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자궁내막증은 성장, 증식 및 출혈 등과 같은 기능이 있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외 부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호발 부위는 골반장기와 복막이다. 이 중 난소에 가장 흔히 발생하며, 자궁 인대, 직장 및 질중격, 자궁, 난관, 직장, S자상 결장 또는 방광을 덮고 있는 골반의 복막, 제와부, 복부절개, 반흔부, 탈장낭, 층수돌기, 외음부 등에서 발생한다. 또한 아주 드물게 팔, 대퇴, 흉막, 심외막강 등에서 발생한다. 자궁내막증은 초경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는데, 이는 자궁내막의 성장과 발달이 에스트로겐의 자극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자궁내막증은 주로 가임기 여성들에게 나타나며, 75%가 25~40세 사이이고, 첫 진단 시 평균 연령은 27세, 진단 전 평균 유병기간은 2~5년 전이었다. 또한 만성 골반통이 있는 청소년층의 52%에서 진단 복강경으로 확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임기 전 여성의 1% 이상, 불임여성의 25~50%, 무증상 여성의 3~43%에서 진단된다.
2. 자궁내막증의 정의 및 특징
2.1. 정의
자궁내막증이란 성장, 증식 및 출혈 등과 같은 기능이 있는 자궁내막 조직(선 조직과 기질)이 자궁 외 부위에 부착하여 증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에스트로겐에 의존하는 질병으로 호발 부위는 골반장기와 복막이다. 그중 난소에 가장 흔히 발생하며, 자궁인대, 직장 및 질중격, 자궁, 난관, 림프절 등에 발생한다. 이는 정상적인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외부로 이동하여 자라나는 것으로, 월경 혈액이나 체내 호르몬의 역할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 발병 시기
자궁내막증은 초경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유는 자궁내막의 성장과 발달이 에스트로겐의 자극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75%가 25~40세 사이의 가임기에 오며, 첫 진단 시 평균 연령은 27세이고, 진단 전의 평균 유병기간은 2~5년 전이었다. 만성 골반통이 있는 청소년층의 52%에서 진단 복강경으로 확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임기 전 여성의 1% 이상에서, 불임여성에서의 25~50%에서 무증상 여성의 3~43%에서 진단되었다."
2.3. 호발 부위
자궁내막증의 호발 부위는 골반장기와 복막이다. 그중 난소에 가장 흔히 발생하며, 자궁 인대, 직장 및 질중격, 자궁, 난관, 직장, S자상 결장 또는 방광을 덮고 있는 골반의 복막, 제와부, 복부절개, 반흔부, 탈장낭, 층수돌기, 외음부 등에서 발생한다. 아주 드물게 팔, 대퇴, 흉막, 심외막강 등에서도 발생한다."
3. 자궁내막증의 원인
3.1. 월경혈 역류설
월경혈 역류설은 월경 시 월경혈 및 자궁내막 조직이 난관을 통해 역류하여 자궁내막 세포가 골반 내에 직접 착상되어 성장한다는 이론이다. 이것은 주로 난소, 맹낭, 자궁천골 인대와 광인대, 자궁 후벽에 이식된다. 월경혈의 역류는 전체 여성의 70~90%에서 정상적으로 일어나며, 자궁내막증이 있을 때 더 흔하다. 만약 자궁경부협착증이 있으면 역류가 더 증가하여 자궁내막증이 잘 발생한다.""
3.2. 체강상피화생설
체강상피화생설은 체강상피가 자궁내막 조직으로 변형된다는 설로서, 태생학적으로 체강상피에서 기원하는 골반복막의 일부 혹은 배상피세포가 이상 분화되어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즉, 미분화된 골반복막 세포가 자궁내막 세포로 변형되어 자궁내막증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는 월경혈 역류설과 달리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외부에서 기원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체강상피화생설은 자궁내막증의 병인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