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반려동물 산업의 현황과 전망
1.1. 국내 반려동물 산업
1.1.1. 반려견 사료 및 간식 시장
국내 반려견 사료 및 간식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기준 2019년 배합사료 생산실적 중 애완동물(관상용 어류 제외) 배합 사료 생산 실적은 109,781톤으로 전년 대비 16.4% 증가했으며, 이 중 반려견 사료의 비중이 58.3%를 차지한다. 2019년 반려견 배합 사료 생산 규모는 63,956톤으로 전년 대비 60,729톤 대비 5.3% 증가하며 2017년 이후 감소했던 생산량을 회복하였다.
2020년 반려견 사료와 반려묘 사료를 합한 사료용 조제품의 총 수출액은 6,749만 달러로 전년 대비 83.5% 증가했으며, 총 수입액은 2억 7,073만 달러로 전년 대비 11.9% 증가하였다. 2020년 사료용 조제품 총 수출액 6,749만 달러 중 반려견 사료는 2,054만 달러로 30.4%를 차지했다. 총 수입액은 2억 7,073만 달러로 이 중 반려견 사료는 1억 7,714만 달러로 65.4%를 차지했다. 2020 펫푸드 주요 수출 대상국은 일본, 태국, 베트남 등이며, 주요 수입 대상국은 중국, 미국, 캐나다, 일본 등이다.
반려견 사료의 주요 제품으로는 로얄캐닌 도그 세타이어티 웨이트매니지먼트, 에이티바이오 맘블레스 그레인프리피쉬, 알파벳 성인, 이레본 내츄럴코어 ECO 3a센시케어(램), 풀무원 오리진 스킨앤뷰티 연어, 한국인삼공사 지나펫 홍삼함유기본식 등이 있다. 반려견 간식 주요 제품으로는 팻더맨 마이도기 애견 간식, 퍼피아이 시니어소프트 강아지 간식, 굿데이 건강한육포 반려견간식, 굿데이 건강레시피 반려견 간식, 탐사 리얼 오메가 트릿 강아지 간식 등이 있다.
1.1.2. 반려견 보험 시장
반려견 보험 시장은 국내외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메리츠화재의 펫퍼민트 애견보험, 현대해상의 하이펫 강아지 보험, 롯데의 마이펫 강아지 보험, 삼성화재의 다이렉트 펫 보험 등 여러 보험사들이 반려견 전용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이들 보험은 대부분 생후 91일부터 최대 만 8세까지 가입이 가능하며, 갱신기간도 1년에서 최대 3년까지 다양하다. 보장 항목도 단순 입원비, 배상책임보험에서 관절, 피부, 구강질환 등 발병율이 높은 질병까지 보장되고 있다.
한편 해외 시장을 살펴보면, 스웨덴은 세계 최초로 1924년부터 펫보험이 시행되어 현재 가입률이 40% 이상에 달한다. 영국은 가입률이 25%로 펫보험 시장 규모가 2015년 9억 7600만 파운드에서 2022년에는 16억 파운드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가입률이 10%대로 상대적으로 낮지만 시장 규모가 10억 3000만 달러 수준이다. 일본은 가입률이 9.1%이고 시장 규모가 약 667억 엔 수준이다. 중국은 공식적인 통계가 없지만 펫보험 가입률이 낮은 편이며, 최근 보험사들이 시장 성장성을 주목하고 적극적인 판매에 나서고 있다.
이처럼 국내외적으로 반려견 보험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반려견 양육 가구 수 및 반려견 의료비 지출 증가 등으로 향후에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1.1.3. 반려견 장묘 산업
반려견 장묘 산업은 반려동물 보유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