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다문화가족 청소년에게 있어서 차별경험은 부모의 출신 국적에 따른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하며,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편견과 사회적 차별을 유발시키고 이를 겪게 되는 다문화가족 청소년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 부적응적 영향을 받게 된다. 문화란 사회학과 인류학 측면에서 볼 때, 인간의 상징체계 또는 생활양식으로 정의되고 있다.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이 된다는 것은 그 사회가 이미 가지고 있는 상징체계를 습득하여, 그 상징체계가 반영하고 있는 사회의 질서와 규범과 같은 생활양식을 따르는 것을 말한다. 다문화가족 구성원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차별은 우리나라의 다문화사회 진입과 함께 이루어야할 사회통합을 가로막고 그들의 심리적 불균형을 가져오게 된다고 하였다. 사회적 차별이란 어떠한 개인이나 집단이 사회로부터 기피 또는 배제되어 부당한 대우를 받게 되는 것을 말하는데, 사회적 차별의 종류는 인종이나 성별, 연령 외에도 학력 또는 사회적 지위, 외모 그리고 빈부의 차이 등과 같이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2. 다문화 청소년 차별
2.1. 다문화 청소년의 개념적 정의
다문화 청소년의 개념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현재 우리나라는 과거에 비해 결혼이민자, 취업자격 체류외국인, 유학생, 영주권자 등의 국내유입으로 다문화 사회가 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인권보호 뿐만 아니라 사회적 갈등 문제를 해소하여 사회통합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다문화사회에 대한 대책마련과 국민들의 관심이 형성되어 있다. 즉 사회의 소수자들과 외국인에 대한 사회구성원으로써의 권리를 인정하고 다양성 속에 국민통합을 이끌어내기 위한 이념적 도구로서 다문화주의는 발전되고 있다.
다문화 가족은 광의로는 우리 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 국제결혼이주자, 새터민, 그 밖에 외국인 거주자, 외국인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가 포함된 가정을 비차별적으로 부르는 용어이며, 협의로는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가정을 지칭한다. 2008년 제정된 다문화가족 지원법 제2조는 다문화가족을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제2조 제3호의 결혼이민자와 '국적법' 제2조부터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으로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은 이러한 다문화가정 내에서 성장하는 청소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2.2. 다문화 청소년 현황
2022년 기준 다문화 청소년 학생현황은 168,645명으로, 2016년 99,186명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학교별로는 초등학교 111,640명, 중학교 39,714명, 고등학교 16,744명으로, 초등학교 재학생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향후 다문화 청소년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여성가족부, 2022)에 따르면, 다문화가족 자녀 127,849명의 성별 분포는 여성 49.0%, 남성 51.0%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9~11세의 연령이 40.8%로 가장 많고, 12~14세가 30.8%, 15~17세가 14.1%, 18세 이상이 14.3%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족 자녀의 대부분은 초등학교 고학년 연령층에 해당한다.
성장 배경별로는 국내 성장 자녀가 90.7%, 외국 거주 경험 자녀가 4.6%, 외국에서 주로 성장한 자녀가 4.8%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연령을 9~24세로 한정하면, 국내 성장 자녀의 비율이 90.9%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들어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점점 국내에서 성장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부모의 출신국 분포를 성장배경에 따라 살펴보면, 국내에서만 성장한 자녀들의 경우 베트남계 부모가 32.1%로 가장 많고, 다음이 한국계 중국 23.6%, 중국 18.3%, 필리핀 10.8% 순이다. 반면 외국 거주 경험자들은 한국계 중국이 27.4%로 가장 많고, 중국 27.0%, 필리핀 11.2%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에서만 성장한 집단은 한국계 중국 28.3%, 베트남 26.4%, 중국 23.6%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이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 청소년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들은 한국인으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어릴 적부터 한국인들과 소통하며 성장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3. 다문화 청소년의 차별 현황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청소년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도 다문화 청소년은 여전히 차별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여성가족부, 2022)에 따르면, 다문화 가족 자녀의 2.1%는 지난 1년간 차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수치는 2015년 6.9%, 2018년 9.2%에 비해 확연히 낮아진 것이나 여전히 차별을 당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차별은 주로 친구로부터 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친구로부터 차별받았다는 응답이 69.2%로 가장 많고, 모르는 사람(23.7%), 선생님(20.2%), 이웃(18.7%), 친척(10.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4. 다문화 청소년의 차별 경험
다문화 청소년은 학교를 비롯해 사회 전반에서 차별을 경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