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실험 제목
실험 제목은 "등전위선 측정 실험"이다.
1.2. 실험 목적
실험의 목적은 도체판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위에 등전위선을 찾고, 전기장과 등전위선에 관한 성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전위차를 가진 두 전극 사이에는 항상 전기장이 존재하며, 이 전기장 내에서 하전입자가 힘을 받게 된다. 이때 그 지점에서의 전기장은 힘을 받는 하전입자의 전하량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또한 그 점의 전위는 단위 전하당의 위치에너지로 정의된다. 전기장 내에는 같은 전위를 갖는 점들이 존재하며, 이 점들을 연결하면 등전위선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번 실험을 통해 등전위선과 전기장의 성질을 이해하고자 한다.
1.3. 실험 기구
실험 기구는 등전위선 측정장치, 검류계, DC 전원 공급장치로 구성된다. 등전위선 측정장치는 전류를 흘릴 수 있는 도체판과 전극,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검류계로 이루어져 있다. DC 전원 공급장치는 도체판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원 역할을 한다. 검류계는 전위차가 없는 지점을 찾아 등전위선을 그리는 데 사용된다.
2. 이론적 배경
2.1. 전위와 전기장
전위차를 가진 두 전극 사이에는 항상 전기장이 존재한다. 시험전하 Q가 이 전기장 내에서 힘 F를 받을 때, 그 점에서의 전기장은 E=F/Q로 정의된다. 한편, 그 점의 전위 V는 단위전하당의 위치에너지로 정의된다.
전기장 내에는 같은 전위를 갖는 점들이 존재한다. 이 점들을 연결하면 3차원에서는 등전위면을, 2차원에서는 등전위선을 이룬다. 등전위선이나 등전위면은 전기장 내에서 무수히 많이 그릴 수 있다. 전기력선은 하나의 점전하 Q가 있는 점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이며, 등전위면은 Q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구면이 된다.
등전위면 위에서 전하를 이동시키는데 하는 일은 영이므로, 그 면에 접한 방향으로는 전기장의 값이 없다. 따라서, 전기장의 방향은 그 면에 수직이다. 전기장이 일을 한다는 것은 점전하가 전위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해 가는 경우이므로, 전기력선은 전위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향한다. 따라서, 전기장 E의 방향은 그 점에서 전위차 DELTA V가 가장 급격히 감소하는 방향이며, 그 방향으로의 미소변위를 dl이라 하면, 전기장과 전위의 관계식은 DELTA V=-∫E·dl 또는 E=-dV/|dl| 4̂n이다. 따라서, 전기장 E는 등전위선에 수직이 된다. 4̂n은 등전위면(선)에 수직인 단위벡터이다.
전도성 도체판의 두 단자를 통해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