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폭행 상담윤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윤리적 책임과 딜레마
1.1.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책임
1.2.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
2. 실천현장의 윤리적 딜레마 사례 분석
2.1. 남자친구와의 사이에서 아이가 생긴 여학생 사례
2.2. 자녀로부터 폭행을 당한 중년 여성 사례
2.3. 성폭행을 당한 여성 사례
3. 윤리적 딜레마 해결방안 제시
4. 상담에서 윤리적 기준이 요구되는 이유
4.1. 클라이언트 성범죄 예방
4.2. 비밀유지 및 정보보호
4.3. 클라이언트 이익 최우선 고려
4.4. 클라이언트에 대한 공정한 대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윤리적 책임과 딜레마
1.1.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책임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책임은 매우 중요하다. 사회복지사들은 자신들이 처한 실천 현장에서 때때로 윤리적 책임감을 갖고 클라이언트들의 고충을 헤아리고 이들이 난처해지지 않도록 이들과의 약속을 철저히 지킨다. 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아무리 이들과 약속을 했다고 하여도 유동적으로 행해야 해서 복지사 소관으로 조치를 해야 하는데, 복지사들은 윤리적 책임에 의해 괴로워하게 된다. 그렇지만 다수의 복지사는 현장에서 클라이언트가 난처해지지 않게 잘 다독여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받게 하거나 아니면, 잠정적으로 클라이언트와의 약속을 지키게 된다. 이처럼 사회복지사들은 자신들이 처한 실천 현장에서 윤리적 책임감을 갖고 클라이언트를 헤아리며, 클라이언트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이란 클라이언트들이 처한 악 상황을 제대로 파악한 후, 분석해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해결책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들은 사회복지사가 제시한 해결책대로 실행해 보고 효력을 발휘하면 안도하고 고마워하게 된다. 실제로, 다수의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들의 고민을 경청한 후, 여러 각도에서 다양하게 해석해 보고, 맞춤형 해결방안을 제시해주는데, 이때, 윤리적 문제가 발생한다 해도, 복지사는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경험에 의거하여, 또, 신의를 발휘하여 클라이언트들을 안심케 하고 이들과의 약속을 지키는 선에서 상담을 마무리한다.
2. 실천현장의 윤리적 딜레마 사례 분석
2.1. 남자친구와의 사이에서 아이가 생긴 여학생 사례
남자친구와의 사이에서 아이가 생긴 여학생의 경우, 사회복지사는 윤리적 딜레마에 처하게 된다. 여학생은 아직 고등학교 1학년생이고, 남자친구 또한 같은 반 학생이며 경제적 능력이 없어 이 여학생을 책임질 수 없기 때문에 홀로 아이를 키우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여학생은 낙태를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이 여학생의 상황을 잘 헤아리며 심리적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동시에 낙태라는 선택에 대해서도 신중하게 고민해야 한다.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윤리적 가치와 여학생의 어려운 처지를 함께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사로서는 이 여학생의 일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지 않고 비밀로 유지하면서도, 이 여학생이 도움을 받아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동행하여 산부인과를 방문하고 낙태 절차를 도와주는 것도 한 방법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여학생이 향후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경각심을 가질 수 있게 해야 한다.
또...
참고 자료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저자 이솔지, 윤기혁 외 3명, 출판 어가, 2024.03.08.
공공기관 청소년상담자의 윤리적 딜레마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2020, 장숙희, 정희정, 하정, 학술논문-
낙태의 윤리적 토대를 세운 철학자 -2020.12.28., 한국일보-
윤리”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네이버 블로그 “7-2.사회복지 실천의 윤리적 갈등”, https://blog.daum.net/lys0203/1763
네이버 블로그 “윤리적 갈등”, https://blog.daum.net/yesicago/598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