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활속의 심리학 족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학연의 이해
1.1. 학연의 개념
1.2. 역사 속 학연
1.3. 현대 한국 사회의 학연 현황
2. 학연 선호의 심리학적 분석
2.1. 내집단 vs. 외집단의 심리
2.2. 집단배척감의 구성요소
3. 학연의 정치 · 경제적 악용 사례
4. 학연에 대한 새로운 시각
4.1. 학연의 긍정적 측면
4.2. 학연에 대한 편견적 가치판단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학연의 이해
1.1. 학연의 개념
학연(學緣)이란 같은 학교 출신인 것을 매개로 맺어진 인간관계를 말한다. 학연은 자신과 같은 학교 출신이라는 동질성을 기반으로 형성된 인간관계로,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연고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개인이 특정 학교에 소속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그 사람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평가에 영향을 미치며, 학연은 학생들 간의 유대감 형성과 지원 체계 구축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학연은 개인과 집단, 그리고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양상으로 작용하는 복합적인 사회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1.2. 역사 속 학연
한국의 역사 속에서 학연은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조선시대에는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로 대표되는 영남학파와 기호학파가 다양한 학문적 성향과 지역적 특성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이들의 제자들 역시 학파에 따라 서로 다른 성격을 갖게 되었다. 이처럼 지역과 학문적 성향에 따라 나뉜 학연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어 왔다.
또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음서제도가 시행되었는데, 이는 혈연을 중시하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사회 분위기를 잘 보여준다. 5품 이상의 자제에게 주어졌던 고려의 음서제도와 2품 이상의 자제에게 부여되었던 조선의 음서제도는 아버지의 지위에 따라 자녀도 관직에 나갈 수 있었기에, 정계에서 혈연이 중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한국의 전통적인 가족 중심적 가치관과 유교적 효 사상의 영향으로 학연을 비롯한 연고주의가 발달하게 되었다.
이렇듯 한국 사회에서 학연은 오랜 역사를 통해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잡아 왔다. 가족, 지역, 학연 등의 연고주의가 특히 강하게 나타나는 한국 사회의 특성은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현대 한국 사회의 학연 현황
현대 한국 사회에서 학연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출신 학교가 같은 사람들끼리는 같은 교정, 같은 선생님, 같은 교가를 공유한다는 것만으로도 고향과 같은 존재를 느끼게 되고, 때문에 그 집단에 소속감과 동질감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일상에서도 길을 가다 같은 학교 잠바를 입고 있는 사람을 만나면 모...
참고 자료
한규석(2010),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안신호(2000), 『투표에서의 연고주의: 집단주의 경향성과의 관계 및 기저 동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Social Issues, Vol. 6, No. 1, 145~180.
이종한(1994), 『연고주의가 한국사회의 발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이에 대한 대안의 모색』,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Social Issues, Vol. 1, No. 1, 83~94.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강의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