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치군사적평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반도와 주변국의 역사적 문화교류
1.2. 전쟁 가능성 증대와 평화유지의 필요성
2. 한중일 간 정치·군사적 긴장도 증대
2.1. 한국의 대중·대일 외교정책
2.2. 중국의 한반도 정책과 한중일 관계
2.3. 일본의 한중 외교정책
3. 한중일 간 문화·경제 교류 활성화
3.1. 삼국시대의 문화교류
3.2. 개항기 이후 문화 및 경제 교류
3.3. 경제적 상호의존과 정치·군사적 긴장의 배경
4. 전쟁 가능성 감소와 평화유지 방안
4.1. 국력 강화와 자주국방
4.2. 국제기구와 강대국의 개입
4.3. 다자간 외교와 협력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반도와 주변국의 역사적 문화교류
한반도와 주변국의 역사적 문화교류는 오래전부터 지속되어왔다. 우선 삼국시대에는 군사적 쟁탈이 치열하였지만 초기에는 문화적 교류도 활발하였다. 4세기 초 일본은 가야로부터 우수한 철기 제작 기술을 전수받았고, 5세기에는 백제에서 건너온 도래인들이 일본에 스에키 토기, 배틀, 금속공예 등 다양한 기술을 전파하였다. 또한 고구려는 당시 승려 담징을 보내 일본에 종이와 묵 제조법, 벽화 등의 문화를 전해주었다. 이처럼 삼국시대에는 한반도와 주변국 간 활발한 문화 교류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통일신라 시대에도 장보고 등 통일신라인들이 해상 무역을 통해 일본과 활발한 문화 교류를 전개하였다. 일본과의 공식적 무역 관계는 끊겼지만 거래를 이어나가며 통일신라의 우수한 해상 기술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이어 개항기 이후에도 한반도와 주변국 간 다양한 문화 교류가 계속되었다. 특히 조선에서는 신분제도의 탈피를 꿈꾸는 신지식인들이 등장하여 내각 제도와 관리 등용제 등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하지만 일본의 식민지화 움직임과 청나라의 개입으로 인해 변화의 의미가 퇴색되기도 하였다. 이후 광무개혁을 통해 공장 설립, 토지 조사사업 등 근대화를 추진하였지만 외세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처럼 한반도와 주변국 간 오랜 역사를 통해 지속적인 문화 교류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1.2. 전쟁 가능성 증대와 평화유지의 필요성
한반도와 주변국의 역사적 문화교류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국, 중국, 일본 간의 문화적, 경제적 교류가 활발해질수록 이 국가들 사이의 정치적, 군사적 긴장도 또한 점차 강해지고 있다. 이는 상호 간 힘의 균형이 변화함에 따라 나타나는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근대 이후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강대국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긴장도가 더욱 고조되었다. 일본의 한반도 지배 야욕, 중국의 한반도에 대한 전략적 이해관계, 미국의 세력 확장 등이 맞물리며 한반도를 둘러싼 세력 다툼이 지속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은 주변국들 간의 갈등구도 속에서 자국의 생존과 이익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해 왔다.
오늘날에도 한국, 중국, 일본의 정치·군사적 대립은 계속되고 있다. 영토분쟁, 역사인식 차이, 패권 경쟁 등의 이슈를 둘러싸고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역내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 전쟁의 가능성을 낮추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국이 서로의 이해관계를 존중하고 협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역내 국가 간 대화와 외교적 노력을 통해 갈등을 관리하고, 군비 경쟁을 자제하며, 경제·문화 교류를 증진시켜 상호 의존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국제기구와 강대국의 개입을 통해 역내 평화 프로세스를 촉진하고, 다자간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공동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2. 한중일 간 정치·군사적 긴장도 증대
2.1. 한국의 대중·대일 외교정책
한국의 대중·대일 외교정책은 다음과 같다.
