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ICO 투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근거기반간호(5단계)
1.1. 임상질문(Clinical question)
1.2. 근거의 검색(Finding relavant evidence)
1.3. 비판적 평가(Critical appraisal)
1.4. 실무적용(Applying the evidence)
1.5. 평가(Evalution)
2. PICO
2.1. Patient / Participants / Population / Problems
2.2. Intervention / Exposure
2.3. Comparisons / Controls
2.4. Outcome
3. 정맥주사 통증 완화를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3.1. 연구의 필요성
3.2. 연구 방법
3.3. 문헌 선택과 자료 분석
3.4. 자료분석평가 결과
3.5. 실무적용
4. 근거기반간호 실무
4.1. 근거기반의학
4.2. 근거기반실무의 단계
4.3. 근거기반간호실무 역량
4.4. 근거기반임상실무지침
5. 저온투석과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장애
5.1. 문헌고찰
5.2. 문헌평가 및 통합
5.3. 예비실무적용 계획 및 수행
6. 약물 교육과 약물 복용 이행도
6.1.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에 미치는 효과
6.2. 지역사회 고혈압 노인의 약물 자기관리 교육 프로그램 효과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근거기반간호(5단계)
1.1. 임상질문(Clinical question)
임상질문(Clinical question)은 근거기반간호실무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도전적인 단계로, 연구 가능하고 해답 가능한 질문이 없이는 최상의 근거를 찾을 수 없음을 의미한다. 임상질문은 방대한 양의 정보 중에서 적절한 시간 내에 정확한 근거의 탐색을 안내한다. 임상질문은 PICO 형식으로 작성되며, 구체적이고 정확한 질문 작성이 중요하다. 'P'는 환자, 대상자 또는 문제를, 'I'는 관심 중재나 관심 주제를, 'C'는 비교중재나 비교 관심주제를, 'O'는 성취하거나 개선하려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임상질문 작성을 통해 연구 가능하고 해답 가능한 질문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1.2. 근거의 검색(Finding relavant evidence)
근거의 검색(Finding relavant evidence)은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색하여 임상질문에 가장 적절한 근거를 찾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적절한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고, 검색을 위한 주제어를 결정하며, 임상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데 가장 적절한 연구 설계를 결정한다.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메타분석 결과가 가장 강력한 근거이지만, 임상질문이 개념적 의미나 현상에 대한 경험일 때에는 질적 연구나 다른 수준의 연구 또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3. 비판적 평가(Critical appraisal)
3단계는 검색을 통하여 찾은 근거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단계로 실무에 대한 연구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과정에서 연구 결과가 타당한지(진실성), 결과는 무엇인지(유의미성 또는 신뢰성), 내 환자와 관련이 있는 것인지(적합성)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1.4. 실무적용(Applying the evidence)
4단계는 근거를 실무에 통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즉, 임상 전문성과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환자간호에 대한 결정을 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임상적 판단이 중요한데 이는 환자의 선호도와 가치를 사정하고 통합함으로써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준다. 만일 임상 질문에 대해 답을 줄 수 있는 근거가 없는 경우 이 단계에서 근거를 생산해야 한다."
1.5. 평가(Evalution)
5단계인 평가(Evalution)에서는 근거 적용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근거 적용의 성공을 가장 잘 반영해줄 수 있는 성과가 무엇인지 신중하게 선택하여 측정한다. 이때 편향이나 혼동변인을 고려하여 성과를 측정해야 한다.
평가 단계에서는 간호사의 반응뿐만 아니라 환자의 경험도 함께 평가에 포함되어야 한다. 근거기반간호실무는 간호사들이 최상의 근거에 의해 간호를 제공하게 함으로써 대상자의 결과를 개선시키고, 비용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게 하므로 근거기반간호는 환자와 그 가족에게 미치는 결과까지 연계하여 수행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평가 단계에서는 근거 적용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간호사의 행동이나 반응, 그리고 대상자인 환자와 그 가족의 경험까지 포괄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이를 통해 근거기반간호실무를 더욱 개선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2. PICO
2.1. Patient / Participants / Population / Problems
'2.1. Patient / Participants / Population / Problems'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맥주사의 목적은 체내 수분과 전해질, 영양의 균형을 유지해주고 신체의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정맥주사 시 불가피하게 많은 환자들이 통증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주사 바늘 삽입 시 피부와 혈관이 손상되면서 발생하는 통증이다. 정맥주사 통증은 환자의 선호도 높은 요구사항이자 간호사 업무 수행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맥주사 시 환자들의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정맥주사 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다. 특히 감염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정맥주사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환자나, 다른 환자에 비해 주사 시 통증을 더 많이 호소하는 환자들이 주요 대상이 될 것이다. 연령, 성별, 질병 등의 특성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세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2.2. Intervention / Exposure
중재(Intervention)/노출(Exposure)은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새롭게 시도하고자 하는 중재나 관심 주제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즉 환자에게 적용하거나 수행하고자 하는 처치, 약물, 기기, 방법 등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결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문헌에 따르면 정맥주사 시 발생하는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중재로는 주사부위에 냉요법을 적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냉요법은 국소 혈관을 수축시켜 통증 및 부종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주사부위에 냉찜질, 차가운 팩, 냉수 등을 일정 시간 동안 적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압박기구(M-TEE Tourniquet)를 사용하여 주사부위를 온냉요법으로 처치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주사바늘 삽입 전 국소마취제 도포, 깊숙한 호흡법, 주의전환요법 등의 다양한 중재도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정맥주사 시 통증 완화를 위한 다양한 중재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중재를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통증과 불편감을 경감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3. Comparisons / Controls
'2.3. Comparisons / Controls'에 대한 내용...
참고 자료
정명아. (2002).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주사바늘 삽입 시 온적용 및 냉적용이 통증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선미. (2023). Modified Thermoelectric Element Tourniquet을 이용한 온·냉요법이 입원환자의 정맥주사 시 통증, 스트레스, 혈류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을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효선. (2010). 정맥주사바늘 삽입시 냉요법 적용이 통증과 피부표면 온도에 미치는 영향(헌혈 공여자 중심으로).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지혜, 2013, 저온투석이 혈액투석환자의 소양증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손명희, 2010, 저온투석이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양상과 투석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
병원간호사회, 2011, 국내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의 주제 선정 및 우선순위
이윤주, 2012, 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개발
소향숙,김애영,김은아,and 김수미.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약물교육프로그램이 약물에 대한 지식과 약물복용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7 (2006): 1135-1144.
이수진,박향숙,한진희,김해진,서민원,최은아,임은영,최미란,최선숙,박광옥,and 김경옥. "개별교육프로그램이 역할불이행 혈액투석환자의 투석관련 지식 이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5.3 (2009): 5-16.
전원희 ( Won Hee Jun ),박정순 ( Jeong Soon Park ),and 정안순 ( An Soon Jeong ).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질병인식 및 약물지식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17.2 (2011): 110-116.
이종경(Lee Jong Kyung). "지역사회 고혈압 노인의 약물 자기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2 (2013): 267-275.
김효정,and 김건희. "이미지 활용 약물교육이 노인환자의 약물지식, 복약자기효능감 및 복약오류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4.1 (2018): 56-66.
장소라. “항응고요법 환자의 약물지식과 환자역할행위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