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새로운가족관계의문제와해결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문화가족의 관계 증진
1.1. 다문화가족 내 의사소통 및 문화차이 극복
1.1.1.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 지원
1.1.2. 한국인 배우자 대상 언어교육
1.1.3. 결혼이민자 배우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
1.2. 다문화가족 관계 증진을 위한 문화 프로그램
1.2.1. 배우자 가족의 문화 이해 증진
1.2.2. 결혼이민자 배우자의 문화 공유
2. 가상현실 세대의 가족관계
2.1. MZ세대의 가족형성
2.1.1.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가족관계 차이
2.1.2. 다양한 가족형태 수용
2.2. 가상현실 세상의 가족관계
2.2.1. 가상현실 가족관계의 장단점
2.2.2. 가상현실 가족관계의 문제점 및 대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문화가족의 관계 증진
1.1. 다문화가족 내 의사소통 및 문화차이 극복
1.1.1.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 지원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 지원은 결혼이민자와 한국인 배우자 간의 소통을 활성화하여 관계 증진을 도모하는 중요한 방안이다. 먼저 맞춤형 언어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언어교육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방문교육, 온라인교육, 방송교육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시간대별로 교육을 제공하고, 국적 및 수준별로 세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결혼이민자가 한국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인 배우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언어교육서비스도 제공되어야 한다. 결혼이민자의 국적별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언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함으로써, 배우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것이다. 단순히 언어적 소통에 그치지 않고 상대방의 언어를 배워봄으로써 상대방의 문화와 표현 방식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양방향의 언어교육 지원을 통해 다문화가족 구성원 모두가 서로의 언어와 문화를 익히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져 다문화가족의 관계 증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1.1.2. 한국인 배우자 대상 언어교육
한국인 배우자 대상 언어교육은 다문화가족 내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중요한 방안이다. 결혼이민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혼이민자의 국적별로 일상생활을 위한 언어교육프로그램이 개발·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언어교육프로그램은 언어를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상대의 언어를 배워보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아내가 언어를 배우는데 나타날 수 있는 어려움을 함께 경험해보고 아내의 표현, 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1.3. 결혼이민자 배우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
결혼이민자 배우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족 내 의사소통 및 문화차이 극복을 위한 중요한 방안이다. 결혼이민자 배우자에게 제공되는 교육 프로그램은 한국어 교육 및 문화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결혼이민자 배우자는 한국 사회 적응과 가족 내 의사소통 및 관계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혼이민자 배우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첫째, 일상생활에 필요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진다. 이는 결혼이민자 배우자가 한국 생활에 원활히 적응하고 가족 간 의사소통이 가능하도...
참고 자료
모선희, 이인희, 이선행, 김성운(2008). ㆍ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김유경(2009). 다문화가족의 실태와 정책방안. 보건복지포럼.
박태영, 은선경(2010). 다문화가족의 가족치료 사례연구:일본인 아내와 한국인 남편의 부부치료. 한국가족복지학.
김민경(2012). 다문화가족의 이해. 한국학술정보.
문혁준(2020). 가족관계. 창지사.
김종우 연출, 『너를 만났다』 MBC, 2020
최윤필 기자, 『[기억할 오늘] 키티 제노비스와 방관자 효과(3.13)』, 한국일보, 2020,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3091684779217
한국남성과 결혼한 일본여성의 법적 지위 및 가족문제 연구/이화여자대학교/2017
농촌여성노인의 베트남 며느리 뒷바라지 체험/김윤경/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