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청소년의 개념
1.1. 청소년의 정의
청소년이란 "인간의 성장과정의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는 중간단계"를 의미한다. 청소년의 정의는 시대와 사회, 학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생물학적인 연령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다.
청소년기본법에서는 청소년을 9세 이상 24세 미만의 자로, 청소년보호법에서는 0세 이상 18세 미만의 자로, 아동복지법에서는 18세 미만의 자로 각각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법적 정의에 있어서 연령기준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 청소년기는 아동기가 끝나는 약 12세부터 23~24세까지의 시기로 정의되고 있다. 이 시기에는 성호르몬의 분비로 인한 급격한 신체 변화와 함께 아동도 성인도 아닌 중간단계의 혼란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청소년은 스스로를 책임지기 어려운 연령으로 간주된다.
또한 어원적 관점에서 청소년을 설명하면, 영어권에서는 'adolescent'와 'youth'로 구분된다. 'adolescent'는 라틴어 'adolescere'에서 유래한 것으로 "성장하다" 또는 "성숙에 이르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youth'는 교육, 취업, 출가, 결혼 등의 사회적 역할을 기준으로 10대의 의존적 청소년기와 20대의 반의존적 청소년기 사이에 위치한 것으로 보는 개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년', '소녀', '미성년', '중·고생' 등의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어원적이기보다는 발달적, 제도적 성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1.2. 청소년 개념의 발전
청소년 개념의 발전은 그랜빌 스탠리 홀(G. Stanley Hall)과 마가렛 미드(Margaret Mead)의 견해, 그리고 창조주의자들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1890년과 1920년 사이, 다수의 교육학자와 심리학자, 도시 개혁가, 청년 사업가, 상담자들이 "청소년"의 개념을 창안하기 시작하였다"
그랜빌 스탠리 홀의 견해에 따르면, 청소년기는 12세에서 23세까지의 연령 범위로, "질풍과 노도(storm and stress)"로 특징지어진다" 그는 청소년들의 사고, 감정, 행동이 자만과 겸손, 선과 유혹, 행복과 슬픔 사이를 오간다고 주장했다"
한편 인류학자 마가렛 미드는 남태평양의 작은 섬 사모아의 청소년들을 연구하면서, 청소년들의 기본적인 성질이 생물학적 특징이 아닌 사회·문화적 특징을 반영한다고 믿었다" 그녀는 사모아 섬의 청소년들이 성관계, 출산, 죽음 등을 자연스럽게 경험하며 성장하므로 "질풍과 노도"와 같은 특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20세기 초반의 창조주의자들 역시 청소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는데, 당시를 "청소년의 시대"라고 일컫는 이유는 1890-1920년 기간 동안 청소년 관련법이 다수 제정되고 실행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청소년 개념은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 발전해왔으며, 이를 통해 청소년기의 특성과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1.3. 청소년에 대한 다양한 관점
청소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은 다음과 같다.
그랜빌 스탠리 홀(G. Stanley Hall)은 청소년기를 "질풍과 노도(storm and stress)"의 시기로 보았다. 그에 따르면 청소년들은 자만과 겸손, 선과 유혹, 행복과 슬픔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며 갈팡질팡하는 특성을 보인다"라고 하였다. 즉, 청소년들은 어느 한 순간 친구에게 화를 내다가도 금방 친절해지는 등 감정의 변화가 심하다는 것이다.
반면 인류학자 마거릿 미드(Margaret Mead)는 청소년들의 기본적인 성질이 생물학적인 특징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고 믿었다. 그녀가 연구한 사모아 섬의 청소년들은 성관계, 아기 출산, 죽음 등에 대해 매우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문화 속에 있었기 때문에 "질풍과 노도"와 같은 특성을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청소년에 대한 창조주의적 관점에서는 1890-1920년 사이 청소년의 개념이 창조되었다고 본다. 이 시기에 많은 청소년 관련법들이 제정되고 실행되었는데, 이는 청소년이 중요한 사회적 존재로 부각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청소년에 대한 관점은 학자나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Hall과 Mead의 견해는 청소년기의 특성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여, 청소년에 대한 이해가 개인이나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이다.
1.4. 법률적 측면과 발달심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