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수혈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상세정보

소개글

"소아 수혈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소아암의 진단 및 특성
2.1.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 개요
2.2. 원인과 병태생리
2.3. 임상증상

3. 소아암의 진단과 검사
3.1. 혈액검사
3.2. 골수검사
3.3. 기타 진단적 검사

4. 소아암의 치료
4.1. 화학요법
4.2. 면역요법
4.3. 조혈모세포이식
4.4. 중심정맥관 삽입술

5. 소아암 환자의 간호중재
5.1. 감염 관리
5.2. 출혈 관리
5.3. 구토와 식이 관리
5.4. 신경학적 부작용 관리
5.5. 피부 및 점막 관리
5.6. 건강증진 간호
5.7. 가족 교육

6. 간호과정 사례연구
6.1. 간호사정
6.2. 간호진단 및 계획
6.3. 간호수행 및 평가

7. 소아암 환자 및 가족 지원
7.1. 모발 기부
7.2. 소아암 환아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소아암은 소아에게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하며, 죽음에 이르는 위험과 투병 생활을 보내게 되는 소아 만성 질환의 대표적인 것이다. 어린 환자에게는 육체적, 정신적, 교육상, 가정적인 측면에서의 침습을 야기하는 위험성이 따르는 질환이다.

현재 소아암의 진료 인원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질환 발생의 증가와 더불어 이에 대한 치료 기술 또한 발전되어 암환아의 5년 생존율은 8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즉, 소아암은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병에서 장기적으로 질병에 적응해야 하는 만성질환으로 변화되고 있다.

소아암은 질병 및 치료로 인한 결과가 아동의 삶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소아암 생존아는 질병 및 치료의 장기적 후유증으로 인해 성장발달 장애, 신경계, 심혈관, 내분비, 신장, 위장관, 근골격계 장애, 이차적 암 발생과 같은 신체적인 문제뿐 아니라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 부정적 신체상,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삶의 질과 사회적 유능성 저하와 같은 정신사회적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후유증은 성인 생존자에게 교육적 결손, 직업적 차별, 취업의 어려움, 생명보험 가입의 어려움, 낮은 결혼 및 출산 비율, 불임, 암의 유전에 대한 걱정으로 삶의 질이 낮아지는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우리는 소아암 치료 및 합병증에 대하여 알고, 사례를 통한 간호중재 스터디를 진행하여 소아암 대상자에게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2. 소아암의 진단 및 특성
2.1.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 개요

급성림프구성백혈병(Acute lymphocytic leukemia, ALL)은 백혈구 세포 중 하나인 림프구가 종양화되어 빠르게 증식하는 질환이다. 모든 급성백혈병 중 70-80%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흔한 소아암이다. 주로 2-5세 사이의 어린 아동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발병률은 여아보다 남아에게서 더 높게 나타난다.

ALL은 림프구계 백혈구가 악성세포로 변하여 골수에서 증식하고 말초혈액으로 퍼지면서 간, 비장, 림프계, 중추신경계 등을 침범하는 질병이다. 대개 골수나 말초혈액에 림프아세포가 20% 이상 차지하는 경우를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정의한다.

원인의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소인, 바이러스 감염, 방사선조사 등의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다운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파타우 증후군, 판코니증후군 등이 있으며, 쌍둥이의 경우 한쪽이 백혈병이면 다른 쪽에서도 발병 위험이 높다고 한다.

ALL의 가장 빈번한 증상은 골수 침범으로 인한 호중구 감소, 적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로 인한 감염, 빈혈, 출혈 증상이다. 또한 비장, 간, 림프선 비대, 중추신경계 침범, 고요산혈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처럼 ALL은 전신적인 증상을 유발하는데, 특히 감염, 출혈, 빈혈 증상이 두드러진다.


2.2. 원인과 병태생리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의 원인과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전적 소인으로는 다운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파타우 증후군, 판코니증후군 등이 있으며, 쌍둥이의 경우 한쪽이 백혈병이면 다른 쪽 아동에게 백혈병이 생길 위험이 높다. 또한 급성 림프구 백혈병은 백혈구 세포 내 유전자의 근본적인 변화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각각의 림프구의 전구 세포 또는 조혈모세포가 정상 림프구로 성숙되는 과정 중 유전적 악성 변이를 거치면서 순식간에 복제되고 빠르게 증식한다. 이에 따라 골수에서 정상세포가 대신 림프모세포(림프모구, lymphoblasts)로 대체된다. 그 결과 정상 골수 기능이 방해되어 범혈구감소증과 면역억제가 초래된다.

한편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바이러스 감염, 흡연, 방사선조사, 화학약품 등에 대한 직업성 노출, 그리고 항암제 등의 치료약제가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소아암은 성인암과 비교할 때 환경적 요인의 역할이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임상증상

백혈병의 가장 빈번한 증상과 징후는 골수 침범의 결과에 의한 것으로, 감기를 앓는 것과 유사한 증상들, 즉 발열, 피로, 권태, 식욕부진 등을 나타낸다. 아동은 창백해 보이며, 고열을 동반하는 감염증상이 나타나며 항생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 또한 쉽게 멍이 들거나 코피가 잘 나거나 점상출혈이 나타난다. 백혈병 세포가 연골 주위나 관절을 침범하거나 골수강 내에서 증식 하는 경우, 아동은 뼈의 통증이나 관절통을 호소한다. 이는 골수 침범의 결과로 발생하는 것으로,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고 출혈 경향이 증가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3. 소아암의 진단과 검사
3.1. 혈액검사

혈액검사는 소아암 진단과 치료 경과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검사이다.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 환자의 경우 일반혈액검사와 함께 혈액응고검사, 일반화학검사 등이 시행된다.

