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약리학 중간고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심혈관계 해부학적 구조
2.1. 심장
2.2. 심장세부구조
2.3. 심장전도계
3. 심혈질환의 간호 중재
3.1. 사정
3.2. 진단
3.3. 계획
3.4. 수행
3.5. 평가
3.6. 임상주의
4. 환자와 가족 교육
5. 심혈질환과 관련된 약물
5.1. 항고혈압제
5.2. 이뇨제
5.3. 혈관확장제
5.4. 항혈소판제제
5.5. 고지혈증 치료제
5.6. 쿠마딘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학생들이 2학년이 되면서 전공 교과목이 늘어나면서 배우는 내용의 깊이도 달라진다는 것을 느꼈다. 특히 의료인으로서 전문적 지식을 갖춰야 하는 약리학 과목을 공부하면서 사명감을 갖게 되었다. 이번 과제는 심혈관계 약물요법 대상자의 간호와 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수업 시간에 배운 약물에 대한 내용 외에 간호와 교육에 대한 내용을 접하기 힘들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심층적으로 공부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
2. 심혈관계 해부학적 구조
2.1. 심장
심장(heart)은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관으로 혈액을 순환시키는 펌프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심장은 가슴안, 폐 사이에 위치하며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근육주머니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장막(pericardium)에 싸여있다. 심장은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좌우 심방(atrium)과 좌우 심실(ventricle)로 이루어져 있다. 심방은 혈액을 모아두는 부분이고, 심실은 혈액을 밀어내는 부분으로 벽이 더 두껍다. 심장에는 4개의 판막(valve)이 있어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또한 좌우를 구분하는 중격(septum)이 존재한다. 태아기에는 좌우 심방 사이에 타원구멍이 있지만 출생 시 이것이 막힌다. 이를 통해 폐순환이 이루어진다.""
2.2. 심장세부구조
심장의 세부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심장끝(심첨, apex of heart)은 심장의 왼쪽 아래에 위치하며, 심첨음 청진 시 5번째 갈비뼈와 왼쪽 유두선 사이에서 들을 수 있다. 심장바닥(base of heart)은 심장의 위쪽 편평한 부분이다.
심장벽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장 안쪽의 층은 심장속막(endocardium)으로 단층의 편평상피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장판막을 구성한다. 그 중간층은 심장근육층(myocardium)으로 가장 두꺼운 층이며, 특히 좌심실근이 가장 두껍다. 가장 바깥층은 심장바깥막(epicardium)으로 두 겹의 장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2.3. 심장전도계
심장전도계는 심장이 효율적으로 혈액을 보내기 위해 자극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수한 심장근육세포들로 이루어진 전도계통을 통해 활동전위를 생성하여 자극을 전달한다. 이때 자동능, 즉 세포가 자발적으로 흥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심장전도계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굴심방결절(sinoatrial node)은 심장 길잡이로서 심방에 자극을 전달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둘째,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은 심실에 자극을 전달한다. 셋째, 방실다발(atrioventricular bundle)과 좌우갈래(bundle branch), 푸르킨예섬유(purkinje fiber)를 통해 심실에 자극이 전달된다. 이러한 전도계통의 기능은 시상하부, 자율신경, 호르몬 등의 중추에 의해 조절된다."
3. 심혈질환의 간호 중재
3.1. 사정
환자의 건강력에 대해 가능한 많이 파악한다. 심장질환, 다른 건강문제, 임신 가능성...
참고 자료
약리학 (제13판), 김진학 외, 정문각, 2021.08.15
황옥남 외 8명 저, 『성인간호학』, 현문사, 2018
전시자 외 29명 저, 『간호과정』, 현문사, 2004
정담 편집부 저,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6 : 소화기』, 정담, 2013
백운철 외 25명 저, 『핵심병리학』, 은학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