한중수교로 말미암아 한중 간의 협력과 공동번영의 시대를 앞당길 수 있었다. 한중의 교역투자가 획기적으로 증대되면서 경제적 상호의존관계를 심화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동북아 번영 시기를 재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제 한중 모두는 국제사회의 주요 핵심 지도국가로 성장하였다. 중국은 미국과 함께 국제사회의 주요 핵심 지도국가로 부상하였고, 한국은 '미들파워(middle power)' 국가로 성장했다.
최근 한중관계에 어려움이 있으나, 한국속담에 "비온 뒤에 땅이 굳듯" 양국은 지금의 성장통을 잘 극복하고 더욱 성숙한 동반자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한중 지도자 간 신뢰구축이 중요하다. 양국 지도자 간의 우호적 관계 증진을 통한 국가 간 신뢰구축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 정부는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국제정치의 변화를 인식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해나가고 있다. 한국은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표명할 필요가 있다. 이제까지 한국 정부가 수세적 입장을 취해오면서 일대일로 구상과 인도태평양 전략 중 어느 쪽에도 참여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면, 이제는 일대일로 구상과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을 선별적으로 골라서 적극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혀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일본과 함께 인도태평양 전략에 참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절대 중국을 견제하는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한국의 한반도정책을 다시 한 번 일본 측에 이해를 구하는 적극적인 외교가 필요하다.
북한 비핵화 문제는 더 이상 냉전 구도를 상정한 한미일 협력으...
참고 자료
공용, 2018, 국제외교정책,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신종호, 2005, 국제전략환경의 변화와 중미관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타, 중소연구 통권 106호 p.113-p.141
신종호 외, 뉴노멀시대 미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북‧ 통일전략 (서울: 통일연구원,
2019), pp. 58~59, pp. 117~118 참조.
문흥호, 2005, 중국의 대외정책 전략, 동북아시대와 중국 ; 중국의 대외전략: 동북아 및 한반도정책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국제정치
박홍서, 2006, 신현실주의 이론을 통한 중국의 한반도 군사개입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정치학회보 제40집 제1호
손열, “대일정책: 백년대계의 장기적 안목으로 한일관계 재건축,” EAI 워킹페이퍼(2021).
한석희, 2006, 6자회담과 중국의 딜레마, 국제정치논총
주요야, 2004, 중국의 발전과 한반도의 평화,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정책과학연구
마딩성, 2005, “중국, 한반도 통일시켜 일본 견제해야” YTN 보도자료에서 발췌, 홍콩 亞洲週刊
손병해, 한국국제경제학회, 『문화적 공통성을 통해서 본 한․중․일 경제통합의 의의: 유교문화의 전통가치를 중심으로』, vop.19. 201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27809
연민수, 한일관계사학회, 『고대 한반도문화의 일본전래 —‘07년도 검정 고교일본사교과서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 연구」, 통권 30호, 200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76178
남태구,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동복아 정세 The strategy of On ebelt, One road and the state of Northeast Asia affairs, 한국 외국어 대학교, 외교안보학과, 2017.8
반뉴,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따른 중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간 교역협력 = A Study on the Trad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UAEBased on the Strategy of China's One Belt, One Road,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통상학과 국제통상학 2018.
임연,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의 추진현황과 한국과의 협력방안에 관한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a's "One Belt OneRoad" strategy and Chinese-Korean cooperation, 중앙대학교 대학원 :동북아 중국정치경제 2018. 2
姜海月, WTO체제하의 중국해운서비스무역에 관한 연구 = Study ofTrade In Maritime Transport Services In China Underd The WTO ,고려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7.
조군여, 실크로드와 일대일로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silk road and one belt and one road,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 통상경제학과 경제학전공 2018.
김나영, 중국 “일대일로(一帶一路)”정책 분석을 통한 한국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try strategies of Koreacompanies into China market from China's Yidai Yilu(New Silk Road Economic Belt) Plan analysis,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중국경영학,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