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간호에 대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호스피스간호에 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호스피스 간호
1.1. 호스피스 간호의 역사
1.2. 호스피스 간호의 목적
1.3. 호스피스 간호의 형태
1.4. 호스피스 환자 간호

2. 임종 및 임종 직전의 신체적 징후
2.1. 임종 시 신체적 징후
2.2. 임종직전 신체적 징후

3. 임종환자의 간호
3.1. 신체적 간호
3.2. 정서적 간호

4. 사후 환자의 간호
4.1. 사별가족 간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호스피스 간호
1.1. 호스피스 간호의 역사

호스피스는 원래 중세 유럽에서 여행 순례자에게 숙박을 제공했던 작은 교회를 의미하는 말이었다. 그런 여행자가 병이나 건강상의 이유로 여행을 떠날 수 없게 된 경우, 그대로 그곳에서 치료 및 간호를 받게 되는데, 이러한 수용시설 전반을 호스피스라고 부르게 되었다.

Dame Cicely Saunders는 1967년 런던에서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를 세웠는데, 이는 호스피스 의료의 시작점으로 볼 수 있다. 이후 1969년 미국의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는 『죽음의 단계』라는 책에서 임종과정의 단계, 환자의 선택과 자율성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1979년 Healthcare Financing Administration은 미국전역에서 26개 호스피스 시범사업을 하였으며, 1980년에 Joint Commission에서 호스피스 표준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호스피스 의료가 제도화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3년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수녀들이 강원도 강릉에 갈바리의원을 세워 임종하는 이들을 조직적으로 돌보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종교적 설립이념을 가진 많은 의료기관과 종합병원에서 호스피스 활동을 하고 있다.

2003년 암관리법 제정공포와 함께 제 1차 5개 기관 말기 암환자 호스피스 시범사업이 시작되었으며, 2016년 2월에는 말기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호스피스 법'과 임종기 환자의 죽음의 질 향상을 위한 '연명의료결정볍'을 제정하였다.

2016년부터는 가정형 호스피스 제도화 및 수가 시범사업을, 2017년부터는 자문형 완화의료팀 제도화 및 수가 시범사업을 시작하는 등 호스피스 의료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1.2. 호스피스 간호의 목적

호스피스 간호의 목적은 말기환자와 임종환자, 그 가족들을 돌보고 지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그들의 남은 생을 가능한 한 편안하게 하고 충만된 삶을 살도록 돕는다. 또한 삶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죽음은 삶의 자연스러운 일부분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호스피스는 삶을 연장시키거나 단축시키지 않으며 임종환자의 생명을 더 이상 연장시킬 수 없음을 알 때 삶의 질을 최대한으로 높이도록 한다. 환자와 그 가족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가능한 한 모든 자원을 이용하여 신체적, 사회심리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지지하여 죽음을 준비하도록 돕는다.


1.3. 호스피스 간호의 형태

호스피스 간호의 형태에는 가정 호스피스 프로그램, 병원 입원형 호스피스, 독립시설형 호스피스, 공공보건의료형 호스피스가 있다"

가정 호스피스 프로그램은 호스피스 팀이 말기환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돌보는 형태로 많이 이용되는 보편적인 유형이다. 간호사와 의사가 중심이 되어 자원봉사자, 심리치료사, 사회사업가 등의 지원자와 더불어 24시간 내지 7일 기준으로 운영된다. 환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나 가족의 부담이 큰 것이 단점이다"

병원 입원형 호스피스는 환자가 병원에 입원한 ...


참고 자료

김종임, 서길희, 김선애, 강희영, 백설향, 송영신, 강영미, 김선애, 한정원, 김묘경, 신용순, 장현숙 (2018). 임종간호. 근거 기반 기본간호학 2. 수문사. 651-672.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 영, 박효미, 박영래, 엄미란 (2017). 호스피스 완화의료. 성인간호학 제7판 상권. 현문사. 312-333.
위키백과, 호스피스, 호스피스의 역사 -
https://ko.wikipedia.org/wiki/%ED%98%B8%EC%8A%A4%ED%94%BC%EC%8A%A4
한국 호스피스의 과거, 현재, 미래(Past, Present and Future of Hospice in Korea). 연선, 가톨릭의대 내과 (p. 510)

강경아, 김신정(2003). 『한국 아동 호스피스의 현황과 전망』. 『아동간호학회지』. 9(2)
권인수 외(2003). 『임상 아동 간호학』. 서울: 수문사
김미예, 권인수 외(2014). 『아동간호학개론』. 서울: 수문사
김영혜 외(2003). 『아동간호학』. 서울: 현문사. 149~175쪽
김영혜 외(2014). 『아동간호학총론』. 서울: 현문사
김화숙 외(2003). 『아동간호학』. 군자 출판사. 554~563쪽
정경숙(2001). 『아동의 인지적 개념발달이 죽음의 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아동교육』.10(2), 81~94쪽
조결자 외 공저(2005).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 서울: 현문사
이화자 외(2003). 『발달단계별 아동간호학』. 정담미디어
Lindeke L, Nakai M&Johnson L(2006). Capturing children's voices for quality improvement, MCN: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