옆구리에 통증이 있을 수도 있으며, 골반 내에 위치하는 경우 배변 후에도 변을 보고싶은 증상 및 치골 위쪽의 모호한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외에도 장 폐색 증상, 복막염, 변비, 설사 등을 주 증상으로 호소할 수도 있다. 주로 젊은 연령층에서 전형적인 양상을 보이며, 병의 초기에 항생제나 진통제 같은 약을 복용할 경우 통증이 가려지면서 충수주위농양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흔히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는 진단이 더욱 어려워진다. 충수돌기염이 천공되면 통증은 더욱 심해지고 아픈 부위가 우하복부에 국한되지 않고 하복부 전체 또는 복부 전체로 확산된다. 이 때에는 고열이 오르기도 하고 심박동 역시 빨라진다. 그러나 급성 충수염의 증상은 이 외에도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단순한 급체로 오해하여 천공성 복막염으로 진행될 수도 있어 주의를 요한다.
2.4. 진단
충수염은 특징적인 임상 증...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급성 충수염 [acute appendicitis]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서울대학교병원] 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53
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88
네이버 지식백과. HSP(인터넷). 서울: 두산백과; 2021(2022.08.3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4978&cid=40942&categoryId=32799
네이버 지식백과. HSP(인터넷). 서울: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2021(2022.08.3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41212&cid=56738&categoryId=56738
서울아산병원. HSP(인터넷). 서울: 서울아산병원; 2014(2022.09.01.)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00
약학정보원. Peniramin(인터넷). 서울; 2021(2022.09.02.)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50A0080
서울대학교병원, 자반증(인터넷), 서울; 2022(2022.09.02)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740
질병관리청 국가정보포털, 손씻기 6단계(인터넷), 충청북도;2022 (2022.09.03.)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18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국민건강영양조사(인터넷), 충청북도;2022 (2022.09.05.)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8/sub08_04.do
김인원 외 7명: 정상 한국인 소아에서 신장 크기. 대한초음파의학회지, 2010;29:181-188.
하태선, 구현회: Henoch-Schönlein 자반증 환아의 임상적 고찰. 대안소아과학회지, 2003;46:1118-1123.
김정애 외.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1판 2쇄. 경기도: 수문사; 2021. P.39-143.
박호란 외. 아동간호학(상). 7판. 서울: 현문사; 2019. P.486-505.
박호란 외. 아동간호학(하). 7판. 서울: 현문사; 2019. P.84-85.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1판. 서울: 고문사; 2021. P.217-324.
은 영 외. 생애주기별 건강사정. 1판. 경기도: 수문사: 2021. P.314-320.
방경숙 외, 2018, 『아동간호학』, 학지사메디컬
황옥남 외, 2019,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박은영 외, 2016,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대한민국 약학정보원 www.health.kr/main.asp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급성 충수염 [acute appendicitis]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9787&cid=51004&categoryId=5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