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철학자의 인간관 분석 및 견해 평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 플라톤의 인간관
1.1. 진리를 탐구하는 존재
1.2. 내면의 평화: 갈등이 없는 조화로운 상태
1.3. 이성의 통제로 조화를 이룬 이상국가
1.4. 플라톤의 인간관 옹호의 이유
2. 가장 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프로이드의 인간관
2.1. 비합리적이고 결정론적인 존재
2.2. 무의식을 결정 짓는 성적 에너지
2.3. 심리성적 발달단계 이론
2.4. 프로이드의 인간관을 수긍할 수 없는 이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 플라톤의 인간관
1.1. 진리를 탐구하는 존재
플라톤은 인간을 진리를 탐구하는 존재로 이해하였다. 플라톤은 인간이 단순히 감각을 통해 외부 세계를 인식하는 것을 넘어,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고 진리를 탐구함으로써 참된 지식에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존재라고 보았다. 그는 세상에 보이는 것들만으로는 완전한 지식에 도달할 수 없으며, 진정한 이해는 감각 너머에 있는 '이데아'라는 이상적인 본질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플라톤에 따르면, 인간이 경험하는 감각적 세계는 불완전하고 일시적인 것이지만, 이데아 세계는 영원하고 불변하는 참된 세계이다. 따라서 인간이 진정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감각적 세계를 넘어 이데아 세계에 대한 이해에 도달해야 한다. 이데아에 대한 인식이야말로 진정한 지식이며, 이를 깨닫는 것이 인간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보았다.
플라톤은 인간의 인식을 두 가지로 구분하였는데, 하나는 감각을 통해 얻은 표면적인 인식인 '억측'이고, 다른 하나는 이데아에 대한 인식인 '지식'이다. 그는 감각에 의존하는 인식은 한계가 있다고 보며, 진정한 인간은 이데아 세계를 통해 자신의 본성과 세상의 진리를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플라톤의 관점에서 인간은 감각에만 의존하는 존재가 아니라, 더 높은 수준의 진리를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존재이다. 그들은 이데아를 인식하고 진리를 깨달음으로써 참된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플라톤의 핵심 주장이다. 즉, 플라톤은 인간을 단순한 감각적 존재가 아닌, 이성적 탐구를 통해 진리에 도달할 수 있는 존재로 이해하였다. ""
1.2. 내면의 평화: 갈등이 없는 조화로운 상태
플라톤은 인간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삶의 기능의 원천을 영혼에 둔다. 영혼의 훌륭함은 인간의 삶을 훌륭하고 올바른 상태로 이끌어 내기 때문에 영혼이 훌륭한 사람들은 사는 것의 기능을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지만 반대로 혼의 훌륭하지 못함은 영혼이 사는 것의 기능을 훌륭하게 수행해 내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그 삶은 훌륭하지 못한 상태의 삶으로 가게 된다.
훌륭한 영혼의 상태는 이성을 중심으로 영혼의 세 부분인 이성 기개 욕망이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말한다. 영혼이 조화를 이루기 위해선 이성이 통제의 힘을 가지며 기개와 욕망을 적절히 통제해야 한다. 이성은 지혜의 덕을 함양하고자 노력할 때, 영혼의 나머지 부분을 통제할 수 있다. 또 기개의 용맹함을 적당한 곳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욕망의 절제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성이 지혜의 덕을 가져야만 한다.
지혜는 앎이며 이데아를 아는 것이다. 이데아는 앎의 대상으로서 존재하는 목표지만 그 누구도 쉽게 닿을 수는 없다. 그 앎을 향해 가고자 하는 지속된 노력만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나아간 혼은 앎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실천에 있어서도 훌륭함을 지니게 된다. 목적이자 수단으로서 지혜 용기 절제의 조화는 결국 정의를 이루게 된다. 이것은 내면적 작용이자 외면적 작용이며 참다운 지혜를 가진 영혼은 적절한 곳 적절한 때에 용기와 절제를 사용할 줄 안다. 이러한 영혼을 지닌 사람은 실천에 있어서도 올바른 덕목...
참고 자료
김석수, 칸트와 현대 사회철학, 울력, 2005.
이정호 외,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4.
임병덕, 교육의 정당화: 교육윤리학의 관점, 도덕교육연구, 한국도덕교육학회, 2008.
정창우,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철학과 문화, 2015.
정인화, 고뇌하는 현대인을 위한 윤리학 강의, 서광사, 2002.
채후남, 칸트의 교육학 강의에 관한 해석적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02.
허승, 가치와 교육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논문, 2018.
이정호, 유현상, 박은미, 한길석 [철학의이해]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