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배달의민족 요기요 4P STP SWOT 비교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기업 소개
1.3. 기업 연혁
1.4. 요기요 인수과정
2. 환경분석
2.1. 요기요 PEST 분석
2.2. 요기요 SWOT 분석
2.3. 배달의 민족 SWOT 분석
3. 기업 장단점 분석
3.1. 경쟁사 대비 요기요의 장단점 분석
4. 전략 도출
4.1. SWOT을 활용한 SO 전략
4.2. SWOT을 활용한 ST 전략
4.3. SWOT을 활용한 WO 전략
4.4. SWOT을 활용한 WT 전략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본 레포트에서는 요기요에 대해 국내 배달앱 중 배달의 민족, 쿠팡이츠와 함께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배달의 민족과 확연한 차이로 뒤떨어지며 배달앱 사용자 이용률이 감소하는 데에 원인을 분석하고, 배달의 민족을 넘어서 국내 배달앱 1위가 되기 위해서 어떤 전략을 통해 디자인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요기요의 현 상황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새로운 마케팅 전략으로 디자인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감과 동시에 악화되고 있는 배달앱 시장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배달의 민족을 넘어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 탐구한 내용을 담고 있다. 요기요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배달 음식 주문 및 배송 플랫폼 중 하나로써, 사용자는 요기요 앱을 통해 지역 음식점의 메뉴를 쉽게 확인하고 주문할 수 있으며, 배달원이 음식을 직접 배송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3년 4월 현재, 요기요는 전국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배달음식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배달의 민족에 크게 밀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수요 증가와 함께 요기요의 이용률은 크게 증가하였던 모습을 보인다. 또한, 요기요는 다양한 할인 이벤트와 포인트 적립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으며, 요기요를 이용하는 음식점들도 수익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얻고 있다. 그러나 요기요와 같은 배달앱이 지역 음식점들에 대한 수수료 부담 문제 등을 야기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과 문제점들을 가지고 소비자들은 왜 요기요를 사용하지 않는가?에 대한 의문을 바탕으로 요기요라는 기업에 대해 분석하고 탐구하여 현 시점에서 요기요가 추진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도출하면서 요기요의 캡스톤 디자인을 시도해보려 한다.
1.2. 기업 소개
요기요는 2011년에 설립되어 2012년 6월 서비스를 시작한 국내 대표 배달 앱 중 하나이다. 요기요의 기업 명칭은 말하는 사람에게 가까운 곳을 가리키는 '요기'와 먹어서 시장기를 면할 음식 '요깃거리'를 합친 것이다. 요기요는 2012년과 2013년 애플스토어 및 구글스토어에서 베스트 앱을 수상할 정도로 인지도와 서비스 면에서 뛰어난 배달 플랫폼 앱으로 알려져 왔다.
요기요의 미션은 배고픈 고객과 음식점 사장님을 이어주는 플랫폼으로서 고객에게는 맛있는 즐거움, 사장님에게는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비전으로는 우리 곁에 모든 음식을 가장 편리하고 즐겁게 만날 수 있는 플랫폼이 되는 것이다.
요기요는 사용자들이 요기요 앱을 통해 지역 음식점의 메뉴를 쉽게 확인하고 주문할 수 있으며, 배달원이 음식을 직접 배송해주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앱을 통해 주문하면 요기요가 배송원과 음식점을 매칭해주고, 배송원이 음식을 픽업해 배송한다. 요기요는 배송 수수료와 기타 수수료를 부과하며, 음식점은 요기요와 제휴해 자사의 메뉴를 요기요 앱에서 판매할 수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수요 증가와 함께 요기요의 이용률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요기요는 다양한 할인 이벤트와 포인트 적립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요기요와 같은 배달앱이 지역 음식점들에 대한 수수료 부담 문제 등을 야기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1.3. 기업 연혁
요기요의 기업 연혁은 다음과 같다.
2011년에 유한회사 알지피코리아 법인으로 설립되었다. 2012년 3월에는 TeamEurope 등 유럽계 VC와 Incubator로부터 3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였다. 이는 요기요의 초기 시리즈 A 단계 투자 유치 과정이었다.
이어 2012년 6월에 '요기요' 웹 서비스 런칭을 시작으로 모바일 앱 서비스까지 개시하였다. 같은 해 추가로 4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시리즈 B 단계에 진입하였다.
2013년 9월에는 다시 40억원의 추가 투자를 유치하여 누적 투자액이 110억원에 달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4년 4월에는 145억원의 추가 투자를 받으며 시리즈 C 단계로 발전하게 되었다.
2015년에...
참고 자료
https://docs.opensurvey.co.kr/report/opensurvey_trend_delivery_2022.pdf - 오픈 서베이 리포트
https://hrcopinion.co.kr/archives/21353
file:///C:/Users/admin/Downloads/(%EC%B5%9C%EC%A2%85%EB%B3%B4%EA%B3%A0%EC%84%9C)+%EB%B0%B0%EB%8B%AC%EC%95%B1+%EC%9D%B4%EC%9A%A9+%EC%8B%A4%ED%83%9C%EC%A1%B0%EC%82%AC.pdf
https://www.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720, ‘딜리드라이브’
https://zdnet.co.kr/view/?no=20230104160933, 배달 시장 키워드는 ‘포장 주문’, 지디넷코리아
https://zdnet.co.kr/view/?no=20230309155153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31519, ‘배달앱3강’, 시사저널
https://platum.kr/archives/7511
https://www.wesang.com/mobile/newsroom/TrendEat?nid=161
http://www.steffhotdog.com/board/file/download?file_number=188&is_cnt=Y
https://www.innoforest.co.kr/company/CP00000015
http://wiki.hash.kr/index.php/%EC%9A%94%EA%B8%B0%EC%9A%94#.EC.97.B0.ED.9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