일반혈액검사에서는 백혈구 수, 헤모글로빈, 혈소판 수 등 3세포계통의 수치가 관찰된다. 백혈구는 암세포로 인해 정상적인 기능이 저해되어 감소하게 되며, 빈혈과 출혈성향이 나타나는데 이는 적혈구와 혈소판의 감소 때문이다. 절대호중구수(ANC)는 감염 위험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혈액응고검사에서는 프로트롬빈시간(PT)과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aPTT)이 관찰된다. 이 수치들이 증가하면 간 기능 저하나 응고인자 결핍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화학검사에서는 간기능 지표인 AST, ALT가 증가하는데, 이는 백혈병 세포의 침윤으로 인한 간 손상 때문이다. 또한 혈청 전해질인 칼륨, 나트륨 등의 수치 변화도 관찰된다. 특히 저칼륨혈증은 근력저하,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 외에도 ferritin, CRP 등의 지표도 함께 모니터링되는데, 수혈에 의한 철분 축적 여부나 감염 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소아암 환자의 혈액검사 결과는 질병의 진행 정도, 치료에 따른 부작용, 감염 위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시 신속한 치료 및 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


3.2. 골수검사

골수검사는 골수 안에 있는 세포가 정상인지와 다른 신체 부위에서 생긴 암세포가 골수까지 전이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때 사용된다"" 골수 검사는 주삿바늘을 뼈(엉덩이뼈)에 꽂아 소량의 액체 상태의 골수를 주사기로 뽑아내고, 골수는 검사실로 보내져 암세포가 있는지 검사하게 된다"" 골수 조직검사는 골수의 실제 조각을 살펴보기 위해 시행되며, 주삿바늘을 보통 뼈(보통 관골)에 꽂아 해면 골수의 조그만 조각을 떼어내 검사를 위해 실험실로 보내 검사를 한다"" 골수 검사가 골수에 있는 혈액세포를 보기 위해 시행된다면 골수 조직 검사는 골수의 실제 조직을 살펴보기 위해 시행된다"" 이를 통해 골수세포가 건강한지 혹은 암세포가 존재하는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3.3. 기타 진단적 검사

기타 진단적 검사에는 조직 검사, 골수 검사, 척수 검사 등이 있다.

조직 검사는 몸에서 조직을 채취하여 암세포의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개방 조직 검사는 수술을 통해 피부를 절개하여 직접 조직을 채취하는 방법이고, 폐쇄 조직 검사는 피부 절개 없이 바늘을 조직에 꽂아 조직을 채취하는 방법이다. 조직 검사는 전신마취나 국소마취 하에 이루어지며, 병변의 위치와 환아의 상태에 따라 마취 방법이 결정된다.

골수 검사는 골수 내에 암세포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주사기로 엉덩이뼈에서 골수를 흡인하여 채취하고, 실험실에서 암세포 유무를 분석한다. 골수 조직 검사는 골수의 실제 조직을 떼어내어 검사하는 방법으로, 골수세포가 건강한지 또는 암세포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척수 검사는 뇌와 척수에 있는 액체에 암세포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주사기로 척수강에서 액체를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검사한다. 척수 검사 후에는 두통과 요통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방사선학적 검사인 뼈 스캔, CT 촬영, MRI, MIBG 스캔, PET 스캔 등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종양의 위치와 크기, 전이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초음파 검사와 엑스레이 검사도 소아암 진단에 활용된다.

이처럼 다양한 진단적 검사를 통해 소아암의 발생 위치, 병기, 예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 방법이 결정되며,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치료 경과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4. 소아암의 치료
4.1. 화학요법

화학요법은 소아암 치료의 일차적 치료법이다.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의 화학요법은 관해유도, 강화요법, 유지의 세 단계로 진행된다.

관해유도 단계에서는...


참고 자료

아동간호학 각론 제11판, 현문사, 2022, p.436~445
한국백혈병소아암협회, 소아암, 검사와 절차
https://soaam.or.kr/board/view.php?code=pds&cat=1&sq=7648&page=2&s_fld=&s_txt=
한국백혈병소아암협회, 소아암환아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https://childrensoncologygroup.org/downloads/COG_Family_Handbook_2nd_ed_KOREAN.pdf
한국백혈병소아암협회, [소아암건강정보] 조혈모세포이식
https://soaam.or.kr/board/view.php?code=nanumTalk&cat=&sq=8078&page=1&s_fld=&s_txt=&PHPSESSID=ddb92786ceb2a346468560f326a9391f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백혈구증가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526&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파종혈관내응고 www.amc.seoul.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파종성혈관내응고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61
아동간호학 수문사 각론
한수연, 황지혜, 김초희, 장혜영, 방경숙(2017), 소아암 환자의 형제자매 중재에 관한 연구논문의 체계적 문헌고찰.Child Health Nursing Research,23(3),394-404.
최자윤, 유일영(2002), 소아암 환자의 초기 진단단계의 간호중재 프로토콜 개발,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8(1),44-54.
연합뉴스/소아암환자에 ‘모발’기부...“한올 한올 희망을 보내요”/2022.02.12./ https://www.yna.co.kr/view/AKR20220211048800505
소아암그룹/소아암 환아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
네이버 지식백과. 급성림프구성백혈병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452&cid=60406&categoryId=60406
MSD 매뉴얼. 급성림프구성백혈구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
서울대학교 암병원. 약물정보 http://cancer.snuh.org/info/medi/view.do?seq_no=22
약학정보원. 의약품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1291A0006
대한비만학회 비만치료지침(2020),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