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코로나-19로 인한 비만율 변화 분석
1.1. 전체 국민 비만율 변화
전체 국민 비만율 변화를 살펴보면,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비만율이 상승하고 있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과 2019년의 데이터를 비교하면 2018년 비만율은 34.6%였고 2019년에는 33.8%로 유사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인 2020년에는 38.3%, 2021년에는 37.1%로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평균 4%p 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비만율의 변동 폭이 0.5%p 내외였던 반면, 코로나-19 이후에는 평균 4%p 이상 급증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한 비만율 상승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이동 제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조치로 인해 실내 활동이 증가하고 운동이 감소했으며, 정서적 스트레스로 인해 과다한 식사나 간식 섭취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코로나-19 이전부터 지속되어 온 비만율 상승 추세가 코로나-19 이후 더욱 가속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 국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1.2. 성별에 따른 비만율 변화
성별에 따른 비만율 변화를 살펴보면, 코로나-19 이후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비만율이 증가하였다.
먼저 남성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41.8%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48.0%, 2021년에는 46.38%로 상승하였다. 이는 코로나-19 이전 평균 비만율 42.4%에서 코로나-19 이후 평균 47.15%로 약 5% 가까이 증가한 수치이다.
여성의 경우에도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25%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27.7%, 2021년에는 26.9%로 상승하였다. 여성의 경우 코로나-19 이전 평균 비만율 25%에서 코로나-19 이후 평균 27.3%로 약 2.3% 증가하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코로나-19 이후 남성의 비만율이 여성에 비해 더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패턴 변화가 남성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 남성의 경우 실외 활동 감소와 배달 음식 섭취 증가가 두드러졌던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코로나-19 이후 비만율 증가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특히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비만율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1.3. 연령별 비만율 변화
연령별 비만율 변화를 살펴보면, 코로나-19 이전부터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비만율이 증가하는 추세였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연령별 비만율 추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19세~29세의 경우 2016년 27.2%, 2017년 29.4%, 2018년 26.9%, 2019년 27.6%, 2020...