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학의 이해 기말 과제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학의 이해 과제
1.1. 비유의 정의와 종류
1.2. 인상적인 작품 소개
2. 서사 문학의 이해와 창작
2.1. 스토리 만들기의 방법
2.2. 코로나19로 인한 사례 소설화
3. 영웅군담소설 의 체제 이탈 경향
4. 판소리계소설 의 이본별 문제의식 차이
5. 고전소설 속 '악녀' 캐릭터의 이해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학의 이해 과제
1.1. 비유의 정의와 종류
비유란 모든 문학적 표현 중 가장 기본이 되는 형태이다. 비유를 통해 화자의 고유한 목적을 위해 언어가 독특한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일반적이고 표준적인 단어의 의미에서 벗어나 타인에게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감각적으로 인지가 가능하게 만든다. 감각적으로 인지가 가능해짐에 따라 화자를 이해하기 쉽게 되고 그것을 통해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비유는 한 대상과 다른 대상과의 유사성을 유추하며 창조된다. 두 대상을 비교하며 유사성을 유추하는 과정에서 한 대상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다른 대상으로 옮겨지는 전이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두 개의 각각 비슷하지만 다른 대상은 서로의 의미가 전이되며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게 된다.
비유는 유사성에 근거해 생성되지만 비유와는 상대적 개념인 차이성 또한 비유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두 대상의 유사성으로 인해 필연적인 연결을 느낄 수 있고 상이성으로 인해 두 대상간의 연결이 긴장감을 가지게 되므로, 차이성은 비유를 더욱 참신하고 개성적으로 만든다.
직유에서 비유는 대상은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며 두 대상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나타내며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은유에서 비유는 대상에게 다른 대상의 이름을 부여하며 새로운 이름과 함께 새로운 의미망을 구성한다. 이와는 반대로 환유에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각기 존재하고, 각각 독립된 상태이지만 보조관념이 원관념을 환기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이처럼 다양한 비유의 방법을 통해 두 대상을 연결하는 의미의 유사성을 찾아내 원관념에서 보조관념으로, 보조관념에서 원관념으로 의미를 전이하고 두 대상의 차이성을 부각하며 비유는 만들어진다.
1.2. 인상적인 작품 소개
요 근래가 책장을 정리하다가 흥미로운 책을 발견했어. "무진기행"이라는 책인데 도통 책이 두꺼워서 꺼내볼 엄두가 나지를 않았던 책이야. 어쩐지 그 날을 그 책이 열어보고 싶더라. 네가 항상 "책은 목차부터 시작하는 거야"라고 했던 것이 떠올라 목차를 보는데 단편 소설이 무려 15개나 실려 있는 책이더라. 어쩐지 책이 두껍고 묵직했는데, 단편소설이라고 하니 나도 모르게 안심이 돼서 그대로 책장에서 빼들어 가장 흥미로운 제목부터 읽기 시작했어. 가장 흥미로운 제목을 찾아, "염소는 힘이 세다"라는 작품을 골랐는데 읽자마자 '이 책 네가 참 좋아하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흥분이 되더라. 다시 목차로 돌아가 다음 작품을 고르는데 책 제목과 꼭 같은 "무진기행"이 눈에 확 들어왔어. 다시 침대에 누워 "무진기행"을 읽는데 내내 내 과거와 네가 계속 생각나더라. "무진기행"을 읽고 나서 용기 내어 너에게 전화를 걸어볼까 하다가 그만 두기로 했어. 대신 이...
참고 자료
박태상, 이상진, 김신정, 『문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정호승, 『내가 사랑하는 사람』 (열림원, 2014)
김승옥, 『무진기행』(문학동네,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