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가 피터워커 포스트모더니즘 발표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10.06
7,7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조경가 피터워커 포스트모더니즘 발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피터 워커(Peter Walker)의 조경 작품
1.1. 개요
1.2. 설계 철학
1.3. 주요 작품
1.3.1. 국립 9.11 메모리얼 파크
1.3.2. 태너 분수
1.3.3. 바랑가루

2. 스즈키 쇼도(Shodo Suzuki)의 조경 작품
2.1. 작품 경향
2.2. 설계 철학
2.3. 주요 작품
2.3.1. 수젠지 마을 센터 정원
2.3.2. 키요세 카나야마 그린 파크
2.3.3. 시라톤 도쿄 베이 호텔 정원

3. 피터 워커와 스즈키 쇼도의 비교
3.1. 포스트모더니즘
3.2. 미니멀리즘
3.3. 작품 양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피터 워커(Peter Walker)의 조경 작품
1.1. 개요

피터 워커(Peter Walker)는 1932년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났으며, 1954년 버클리대학에서 조경학을 전공하였다. 1954년부터 1955년까지 Lawrence Halprin 사무실에서 일하였고, 1957년 하버드대학에서 조경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57년부터 1974년까지는 사사키(Sasaki)와 함께 SWA(Sasaki Walker and Associates) 그룹에서 활동하였는데, 합리적 문제해결을 추구한 사사키와는 달리 워커는 직관에 의존하는 방식을 취하며 대조를 이루었다. 1975년부터 1983년까지 하버드대학 조경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1983년에는 SWA 그룹을 떠나 마샤 슈왈츠(Martha Schwartz)와 함께 설계사무소를 운영하였으며, 1990년 이후부터는 독자적인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006년에는 자신의 이름을 딴 피터 워커 파트너스(PWP) 설계사무소를 설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경력을 통해 피터 워커는 약 30년간 다양한 국제적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역사와 전통에 대한 지식과 현대 조경에 대한 연구를 결합하여 디자인하고, 최신 기술과 혁신적 기법을 시공에 적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설계 철학

피터 워커는 설계철학에서 정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분석보다는 직관에 의존하는 구상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는 좋은 공간을 구상하기 위해서는 상상력의 단계가 필수적이며, 직관을 통해 공간이 지녀야 할 의미와 형태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믿는다.

그의 작품에서는 제스처, 표면의 경질화와 평면화, 연속성 등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제스처는 전체 경관을 하나로 인식하게 해주는 직선적인 표현으로, 경관에서 나타나는 선적인 상태를 표현한다. 표면의 경질화와 평면화는 주변 환경과 거리를 두고 대상지 자체의 도안에 관심을 기울이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연속성은 패턴으로 나타나는 반복적인 형태를 통해 드러나며, 이를 통해 관객과 작품이 동일한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설계 철학을 바탕으로 피터 워커는 총 3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작품 활동을 전개한다. 첫째는 객관적 가시성으로, 그의 조경작품은 배경이 아닌 그 자체로 보여지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는 개념 표현의 명확성으로, 작품이 나름의 개념과 메시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사회적 독자성으로, 작품은 다른 예술 분야와 구별되는 개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피터 워커는 의뢰인의 요구와 부지의 배경, 건축가의 건물을 가능한 한 간명하고 직접적이며 최소한의 방법으로 하나로 묶는다.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고 많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또한 그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되, 그것은 함축성과 간결함을 통해 나타나는 아름다움이어야 한다고 믿는다.


1.3. 주요 작품
1.3.1. 국립 9.11 메모리얼 파크

국립 9.11 메모리얼 파크는 피터 워커가 평면에 가장 중점을 둔 작품으로, 수목과 폭포의 수직적 느낌을 극대화하였다. 한 방향 열식을 통해 공원의 기념성과 자연성을 동시에 드러내며, 유족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이용자들이 장소의 의미를 더욱 깊이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공간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폭포 Reflecting Pool의 깊이는 9.14m(30피트)이며, 면적은 각 4046㎡(1에이커)로 북미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분당 약 1만1400리터의 물이 중심으로 쏟아지는데, 이는 테러로 인한 슬픔의 눈물이자 여전히 살아있는 뉴욕을 의미한다. 또한 희생자의 이름을 동료, 친구, 가족의 이름과 나란히 새김으로써 2983명의 희생자들이 하나 하나의 섬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식재로는 참나무 416그루를 한 방향으로 열식하여 기념성과 자연성을 동시에 드러냈다. 참나무는 봄의 연둣빛, 여름의 초록빛, 가을의 붉은빛의 잎으로 계절의 변화를 보여주며, 희생자들이 대부분 5개주에서 거주했던 만큼 5개주에서 나무를 공급했다. 또한 '기념수목_survivor tree'인 9·11 테러 당시 폐허 속에서 홀로 살아남은 배나무를 식재하여 상처를 딛고 일어나는 강력한 회복력을 상징하고 있다.

셋째, 일반적으로 번잡한 광장과 달리 조용한 't...


참고 자료

http://www.pwpla.com/
http://landscapevoice.com/peter-walker-and-partnerslandscape-architecture/
http://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2306
https://www.asla.org/awards/2008/08winners/312.html
http://lafentgarden.com/magazine/atc_view.html?news_id=3526&gbn=02
https://blog.naver.com/archa/40003987546
포스트모더니즘 개론-현대문화와 문학이론, 이합 핫산
포스트모더니즘과 이론, 김욱동
포스트모던 문화읽기, 이정호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