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업가 선천적 후천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리더십
2.1. 리더십 특성이론
2.2. 리더는 타고나는가?
2.2.1. 일론 머스크
2.2.2. 스티브 잡스
2.2.3. 세종대왕
3. 특성이론에 대한 박민우의 생각
4. 기업가정신의 개념과 특성
4.1. 기업가정신의 개념
4.2. 기업가정신의 특성
5. 기업가정신의 중요성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기업이 성공을 유지하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유능한 인재를 모집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적관리의 분야에서 리더십은 중요한 화제이다. 리더가 가진 리더십에 의해 조직이 하나가 되고 업무에 대한 몰입감이 높아져 성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리더십은 20세기 초반부터 학계에서 집중 조명을 받기 시작하여 여러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중에서 1940년대에는 리더십을 두고 특정 리더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타고난 것이라는 명제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를 리더십 특성이론이라고 한다. 이 이론을 증명하기 위하여 무수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리더십이 어느 한 사람이 타고난 것이라는 명제는 결국 증명하지 못했다. 이후 리더십 행동이론이 등장하여 리더십 특성이론의 주장이 반박되었다.
2. 리더십
2.1. 리더십 특성이론
리더십 특성이론은 어떤 특성을 지닌 사람들이 리더가 될 가능성이 높은지에 근거하여 그 특성들과 기술들을 찾아내려는 이론이다. 자질론이나 위인이론이라고도 한다. 이 이론은 리더십에 대한 20세기 초반의 대표적인 연구 접근방법 중 하나였다.
리더십 특성이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이론은 리더들은 앞서가는 사람이며 인도하는 사람이라는 생각과 잘 조화가 되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흥미를 끈다. 둘째, 100여 년 동안의 오랜 연구가 진행되었다. 셋째, 리더십 과정의 구성요소 중 리더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보다 깊은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리더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특성이 무엇인가를 알게 해 주는 수준 지표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리더십 특성이론에는 몇 가지 한계점도 존재한다. 첫째, 특성 연구에 성공할수록 리더의 특성이 무한정으로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 리더와 리더가 아닌 사람을 구분하는 리더 특성들의 상당수가 유전적 요소를 지니고 있어 "리더는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타고난 것이다"라고 생각하게 된다. 셋째, 리더 특성과 리더십 효율성 사이의 연구결과에 대한 일관성이 결여된다. 넷째, 리더십 특성은 어떤 상황에서는 매우 유효하고 활동적이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비활동적이다. 다섯째, 리더십의 효율성은 많은 상황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므로 리더 특성만으로는 리더십에 관한 이해가 불가능하다.
최근에는 리더십이 타고날 수도 있지만 일부 후천적으로 개발될 수도 있다는 새로운 시각이 등장하고 있다. 즉, 리더십에는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이 모두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2.2. 리더는 타고나는가?
2.2.1. 일론 머스크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의 CEO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사실 그는 테슬라의 창업자가 아니다. 테슬라의 첫 창업은 2003년이고 일론 머스크가 테슬라의 최대 주주가 된 것은 2004년 2월이다. 그 후로 10년 이상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미션을 이뤄내며 테슬라를 세계에서 가...
참고 자료
실리콘벨리 사람들은 어떻게 일할까?
네이버 블로그-스마일보물이야기
유튜브- 스티브 잡스의 비전
왕하오란, 전략 명확성과 문화일체감이 리더십특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절강성 원저우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오르나,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김병구, 마틴 헴메어트, 김재진(2022), 글로벌기업가정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춘우 외(2015), 기업가정신의 이해, 중소기업청
이진석(2017), 기업가정신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경영혁신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강경균(2017),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틀(Framework) 개발. 직업교육연구, 제36권 제4호.
조태현(2004), 기업가정신의 중요성 재인식, 중소기업뉴스,
고종남·이광호·권주형(2014),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기업 내 기업가정신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잡코리아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