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한부모 가족의 개념과 특성
한부모 가족은 이혼, 사별, 유기, 미혼모 등의 이유로 인해 발생하는 가족 유형으로 어느 한 부(父)나 모(母)와 함께 사는 미성년 아이로 이루어진 가족을 의미한다. 한부모 가족은 편부모 가족, 편부모가정, 편부모 가구 등 각기 다른 명칭으로 혼용되어 불리어지다가 편부모의 편(偏)이 결손의 의미를 담고 있는 등 부정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 온전한 하나의 가족이란 의미로 최근 한국여성민우회를 중심으로 한부모 가족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크다', '온전한', '가득한'의 뜻을 지닌 순수우리말인 '한'을 사용함으로써 한부모 가족이 반쪽짜리 또는 결여된 가족이아니라 완전한 가족으로서, 좀 더 긍정적인 의미를 투여하게 되었다"이다.
1.2. 한부모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한부모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가족은 부모가 한 명만 있기 때문에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데 어려움이 있다. 혼자서 자녀 양육을 전담해야 하는 한부모에게는 자녀와의 소통, 이해, 관계 형성 등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가족생활교육은 한부모가 자녀와의 관계를 개선하고 긍정적인 양육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둘째, 한부모 가족은 경제적 부담이 크기 때문에 자녀의 교육, 건강, 문화 생활 등에 어려움을 겪는다. 가족생활교육을 통해 한부모가 자녀 양육과 관련한 실질적인 정보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셋째, 한부모 가족은 사회적 편견과 고립으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가족생활교육은 한부모 가족들이 서로 교류하며 지지 체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고, 사회적 인식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이처럼 한부모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은 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부모의 양육 능력 향상, 가족 간 관계 개선, 사회적 지지 확보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필요성과 중요성을 가진다"".
2. 본론
2.1. 한부모 가족의 유형과 문제점
2.1.1. 한부모 가족의 유형 분류
한부모 가족의 유형은 부모집단의 유형, 가족해체의 유형, 자녀에 대한 보호 주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첫째, 부모집단의 유형에 따라 결혼한 사람들과 결혼하지 않고 동거상태로 살다가 한부모가 된 사람들로 나뉜다. 둘째, 가족해체의 유형에 따라 아버지나 어머니의 사망, 부모의 별거나 이혼, 배우자의 장기입원이나 장기구속, 미혼모 등으로 구분된다. 셋째, 자녀에 대한 보호를 누가 맡느냐에 따라 어머니가 자녀를 보호하는 모자가족과 아버지가 자녀를 보호하는 부자가족으로 나뉜다. 이처럼 한부모 가족은 다양한 원인에 따라 구체적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른 가족의 특성과 문제점이 달라질 수 있다."
2.1.2. 한부모 가족이 겪는 주요 문제
한부모 가족이 겪는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다.
한부모 가족은 한쪽 부모만이 자녀를 양육하기 때문에 자녀 양육과 경제적 문제, 과중되는 가사노동, 열악한 주거환경과 건강상의 문제,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죄책감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자녀 양육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단독으로 자녀를 양육해야 하는 한부모는 양육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부담감이 매우 크며, 이로 인해 부모 자신의 자기효능감은 물론 자녀와의 관계도 해치게 된다.
또한 여성 한부모의 경우 자녀 출산 및 양육으로 인한 경력단절로 인해 재취업이나 기존 업무의 복귀가 어려운 상황이다. 남성 한부모의 경우에도 자녀 보육에 대한 비용 증가와 익숙하지 않은 자녀 양육 및 가사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삶의 만족감이 떨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