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역사 전기적 비평 여섯가지 요소 및 김지하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역사·전기적 비평
1.1. 역사·전기적 비평의 정의
1.2. 역사·전기적 비평의 배경
1.3. 역사·전기적 비평의 주요 요소
1.3.1. 원전의 확정
1.3.2. 언어의 연구
1.3.3. 작가의 전기 연구
1.3.4. 작품의 평판과 영향력
1.3.5. 문화에 대한 이해
1.3.6. 문학적 전통과 관례
2. 역사·전기적 비평의 실제 적용
2.1.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
2.1.1. 작품의 원전 확정
2.1.2. 작품의 언어적 특징
2.1.3. 작가 김지하의 전기
2.1.4. 작품의 명성과 영향
2.1.5. 작품의 문화적 배경
2.1.6. 작품의 문학적 관례
3. 현진건의 「빈처」에 대한 역사·전기적 비평
3.1. 작품의 원전 확정
3.2. 작가 현진건의 전기
3.3. 작품의 시대적 배경과 문화적 이해
4. 역사·전기적 비평의 장단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역사·전기적 비평
1.1. 역사·전기적 비평의 정의
역사·전기적 비평은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그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작품과 작가와의 연계성을 중시하는 비평 방법이다. 이 비평 방식은 작품의 창작 배경이 되는 작가의 전기적 정보와 해당 작품이 창작된 시대적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작품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즉, 어떤 작품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가에 대한 연구와 동시대의 다른 작가들과의 연관성, 작품의 사회적 배경 등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역사·전기적 비평가들의 핵심 주장이다. 이러한 작품 분석 방식을 통해 작품과 작가의 위치를 문학적, 역사적 사건 속에서 명확히 설정할 수 있으며, 개별 작품에 대한 통시적 안목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2. 역사·전기적 비평의 배경
역사·전기적 비평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19세기에는 기초 자연과학의 발전에 힘입어 사회과학과 인문과학도 현저하게 발전이 이루어졌다.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독일에서는 관념철학이 전개되었고, 프랑스에서는 실증주의가 제창되어 사회학이란 새로운 학문의 길이 열렸다. 이때 문학에서는 낭만주의에 이어 사실주의와 자연주의가 꽃피우고 있었다.
프랑스에서 제창된 실증주의에 힘입어 생트뵈브와 랑송에 의해 독단적 교조주의적 비평을 극복하려고 하는 시도가 진행되었다. 랑송에 의하면 문학연구는 작품에 대한 개인적인 반응을 없애기도 힘들며 보존하기도 힘들다는 점, 그리고 개인의 독창성을 드러내기가 어렵다는 점, 집단의 대표자로서 개인을 드러내기가 힘들다는 점의 세 가지 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밀한 문헌조사와 생애 연구를 제안하였다. 랑송은 역사학에서 관례처럼 되어 있는 방법들을 문학 분야에 적용하고자 했다. 즉 작가의 생애나 환경을 연구하고 그것들이 작품에서 맡고 있는 결정적인 역할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1.3. 역사·전기적 비평의 주요 요소
1.3.1. 원전의 확정
역사·전기적 비평에서 '원전의 확정'은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다. 문학작품을 분석함에 있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분석 대상이 되는 작품의 텍스트가 믿을 만한 원본인지 여부이다. 특히 필사본이나 목판본 등 고대 문헌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이본들이 존재하게 되므로 원본과 후대 이본들 간의 선후관계를 규명하여 가장 신뢰할 만한 텍스트를 선택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처럼 원전을 정확히 확정하는 것은 오류를 최소화하고 객관적인 분석을 위한 출발점이 된다. 따라서 역사·전기적 비평에서 원전의 확정은 작품 이해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기하는 데 기여하는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3.2. 언어의 연구
언어의 연구는 작품에 사용된 언어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작품 속의 언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밝히며 그 언어가 갖는 의미가 지금의 의미와 다른 점은 없는지 등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언어의 연구를 통하여서 오늘날의 독자로 하여금 작품이 생산되었던 당대 독자들의 언어를 이해하고 인식하는 상대자가 되도록 인도해야 하고, 그러한 언어를 현재에 쓸 수 있는 매개로 다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별히 작품에 사용된 언어가 사전적 의미 이상의 함축적, 상징적으로 사용된 것이라면 그 진의를 찾아내는 일도 필요하다. 또한 고어나 방언의 경우엔 현대어와 표준어로 재해석하는 작업부터 해야 하며, 텍스트에 사용된 언어에 탈자, 오기는 없는지 등의 교정 문제에도 유의해야 한다. 즉 역사·전기적 비평에서는 작품 속 언어의 기능과 의미, 언어적 특징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작품 이해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1.3.3. 작가의 전기 연구
역사·전기적 비평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영역은 작가 연구이다. 작품은 작가의 의도에 따라 창작된 것이기에 작가의 의도를 조명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기에는 작가의 ...
참고 자료
박태상•이상진•김신정 공저, 『문학의 이해』, 서울;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박군석, “김지하 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이병렬, 『꼭 읽어야할 한국단편 35선』, 타임기획, 1987.
이상우, 『문학비평의 이해』, 집문당, 1995.
이상우,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5.
이선영,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삼지원, 1983.
정신재, 『문학 비평의 실제』, 번양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